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7일 중서부 지역에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지며 수십명의 인명 피해가 발생하고, 서울의 기능이 마비됐다. 서울 강남구, 관악구, 서초구 일대에 시간당 100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졌으며, 서울 곳곳이 침수돼 교통과 통신이 두절되고 정전 사태가 잇따랐다. 특히 서울에서는 전례가 거의 없는 산사태가 일어나 백수십 가구가 토사에 휩쓸리고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이번 폭우가 '104년만의 폭우'라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지만, 그렇다고 해도 도심에 성인 허리까지 물이 차오를 정도로 물바다로 변하고 침수된 차도에 시민들이 차를 버리고 '탈출'할 정도는 아니라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시는 그동안 '한강 르네상스'니 '디자인 서울'이니 등등 오세훈 시장의 '보여주기식' 행정으로 수천억원씩 쏟아부었다. 그러나 정작 도시안전문제에 대해선 안이한 태도를 보였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실제로 서울시의 수해방제 예산은 5년 사이 10분의 1로 격감됐으며, 예전부터 지적되어온 수방대책에 있어서는 형식적으로만 대처해왔다. 서울시내 배수처리 능력이 계속 지적되면서 빗물을 땅속으로 흡수할 수 있는 근본대책을 마련해야한다는 주장이 있었지만, 서울시는 '디자인거리' 등의 명목으로 한강공원 및 서울시 일대를 대리석·콘크리트로 덮기 바빴다.

 

또 이전의 수해 피해 지역에 대해 제대로 대처 방안조차 마련하지 않아 예견된 사고를 또다시 겪었다는 비판도 나온다. 지난해 이미 물난리를 겪었던 광화문광장 일대는 올해 또 빗물에 잠겼으며, 대규모 인명피해가 난 우면산 산사태 역시 지난해 폭우 및 태풍으로 폭우 피해를 입었었다.

 

28일 신문들은 이번 폭우 사태를 상세히 다뤘다. 한겨레신문은 1면부터 5면까지 총 5면을 할애해 폭우 피해 상황을 전했으며, 경향신문은 총 7면을 할애했다. 조선일보는 총 7면을 통해 폭우 관련 기사를 실었으며, 동아일보와 중앙일보는 각각 5면, 6면을 할애했다.

 

그러나 침수와 산사태 피해 원인에 대해서는 각기 다른 분석을 내놓았다.

 

한겨레신문과 경향신문은 서울시의 침수 피해가 커진 것은 서울시의 허술한 수방대책과 늑장 행정, 지난 5년간 10분의 1로 격감한 수방예산이라고 지적하며, 당국의 안이한 태도를 비판했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강남 도심의 침수 피해를 키운 서울시의 책임은 언급하지 않았다. 우면산 산사태에 대해서는 상세히 분석했는데, 서초구의 늑장 보수 공사 및 생태공원 조성 공사 등으로 인한 '인재'였다는 비판의 목소리를 전했다.

 

동아일보는 서울시의 방재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면서도 '예산이 부족하다'고 보도해 서울시의 책임 문제를 비껴갔다. 또 자치구 별로 수해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을 전했다.

 

<물바다에 산사태까지…'무방비 서울'>(한겨레, 1면)

<서울시 치수대책 '구멍'>(한겨레, 2면)

<폭우에 취약한 흙지반에 배수로까지 부실>(한겨레, 3면)

<큰비만 오면 마비되는 디자인 서울의 '겉치레' 시장>(한겨레, 사설)

 

한겨레신문 2면 <서울시 치수대책 '구멍'>은 서울시 침수 사태로 "서울시의 치수관리 능력이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고 전했다. 기사는 "지난해 수해 이후 올해 장마철이 지나도록 침수 피해에 대한 실질적인 대비가 이뤄지지 않은 셈"이라면서, "특히 서울시는 일상적인 하수관 관리를 위한 예산마저 충분히 책정하지 않아, 일선 구청에서는 수해 발생 때 응급복구 등을 위해 적립하도록 한 재난관리 기금까지 끌어다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3면 <폭우에 취약한 흙지반에 배수로까지 부실>에서는 "'우면산 산사태'는 집중호우라는 '천재'에, 서울시와 서초구의 관리 소홀이라는 '인재'가 겹쳐 빚어진 참극"이라고 분석했다. 기사는 우면산이 지난해 태풍 '콘파스' 때문에 많은 나무가 제거되고 "3km 길이의 터널 때문에 가뜩이나 연약한 지반이 더욱 약해졌다"는 주장도 나온다고 전했다. 아울러 "서울시와 서초구청이 제대로 된 수해 예방책을 세우지 않은 것도 문제로 꼽힌다"면서, "산의 대부분이 사유지이다 보니 서울시나 구청이 토지주들의 허락 없이 마음대로 배수로를 낼 수가 없다"는 서울시 관계자의 말을 덧붙였다.

