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세미나 강연 모습 한국교회의 위기와 미래에 관한 은준관 총장의 강의
세미나 강연 모습한국교회의 위기와 미래에 관한 은준관 총장의 강의 ⓒ 신재훈

지난 2일 경기도 여주에 있는 실천신학대학원에서 작은 교회를 향한 세미나가 있었다. 작은 교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세워주는 계기였다. 한국 교회를 누구보다도 아끼고 사랑하는 은준관 총장이 그곳에서 강연을 베풀었다. 세미나의 주제는 '한국교회의 위기와 미래'였다.

왜 그 주제를 택했을까? 은 총장은 지금 한국교회가 미국교회의 패턴을 좇고 있다고 진단했기 때문이다. 이른바 메가처치 현상에서부터, 기독교 왕국 건설, 형식을 깬 예배의 다양화 등이 그것이다. 지난 1940년부터 2010년까지 미국교회가 90년 동안 경험한 네 가지 흐름을 한국교회도 1970년부터 2010년까지 그대로 답습해 왔다고 한다. 그 네 가지 패턴이란 교회 성장, 교회 성장 후기의 성장 침체, 수평 이동, 제도화된 교회에서 홀로의 영성을 추구하는 부류의 등장이 그것이다.

미국의 수정교회를 이끌었던 로버트 슐러 목사는 지난 세기 동안 가장 영향력 있는 목회자였다. 주된 요인은 가능성과 자긍심의 주입이었다. '안 되면 되게 하라', '불가능은 없다'는 신화가 그것이다. 그 흐름을 미국의 대형 교회 목회자들이 모방했다. 하지만 그 교회는 지금 미 연방 정부에 파산 신고를 했다. 재밌는 것은 그 상태에서도 그는 교회의 재정을 꺼내 썼다는 것이다. 그만큼 교회 구성원들을 단순한 수단으로 생각해 왔던 것이다.

그와는 달리 요즘 미국 내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는 교회가 있다고 한다. 앨라배마의 힐스 부룩교회(Church at Hills Brook)가 그곳이란다. 그 교회의 담임목사는 32살 밖에 되지 않았는데, 어느 아시아의 지역을 방문하면서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지하에서 사람들이 모여 에어컨도 없이 기도하며 찬양했다고 한다. 그 뒤 미국에 돌아가 그는 전교인들을 상대로 아시아의 그 모임을 닮자고 이야기했고, 그때부터 그 교회도 에어컨도 끈 채, 순수한 신앙내용을 추구했다고 한다.

지난 날 동안 한국교회는 어떤 모습을 일궜을까? 은준관 총장은 1970년부터 1990년 사이에 5만 교회, 1200만 신도를 이루었다고 평가했다. 물론 1940년부터 1960년 사이에 미국 교회는 전 인구 대비의 65%가 개신교인이었다고 평가한다. 그에 따른 공통 요인으로는 도시화와 인구 이동, 세속 도시의 등장이라고 했다. 한편 미국교회든 한국교회는 교회가 부흥하면 부흥할수록 교회가 추구하는 유형은 같았다고 한다. 새 교회당을 신축해 왔고, 많은 신학교를 건립해 왔고, 교회의 땅을 사들여 수양관을 짓는 게 그것이었단다.

교회 성장 이후기(After Church Growth)는 어떠할까? 한국교회는 1990년부터 2010년 동안 침체기를 맞고 있고, 미국 교회도 부흥의 흐름이 막혀 있는 상태라고 했다. 그 사이에 남은 것은 수평 이동뿐이라고 했다. 그것이 한국교회에는 초대형 교회의 등장과 함께 지성전 전략이 나타나 있고, 그로 인해 작은 교회들이 죽어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는 미국 교회가 주도한 흐름을 그대로 답습한 결과라고 진단했다. 그에 따른 경제적 부담도 고스란히 교우들의 몫으로 남아 있고, 가끔씩 집단적인 흥분 상태가 들끓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교회 신자들은 자신이 속한 대형 교회의 자긍심이 없지 않다. 큰 교회에 소속된 것을 자랑하고 있다. 이른바 브랜드 아파트처럼 교회도 고급 브랜드화 되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신실한 신앙심을 좇는 자들은 그러한 제도화된 교회로부터 이탈하고 있는 추세라고 한다. 오직 '홀로의 영성'을 추구하는 부류들이 등장하고 있다는 게 그것이다. 지난 2000년부터 2010년 사이에 한국교회는 교단 분쟁이 들끓었고, 초대형 교회의 사건들이 터졌고, 그로 인해 교인의 수는 780만 명으로 감소했다고 한다. 미국 교회도 2000년부터 2010년 사이에 젊은이들이 18%씩 줄어들었다고 이야기했다. 그에 따른 주된 요인으로는 교회에 대한 정화작용도 없고, 대안도 없는 상황이고, 오직 프로그램으로만 승부를 걸고 있는 까닭이라고 했다.

세미나 강연 모습2 한국교회가 위기이지만 그래도 미래와 희망이 있음을 역설하고 있는 은준관 총장의 강연
세미나 강연 모습2한국교회가 위기이지만 그래도 미래와 희망이 있음을 역설하고 있는 은준관 총장의 강연 ⓒ 신재훈

은준관 총장은 지금 한국교회에 여러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다고 했다. Cell, G12, Tres Dias, Alpha, 그리고 두 날개 프로그램 등이 그것이다. 그것이 부흥을 위한 전략이요, 대형화를 위한 프로그램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그와 함께 일어나는 분파 운동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현재 한국에는 독립교단 교회가 3,000교회를 넘어서고 있고, 가정 교회 운동도 들풀처럼 번지고 있다고 했다. 그것의 주된 요인이 뭘까? 기성 교회의 반발심과, 제도화된 교회로부터 겪는 영적 피로감이라고 했다.

그를 위해 회복해야 할 과제가 무엇일까? 은준관 총장은 그런 이야기를 꺼냈다. 한국교회가 내다봐야 할 진정한 관점은 '왜 하나님나라 백성 공동체인지'에 주안점을 둬야 한다고 했다. 그것은 제도화된 교회의 건물이나 유형을 뛰어넘는 일이라고 했다. 그것은 순수한 신앙관을 구축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래서 그랬을까? 한국교회는 교회 성장 신드롬을 포기해야 진정으로 살 수 있고, 평신도 주체의 교회 활성화를 이루어야 하고, 더욱이 지역사회에 필요한 교회를 고민해야만 회복될 수 있다고 말이다.

세미나가 끝난 이후 작은 교회 목회자들은 따로 모임을 갖고 토론했다. 그 과정을 지켜보면서 아직은 한국교회에 희망이 있다는 것을 감지했다. 왜일까? 메가처치나 교회성장 신드롬으로부터 비켜서 있는 목회자도 많이 있고, 교회의 관계자들이 수동적인 관망자가 아니라 주관적인 참여자로 활동하려는 의식들이 일어서고 있고, 지역사회를 위한 교회의 존립성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교회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는 까닭이었다. 그런 차원에서 볼 때 은준관 총장이 바라는 한국교회의 미래상은 아름답게 세워질 것 같았다. 다만 그 희망의 바람이 들불처럼 번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한국교회의 위기와 미래#은준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