메뉴 건너뛰기

close

장치기 청소년들이 재현을 해 장치기 시합을 하고 있다. 장치기는 전국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우리 전통놀이 중 유일한 구기종목이다.
장치기청소년들이 재현을 해 장치기 시합을 하고 있다. 장치기는 전국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우리 전통놀이 중 유일한 구기종목이다. ⓒ 하주성

'장치기' 또는 '얼레공치기', '짱치기'라는 놀이가 있다. 이 놀이는 1930년대까지 전국적으로 연희가 되어왔던 놀이니, 중단된 지가 그리 오래지 않다. 이 장치기를 시합으로 할 때는 '장치기'라 하고, 놀이로 할 때는 '장채놀이'로 부르기도 한다.

1931년 2월 1일자 <동아일보>는 서탄면 황구지천에서 전국의 32개 남여 팀이 참가한, '전 조선 얼레공대회'가 열렸다고 보도했다. 또 <동아일보> 사보 1월 24일자부터 30일자까지에는 수원군 양감면 용소리 앞 냇가에서 얼레공대회를 개최한다는 예고가 실렸으며, 참가할 각 팀의 선수는 5명으로 하라고 하였다.

이러한 장치기는 우리 민속 중 유일하게 나타난 구기종목이기도 하다. 장치기는 놀이방법이나, 놀이를 할 때 사용하는 기구 등이 간단하다. 놀이를 하기 위해선 짚이나 나무공이를 이용해 만든 '공'과, '장'이라고 하는 나무로 만든 채만 있으면 된다. 공은 짚을 엮어서 만드는 방법을 택했으며, 장은 물푸레나무 등을 이용해 길이가 3~4 자 정도에, 끝이 45도 앞으로 휘어져 10~15cm 정도 되는 것을 사용한다.

모두가 즐겨하던 전통 공놀이

얼레공과 장채 얼레공은 짚을 꼬아 둥굴게 만들고. 장은 물푸레 나무 등으로 만든다.
얼레공과 장채얼레공은 짚을 꼬아 둥굴게 만들고. 장은 물푸레 나무 등으로 만든다. ⓒ 하주성

장치기는 1950년대만 해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놀이였다고 한다. 어른들은 정월 대보름을 전후해 넓은 논바닥에서 마을끼리 대항을 하기도 했단다. 장치기 놀이에는 특별한 규칙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저 몇 명이라도 모이면 편을 갈라 하는 놀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장치기가 꼭 놀이로서만 전승되어 온 것은 아니다. 장치기는 겨울에 운동량이 부족할 때, 몸을 움직여 원활한 신진대사를 돕기위해 하는 '운동'이 되기도 한다. 또 일부 마을에서는 얼레공을 자신의 마을로 몰고 가기도 한다. 이는 자신의 마을로 복을 끌고 가는 것이라고 한다. 즉 얼레공을 짚으로 만들기 때문에, 그것이 풍농과 연결이 된다는 것이다.

간단한 도구를 갖고도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공놀이. 장치기는 그저 공터만 있으면 연희가 가능한 놀이다. 1932년 전국에서 남녀 32개 팀이 모였다고 하는 것은, 그만큼 우리나라 전역에서 보편화 된 놀이였음을 방증한다.

장치기는 어떻게 전해졌을까?

공몰기 장을 이용해 짚을 꼬아만든 장을 쳐낸다
공몰기장을 이용해 짚을 꼬아만든 장을 쳐낸다 ⓒ 하주성

공몰기 장은 끝이 구부러져 얼레공을 몰아가기에 편하다. 필드하키와 흡사하다.
공몰기장은 끝이 구부러져 얼레공을 몰아가기에 편하다. 필드하키와 흡사하다. ⓒ 하주성

어떠한 놀이든지 갑자기 생겨날 수는 없다. 장치기도 예외는 아니다. 장치기의 원조는 삼국시대부터 전해진 '격구'로 본다. 고려 태조 1년인 937년 기록에 격구장이 있었다는 것으로 보아, 격구는 그 이전부터 성행한 놀이임을 알 수 있다. 고려 때는 여자들이 말을 타면서 하는 마상격구를 할 때, 그 치장의 화려함이 지나쳐 한 때 금지시키기도 했다.

조선조에 들어서는 태조와 정종이 격구를 즐겼으며, 세종 7년인 1425년엔 무예연습의 필수과목으로 격구를 선택하기도 했다. 정조는 격구를 이십사반 무예의 한 종목으로 택해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안에 수록하였다. 이러한 반가의 대표적 놀이인 격구가, 언제부터 민간으로 전해져 장치기가 되었는지는 확실치 않다. 다만 조선조 중기 이후에 급격히 쇠퇴한 반가의 놀이인 격구가 이때를 전후해 민간으로 전해졌을 것으로 본다.     

우리 놀이를 되살릴 수는 없을까?

얼레공 뺐기 양팀의 사람들이 서로 얼레공을 빼앗기 위해 채로 얼레공을 쳐내고 있다.
얼레공 뺐기양팀의 사람들이 서로 얼레공을 빼앗기 위해 채로 얼레공을 쳐내고 있다. ⓒ 하주성

나는 수원에서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장치기를 가르쳐 재현시킨 적이 있다. 경기도민속경연대회와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까지 참가를 시키기도 했는데, 장치기는 누구나 손쉽게 배울 수가 있어서, 청소년들의 놀이로 장착을 시켜도 좋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필드하키와 비슷한 놀이인 장치기는 장이라는 나무막대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때로는 격한 몸싸움으로 부상을 입기도 한다. 그러니 그런 부상을 막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만 보완한다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우리 전통의 놀이다.

연세가 80세 이상이신 분들 중에는 아직도 장치기를 기억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다. 장치기 놀이에는 별도의 골문이나 골키퍼가 있진 않다. 그저 넓은 공터 양편에 돌을 놓아 문을 만들고, 편을 갈라 얼레공을 몰고 가 그 문 안으로 들여보내면 된다. 사라지는 우리 전통놀이인 장치기.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아이들의 체력을 위할 수 있는 우리 전통놀이를 되살릴 수만 있다면, 좀 더 건강한 정신과 육체를 갖게 되지 않을까?

일 년 내내, 계절에 구애를 받지 않고 들에서 뛰어놀던 장치기. 우리의 전통 공놀이인 장치기를 학생들에게 가르쳐, 예전과 같이 전국의 남녀 팀이 모여 함성을 지르는 모습을 볼 수 있기를 고대해본다.


#장치기#전통놀이#격구#얼레공#장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