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원통사지 전라북도 기념물 제67호인 ‘원통사지(圓通寺址)’ 무주군 안성면 죽전리에 소재한다
원통사지전라북도 기념물 제67호인 ‘원통사지(圓通寺址)’ 무주군 안성면 죽전리에 소재한다 ⓒ 하주성

 

'사지'란 옛 날에 절이 있던 곳을 말한다. 사지에는 많은 문화재가 지금까지 남아 있는 곳도 있지만, 흔적조차 없이 기록에만 존재하는 곳도 상당히 많다. 지난 5월 20일에 찾아간 사지 두 곳은 바로 후자에 속하는 사지였다. 한 곳은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죽전리에 소재한 전라북도 기념물 제67호인 '원통사지(圓通寺址)'였다.

 

또 한 곳은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 소정리에 소재한, 현재는 전통사찰 제57호인 송계사가 서 있는 '송계사지(松溪寺址)'이다. 현재 원통사지에는 원통사라는 절이 서 있으며, 송계사지에는 대한불교 조계종 해인사의 말사인 송계사가 서 있다. 그러나 두 곳 모두 옛 흔적은 찾아볼 길이 없어 안타깝다.

 

덕유산 덕유산 깊은 곳에 자리한 원통사는 신라 때 처음으로 지어졌으며 의병들의 요람이라고 한다
덕유산덕유산 깊은 곳에 자리한 원통사는 신라 때 처음으로 지어졌으며 의병들의 요람이라고 한다 ⓒ 하주성

 

나라를 구한 의병의 요람 원통사

 

무주군 안성면 죽전리에 소재한 원통사지. 이 절은 1949년까지만 해도 원통사라는 절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여순사건 때 옛 건물은 모두 불에 타 없어지고, 현재의 건물은 1985년 이후에 지은 건물이라고 한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원통사는 신라 대 처음으로 짓고, 조선조 숙종 24년인 1698년에 고쳐지었다고 하는 유서 깊은 고찰이다.

 

덕유산 깊은 계곡에 자리한 원통사. 가파른 길을 돌아 오른 절 마당에서 앞을 바라다 보면, 덕유산에서 뻗은 산자락이 아름답다. 이 산 중턱에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나라를 걱정하다가 피를 흘린 것일까? 원통사지는 나라가 위급할 때마다 의병들이 이곳에 모여들어 싸웠다는 의병의 요람이라고 한다.

 

산신각 대웅전 뒤편에 자리한 산신각 앞쪽에 층계를 이룬 석축의 흔적이 옛 절터는 아니었을까?
산신각대웅전 뒤편에 자리한 산신각 앞쪽에 층계를 이룬 석축의 흔적이 옛 절터는 아니었을까? ⓒ 하주성

석축 현 원통사 여기저기 널린 돌들이 엣 원통사의 사지임을 알려주고
석축현 원통사 여기저기 널린 돌들이 엣 원통사의 사지임을 알려주고 ⓒ 하주성

 

원통사 주차장에 차를 대고 돌계단을 올라가니, 정면에 원통보전이 보인다. 우측으로는 명부전이 좌측으로는 요사가 있다. 이 세 전각은 모두 정면 세 칸씩이다. 그리고 원통보전 좌측 뒤편으로 한 칸의 산신각이 서 있다. 전각 모두를 다 합해도 열 칸 밖에 안 되는 절이다. 옛 흔적은 찾을 길이 없는데, 여기저기 널려있는 돌에서 그나마 이곳에 옛 절터였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1905년의 을사보호조약과 1907년의 정미칠조약 때, 문태서, 신명선, 김동신 등의 의병장들이 이곳을 근거지로 항일투쟁을 벌였다고 하는 원통사. 이제는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돌들에게서 그 이야기를 듣는다.