 

사설 <큰비만 오면 마비되는 디자인 서울의 '겉치레' 시장>은 서울시 침수 사태에 대해 "폭우이긴 하지만, 도심이 엉망진창이 될 정도는 아니"라며, "하늘이 아니라 사람을 탓해 마땅한 일"이라고 비판했다. 덧붙여,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광화문 일대가 침수되고 청계천이 빗물 통로 기능을 상실한 데 대해 "전 시장의 부실 공사와 현 시장의 태만 탓"이라고 꼬집었다. 또 "200년 빈도, 100년 빈도 핑계를 댈 것이 아니라, 기후 변화로 그런 폭우가 잦아지는 만큼 대비를 철저히 했어야 했다"면서, 서울시가 하수관 확충과 정비조차 제대로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오세훈 시장이 "감사원마저 재고를 요구한 한강 르네상스에 수천억원씩 쏟아 붓는가 하면, 광화문광장 등 주요 시설 겉치장에 수백억원씩" 퍼부었지만, "정작 수방예산은 지난해 66억원 뿐"(2005년은 641억원)이었다고 비판했다. 

 

<500㎜ 테러>(경향, 1면)

<대리석·콘크리트 뒤덮인 서울, 폭우에 맥 못 췄다>(경향, 6면)

<최악의 폭우, 기상 변화 따른 재해대책 시급하다>(경향, 사설)

 

경향신문은 6면 <대리석·콘크리트 뒤덮인 서울, 폭우에 맥 못 췄다>에서 "서울시 수방대책의 허점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며 총체적 문제점을 보도했다.

 

기사는 "서울시가 빗물을 땅속으로 흡수할 수 있는 투수층 도로·인도를 조성하는 근본 대책은 미룬 채 디자인거리 등의 명목으로 대리석·콘크리트로 도심을 덮은 게 영향을 미쳤다는 지적이 나온다"면서, "서울시의 수해방지 예산도 5년 사이 10분의 1로 격감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아울러 우면산 일대와 광화문 광장은 폭우에 의한 피해 사례가 이전에 발생했는데도 유사한 상황이 반복됐으며, 지난해 자연재해 위험지구로 지정된 지역에 추진하기로 한 정비사업도 "아직 착공 전이거나 공사 중이어서 이번 폭우에 아무런 효과가 없었다"고 지적했다.

게다가 "서울시 재난안전대책 본부는 시내 전역에서 비 피해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큰 피해 이외에는 피해 위치에 대한 자료조차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전했다.

 

사설 <최악의 폭우, 기상 변화 따른 재해대책 시급하다>에서는 "100년 만의 폭우라지만 1000만명이 사는 수도의 방재시스템치곤 너무 허술했다"면서, 달라진 한반도의 강우 형태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설은 "서울시는 지난해 폭우 이후 물이 잘 스며들게 하는 근본대책을 내놓지 않고 하수관거나 빗물받이 등을 보급하는 데 치중했고, 상당수 사업이 착공 전이거나 진행 중이어서 늑장 행정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면서 당국의 안이한 대처를 비판했다.

 

아울러 새로운 방재시스템과 대응 매뉴얼 개발, 안전기준 재검토, 기상 예보 기능 강화, 새로운 예보 기법 개발 등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피해 복구 및 수해 피해자에 대한 정부 지원을 촉구했다.

 

 ▲경향신문 6면 기사
▲경향신문 6면 기사 ⓒ 경향신문

 

<서울을 할퀴다>(조선, 1면)

<시간차 폭우…물 빠질 시간 줘 서울이 살았다>(조선, 2면)

<"기상 이변이 이변이 아닌 시대…새로운 防災대책 세워야">(조선, 2면)

<공원 만든다고 파헤치더니…우면산이 화났다>(조선, 3면)

<작년 추석에도 산사태…나무 3000그루 쓸려나가>(조선, 3면)

<대한민국 최대 번화가, 강남역 사거리 '흙탕물 바다'로>(조선, 4면)

<교육 1번지도 잠겼다>(조선, 4면)

<산 대충 깎고 팬션 지어…'산비탈 시한폭탄' 전국 수만채>(조선, 6면)

 

조선일보는 서울 강남 일대가 특히 침수 피해가 심각하다며 그 원인으로 '낮은 지대'를 꼽는데 그쳤다. 서울시의 허술한 수방대책 및 늑장 행정에 대한 문제는 다루지 않았다. 한편 우면산과 춘천의 산사태에 대해서는 비판의 날을 세우며, 충분히 예견된 사고였는데도 정부의 재발 방지 노력이 없다고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2면 <"기상 이변이 이변이 아닌 시대…새로운 防災대책 세워야">에서는 "비 피해가 커진 것은 그동안 장마가 길어지며 지반이 약해질 대로 약해진 상태에서 장대비가 또다시 퍼붓자 이를 견디지 못하고 토사가 흘러내렸기 때문으로 방재 당국은 파악"한다면서, 변하는 기후에 맞는 새로운 방재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전했다.

