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윤황선생 고택 논산시 노성면 장구리 52에는 충남 유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이 된 윤황선생 고택의 사랑채
윤황선생 고택논산시 노성면 장구리 52에는 충남 유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이 된 윤황선생 고택의 사랑채 ⓒ 하주성

논산시 노성면 장구리 52에는 충남 유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이 된 윤황 선생 고택이 자리하고 있다. 이 집이 처음에 지어진 해는 정확하게 전해지지가 않으나, 윤황(1572∼1639) 선생의 6대손인 윤정진이, 조선조 영조 때 지금의 자리로 옮겨 종가로 내려오고 있는 집이다.

 

이 집은 一자형 사랑채와 ㄱ자형 안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구조는 튼 ㅁ자형 평면을 갖추고 있다. 사랑채 뒤편으로는 담을 쌓아 안채와 구분을 하고 있으며, 좌측으로는 ㄱ자형의 안채가 자리하고, 우측으로는 l 자형의 행랑채가 자리하고 있다. 안채의 우측에는 높게 앉은 사당채가 자리하고 있다. 윤황 선생의 고택은 화려하지 않으며, 간결하게 지은 옛 전통 가옥으로 중부지방의 특징을 잘 간직하고 있다.

 

선생의 심성을 닮은 사랑채

 

사랑채 뒤편 배수로를 지난 연도에 낮은 굴뚝이 물려있다.
사랑채 뒤편배수로를 지난 연도에 낮은 굴뚝이 물려있다. ⓒ 하주성

사랑채 사랑채의 한 편을 높이고 측면에는 툇마루를 놓았다,
사랑채사랑채의 한 편을 높이고 측면에는 툇마루를 놓았다, ⓒ 하주성

윤황 선생은 조선조 선조 5년인 1572년에 태어나서, 인조 17년인 1639년에 세상을 떠난 문신이다. 자는 덕휘, 호는 팔송으로, 선조 30년인 1597년에 문과에 급제하였고, 인조 때에는 동부승지, 이조참의, 전주부윤을 지내기도 했다.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때에는 척화를 주장하였다. 1637년 김상헌, 정온 등이 병자호란 때 화의를 반대했다는 죄로 청에 붙잡혀 갈 때, 윤황 선생은 자신이 대신 잡혀 가겠다고 했으나 허락받지 못하였다. 선생의 사후에는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남을 이해서 스스로 목숨을 버리겠다고 자처를 할 수 있는 윤황 선생의 고택 앞으로는  - 자형의 사랑채가 6칸으로 마련되어 있다. 가운데 다섯 칸이 있고, 좌우측에는 반 칸의 높임마루를 한 방이 있는데, 사랑채를 바라보며 좌측은 앞으로 돌출이 된 작은 공간이고, 우측은 측면으로 툇마루를 달아낸 누정 방으로 꾸몄다. 중앙 좌측의 두 칸은 온돌방으로 했으며, 이어 두 칸의 대청을 두었다. 대청은 두 칸 다 네 짝 문을 달아냈다.

 

기둥 딴 곳에서 집을 옮겨왔다고 하는 윤황선생 고택. 나무들을 다시 재활용 해 쓴 흔적이 보인다.
기둥딴 곳에서 집을 옮겨왔다고 하는 윤황선생 고택. 나무들을 다시 재활용 해 쓴 흔적이 보인다. ⓒ 하주성

이 집은 딴 곳에서 옮겨왔다고 하는데, 대청의 기둥을 보면 목재를 재활용을 했음을 알 수가 있다. 대청 앞으로 나란히 선 네모난 기둥들의 위편을 보면, 나무를 끼웠던 흔적들이 있다. 당시 파평 윤씨들의 가문에서 이렇게 나무를 다시 활용을 했다는 것은, 그만큼 세도를 부리지 않았다는 것을 뜻한다. 남을 위해서 스스로를 버릴 줄 아는 윤황 선생의 자손답게, 집을 옮겨 지으면서도 절약을 했다는 것이다.

 

낮은 굴뚝에 얽힌 의미   

 

뒤편으로 돌아가면 배수로를 내었는데, 연도가 그 배수로를 지나 낮은 굴뚝과 연결이 된다. 굴뚝을 이처럼 낮게 만드는 이유는 대개 두 가지의 이유가 있다. 첫째는 낮은 굴뚝을 바라보면서 늘 그 굴뚝처럼 낮은 곳에서 사람들을 위하라는 뜻이다. 종가집들의 굴뚝이 하나 같이 낮은 이유가 바로 그렇다. 집안에 모든 사람들만이 아니라, 세상 누구에게도 겸손하라는 것을 일러주는 교훈이다.

