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시내 거리에서 대학생들이 처음으로 반값등록금 촛불을 들었다. '조건없는 반값등록금 실현, 국립대 법인화 저지를 위한 창원대 대책위'와 민생민주창원회의는 17일 저녁 창원 정우상가 앞에서 "촛불문화제"를 열었다.
이 자리에는 창원대·경남대 학생과 시민, 학부모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참가자들은 "반값등록금, 이제 그랬으면 좋겠어"를 외쳤다. 빅뱅의 멤버인 '태양'이 부른 <나만 바라봐>에 들어 있는 가사의 일부를 따와 촛불집회 제목으로 한 것이다.
사회를 본 김지현(창원대 4년)씨는 "요즘 대학생들이 많이 힘들다. 공부도 해야 하고 등록금도 벌어야 하며, 연애도 해야 한다"면서 "일부에서는 등록금을 10% 인하한다고 하는데, 실질적으로 해결하는 게 국회의원들의 몫이다"고 말했다.
"투표만 잘 해도 반값 등록금 가능"창원대 인문대학 학생회 임하늘 회장은 "일부에서는 국립대학은 등록금이 싸다고 하는데, 사립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싼 것이지 절대적으로 싼 게 아니다"면서 "앞으로 절대 굴복하지 말고 소신을 갖고 반값등록금 투쟁을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문성현 민주노동당 경남도당 위원장은 "질긴 놈이 이긴다는 말이 있듯이, 반값 등록금은 끈질기게 하면 이긴다. 하면 반드시 된다"면서 "세금 잘 쓰면 반값 등록금은 된다. 당장 4대강정비사업만 안해도 된다"고 말했다.
또 그는 "최문순 강원도지사가 강원도립대학 등록금을 받지 않겠다고 했다. 그러면 국립대학으로 번지고 계속하면 사립대학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투표만 잘하면 된다. 촛불을 들었던 마음으로 내년 선거에서 투표를 잘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창원대 졸업생이라고 소개한 한 청년(30)은 "제가 하교 다닐 때는 비싼 등록금이었다. 지금 후배들이 반값 등록금을 내고 다닌다면 억울할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면서 "학교 다닐 때 학자금 대출을 받았는데, 돈을 다 갚지 못했고 지금은 신용불량자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
또 자유발언에 나선 최수연(창원대 2년) 학생은 "반값등록금 뿐만 아니라 국립대 법인화 반대 투쟁을 전국 대학생들이 함께 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경남대 경상대학 학생회 이동률 회장은 "그동안 등록금을 올릴 때마다 누구도 앞장 서서 이야기 하지 않았다. 등록금이 올바르게 사용되는지도 따져봐야 한다. 대학들은 입학생 숫자가 줄어들면 돈을 못 번다고 하는데, 돈을 벌기 위한 기업 목적으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학부모도 마이크를 잡았다. 아들 둘을 두었다고 한 김선숙씨는 "작은 아들 등록금은 군대 가기 전에는 380만 원이었는데 제대 뒤 420만 원으로 올랐다. 고지서 받아보고 엄청나게 놀래 기절하는 줄 알았다"면서 "작은 아들은 지금 대학 2학년인데 학자금 대출금이 1500만 원이다. 신용불량자가 되지 않을까 걱정이다. 벌써 2학기 등록금 걱정에 밤에 잠이 오지 않는다. 등록금 걱정 없는 사회가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날 촛불문화제는 1시간30분 가량 진행되었다. 창원대 학생들의 문화공연이 벌어졌으며, 특히 서울대 학생들이 만들었던 동영상 '총장실 프리덤'을 따라 춤을 추기도 했다. 민생민주창원회의는 오는 22일 같은 장소에서 촛불문화제를 연다.
진주 100여 명 모여 촛불, 추경화씨 단식 벌여
진주에서도 이날 저녁 경상대 맞은편 인도에서 '조건 없는 반값 등록금 실현, MB정권 대국민 사과 촉구 대학생, 시민사회단체, 정당 공동 촛불행동'이 열렸다. 경상대 총학생회와 경남과학기술대 교지편집국, 참교육학부모회 진주지회, 진주교육대학생 비상대책위원회 등 청년․시민단체와 야당들이 마련했는데, 1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6월 임시국회 내 특별법과 재정에 대한 결단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두 번째 촛불문화제를 열었다"고 밝혔다. 진주지역 시민사회단체는 지난 14일부터 17일까지 경상대와 경남과학기술대 앞에서 1인시위와 선전전을 벌였다.
한편 독도사랑운동 본부장이면서 충효예실천운동본부 진주지회장인 향토사작자 추경화씨는 지난 16일부터 경상대 정문 부근에서 "반값 등록금 실현위해 단식․금식"에 나섰다.
추씨는 이날 낸 자료를 통해 "대학들이 등록금을 과도하게 올린 것은 공정거래를 위반 한 것으로 즉시 시정되어야 하며 학생들이 등록금 때문에 학문을 배우는데 지장을 받고 알바에만 신경을 더 써야 한다면 문제가 아닐 수 없다"며 "등록금을 대출받았다가 신용불량자가 되어 금융거래에 지장을 받는 학생들이 3만 명이라는 것은 사회구조가 잘못 된 것이며 대학 당국에도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