 

3면에서는 전면을 할애해 우면산 산사태를 전하면서, <작년 추석에도 산사태…나무 3000그루 쓸려나가>를 통해 산사태 원인을 분석했다. 기사는 생태공원 공사로 "산을 깎아낸 게 원인"이라는 주민의 주장을 전하면서, 지난해 태풍으로 3000그루 나무가 뽑혀 완충지대가 없어졌는데 당국이 대책을 소홀히 했다는 이수곤 서울시립대 교수의 지적을 전했다. 아울러 강남순환도로 공사, 우면산 터널, 많은 약수터, 뿌리가 짧은 아카시아 나무 등을 산사태의 원인으로 꼽았다.

 

4면에서는 강남역사거리와 대치역 부근이 완전히 침수된 이유로 '주변보다 낮은 지대'를 꼽았다. <대한민국 최대 번화가, 강남역 사거리 '흙탕물 바다'로>에서는 "강남역사거리가 물속에 빠진 이유는 우선 주변에 비해 고도가 낮기 때문"이라고 전한 뒤, "더 근본적인 이유는 워낙 많은 비가 왔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같은 면 다른 기사에서는 대치동의 배수관이 오래된 것이라 용량이 부족하다면서 "은마아파트가 재개발에 들어가야 공사를 제대로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는 서울시 관계자의 주장을 전했다.

 

<우면산의 재앙>(중앙, 1면)

<우면산 '산사태 쓰나미' 아파트 3개 층 덮쳐…건물 안까지 자동차 밀려 들어와>(중앙, 4면)

<주민들 "곤파스 늑장 복구, 피해 키웠다">(중앙, 5면)

 

중앙일보는 5면 <주민들 "곤파스 늑장 복구, 피해 키웠다">에서 "서울 강남의 대표적인 녹지로 사랑 받아온 우면산은 이번 폭우엔 괴물로 변했다"면서 우면산 산사태 원인을 분석했다.

 

기사는 전문가들이 "수십 년 된 낡은 시설을 보수하지 않은 채 물을 담아 둔 것이 문제를 일으켰다고 지적한다"며 "그동안 서초구가 우면산 곳곳에서 진행한 공사도 산사태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목소리가 높다"고 전했다. 이어 지난해 태풍 피해의 복구 공사가 지연된 것도 문제라고 덧붙였다.

 

<461mm 폭우에 산사태 쓰나미, 52명 삼켰다>(동아, 1면)

<서울 우면산 산사태 평온하던 전원마을, 토사 덮쳐 아비규환 쑥대밭>(동아, 2면)

<강남이 잠길줄이야>(동아, 2면)

<긴 장마에 산이 물 흡수못하고 무너져>(동아, 3면)

<빗물 못 삼키고 도로에 뿜는 서울…방재 시스템 다시 짜야>(동아, 4면)

<집중호우 대책 부실했다>(동아, 사설)

 

동아일보는 2면 <서울 우면산 산사태 평온하던 전원마을, 토사 덮쳐 아비규환 쑥대밭>을 통해 우면산 산사태를 다뤘다. 기사는 "이번 산사태는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인재였다. 우면산 생태공원을 조성하고 남은 건축 자재가 저수지 배수로를 막아 피해를 키웠다"는 주민들의 주장을 전했다. 이어 서초구 관계자는 지난해 태풍으로 불안정해진 지반을 산사태 원인으로 꼽았다고 보도했다.

 

같은 면 <강남이 잠길 줄이야>에서 강남 일대의 침수 피해 사례를 전하면서, "비 피해가 가장 컸던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는 수해방지 예산이 아예 없는 것으로 드러나 화를 키운 게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4면 <빗물 못 삼키고 도로에 뿜는 서울…방재 시스템 다시 짜야>에서는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오 시장이 서울시 하수관의 용량을 30년 빈도로 높이라고 지시했지만 "여기에 필요한 예산만 5조원이 넘어 현실적으로 예산 부족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기사는 전문가들이 "홍수 피해 대책을 전체 도시를 아울러 지구 단위로 세워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며 "일부 자치구에는 수해 방지 예산이 전혀 없어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덧붙였다. 


#폭우#서울#수해#산사태#우면산
댓글

민주사회의 주권자인 시민들이 언론의 진정한 주인이라는 인식 아래 회원상호 간의 단결 및 상호협력을 통해 언론민주화와 민족의 공동체적 삶의 가치구현에 앞장서 사회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입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