 

낮은 굴뚝과 사당 행랑채 뒤편으로 사당채로 오르는 길이 있다. 뒤편 굴뚝 역시 낮은 굴뚝이다.
낮은 굴뚝과 사당행랑채 뒤편으로 사당채로 오르는 길이 있다. 뒤편 굴뚝 역시 낮은 굴뚝이다. ⓒ 하주성

또 하나의 이유는 방역이기도 하다. 예전에는 대개 한옥에서 소나무나 참나무 등을 이용해 불을 지핀다. 나무를 넣기 전에는 낙엽 등을 이용해서 불씨를 만드는데, 그때는 연기가 많이 나게 된다. 그 연기들이 낮은 굴뚝에서 뿜어져 나와, 집안 곳곳에 병충해를 잡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렇듯 우리 한옥에는 그 작은 것 하나하나도 다 용도가 있다는 것이다.

 

화려하지 않은 안채의 정숙함

 

윤황 고택의 안채는 화려하지 않다. 그저 분칠을 하지 않은 맨 얼굴처럼 정숙하다. ㄱ자 형으로 꺾인 안채는 좌측에 부엌과 안방, 윗방을 두고, 꺾인 부분에 대청과 건넌방을 두고 있다. 사랑채와 같이 안채의 대청에도 창호를 달았다. 그리고 우측 맨 끝 방은 높임마루를 놓고, 그 밑에 한데 아궁이를 내었다.

 

안채 화려하게 치장하지 않은 안채. 화장을 하지 않은 여인과 같은 느낌을 받는다.
안채화려하게 치장하지 않은 안채. 화장을 하지 않은 여인과 같은 느낌을 받는다. ⓒ 하주성

정자 방 안채의 한 편에 마련한 높임마루의 정자 방. 밑에는 아궁이를 두고 있으나, 그 흔한 툇마루도 없다.
정자 방안채의 한 편에 마련한 높임마루의 정자 방. 밑에는 아궁이를 두고 있으나, 그 흔한 툇마루도 없다. ⓒ 하주성

이렇게 높임마루를 놓았을 경우 그 측면에는 낮은 툇마루를 놓기도 하는데, 윤황 선생의 고택은 그 흔한 툇마루마저 없다. 그저 치장을 하는 것을 최대한으로 억제를 한 집이다.

 

뒤편으로 돌아가며 보수를 하면서 새로 쌓은 듯한 축대가 있다. 그 축재 한편에는 장독대가 놓여있는데, 일반적인 종가의 장독대와는 다르다. 그저 평범한 민초의 장독대와 다를 바가 없다. 무엇하나 보기 좋게 만들기 위해 치장을 하지 않은 집. 그래서 집은 주인을 닮는다고 한 것일까? 윤황 선생의 고택이 바로 그러하다.

 

장독대 새로 조성한 듯한 안채 뒤편의 장덕대. 종가집의 장독대라기 보다는 어느 민가의 장독대와 다를 바가 없다.
장독대새로 조성한 듯한 안채 뒤편의 장덕대. 종가집의 장독대라기 보다는 어느 민가의 장독대와 다를 바가 없다. ⓒ 하주성

자연이 녹아있는 사당채와 연못

 

윤황 선생 고택의 사당채는 양편에서 오를 수가 있다. 사랑채 뒤에서 일각문을 통해 사당으로 오르는 길은, 제의를 지낼 때 종친들이 사랑채에서 바로 오를 수 있도록 낸 길일 것이다. 그리고 또 하나의 길은 안채 뒤편 계단을 통해서 사당채로 오르는 길이다. 역시 담장에 일각문을 내었다. 이 문은 안채에 있는 부녀자들이 음식을 나를 때 동선을 줄이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사당채 오르는 길 안채에서 오르는 길. 부녀자들의 동선을 생각한 길이다.
사당채 오르는 길안채에서 오르는 길. 부녀자들의 동선을 생각한 길이다. ⓒ 하주성

연못 사랑채 옆에 마련한 작은 연못. 자연의 심성을 그대로 닮은 집이다.
연못사랑채 옆에 마련한 작은 연못. 자연의 심성을 그대로 닮은 집이다. ⓒ 하주성

사랑채에 앉아 좌측 높임마루에서 보면 그 앞쪽으로 작은 연못이 있다. 지금은 주변이 정리가 안 돼 연못을 식별하기조차 쉽지가 않지만, 아마 이 연못에는 꽃이 피고 물고기들이 유영을 했을 것이다. 자연을 그대로 닮은 집. 그리고 자연을 위한 집. 논산 윤황 선생의 고택은 집 안에 그렇게 자연이 녹아 있었다.


#윤황선생 고택#논산#종가#유형문화재#자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