 

송계사 신라 진덕여왕 6년인 652년에 원효와 의상 두 분의 고승이, 북상면 소정리에 영취사를 창건한 후 5개의 암자를 지었는데 그 중 하나가 송계암의 현재모습. 문각으로 들어가는 양 옆에 노송들의 가지가 처져있다
송계사신라 진덕여왕 6년인 652년에 원효와 의상 두 분의 고승이, 북상면 소정리에 영취사를 창건한 후 5개의 암자를 지었는데 그 중 하나가 송계암의 현재모습. 문각으로 들어가는 양 옆에 노송들의 가지가 처져있다 ⓒ 하주성

 

원효와 의상이 이룩한 송계사, 세월의 아픔만 남고

 

무주에서 도계(道界)를 넘어 경남 거창군으로 접어들었다. 덕유산 수리봉의 남쪽 기슭에 자리한 송계사. 절을 올라가는 입구에는 커다란 바위돌이 계곡을 덮고 있는데, 맑은 소리를 내며 물이 흐른다. 아마도 이러한 깊은 골에 찾아든 원효와 의상 두 분은, 이 맑은 물소리에 취했는가 보다.

 

신라 진덕여왕 6년인 652년에 원효와 의상 두 분의 고승이, 북상면 소정리에 영취사를 창건한 후 5개의 암자를 지었는데 그 중 하나가 송계암이라는 것이다. 그 뒤 영취사가 폐사되면서 송계사가 그 전통을 이어받았다는 것이다. 송계사는 조선조 1592년에 일어난 임진왜란 때, 5개의 암자가 모두 소실이 되었다고 한다.

 

약수 송계사를 오르는 길에 만나는 약수. 나그네의 갈증을 시원하게 풀어줄 만하다
약수송계사를 오르는 길에 만나는 약수. 나그네의 갈증을 시원하게 풀어줄 만하다 ⓒ 하주성

폐허로 남아있던 송계사는 조선조 숙종 때 진명스님이 송계암을 복원했으나, 6·25 한국전쟁 때 또 다시 전소가 되고 말았다. 그 뒤 여러 번의 중창을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는 것이다.              

 

계곡 물소리를 뒤로하고 송계사로 올랐다. 기울어진 영취루를 해체하여 복원한 문각이 저만큼 보인다. 문각으로 향하는 흙길 좌우에는 커다란 노송들이 가지를 아래로 늘어뜨리고 있다. 약수 한 그릇으로 목을 축인 후 송계사 경내로 들어갔다. 공양주인 듯한 여자분 한 분만 보일 뿐 인적이라고는 없다.

 

극락보전 문각을 지나면 좌측으로 극락보전의 전각이 서 있다
극락보전문각을 지나면 좌측으로 극락보전의 전각이 서 있다 ⓒ 하주성

대웅전 대웅전은 새로 신축을 했으며, 송계사는 덕유산 수리봉 계곡에 자리하고 있다
대웅전대웅전은 새로 신축을 했으며, 송계사는 덕유산 수리봉 계곡에 자리하고 있다 ⓒ 하주성

 

안으로 들어가 삼성각으로 오르는 가파른 계단을 오른다. 바람에 대나무 잎이 부딪치며 바스락거린다. 위에서 아래를 내려다본다. 크지 않은 절집이 한 눈에 들어온다. 내려오다 보니 스님 한분이 나와 계신다. 송계암의 옛 흔적을 물으니 알 길이 없다는 대답이다. 하루에 두 곳의 사지를 돌았지만, 기록에만 전할 뿐, 옛 흔적을 찾을 길이 없다.

 

세월은 그렇게 많은 것을 우리에게서 빼앗아 가버렸다. 그 가슴 아픈 역사의 흔적이 두 곳 모두 마음에 멍울을 남겨놓는다. 그저 눈여겨 볼 만한 것들만 돌아본 사지탐방. 어디 한 곳 흔적이라도 있지나 않을까 했지만, 남은 것은 바람소리와 물소리뿐. 가슴 한편이 허해져 온다.

 

산신각 오르는 길 산신각을 오르는 길은 대밭이 조성되어 있다. 옛 절터의 흔적은 찾아볼 수가 없다
산신각 오르는 길산신각을 오르는 길은 대밭이 조성되어 있다. 옛 절터의 흔적은 찾아볼 수가 없다 ⓒ 하주성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다음 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원통사지#송계사지#덕유산#무주군#거창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