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영암사지 석등 영암사지에 세워진 통일신라시대의 석등인 보물 제353호 영암사지 쌍사자석등. 경남 합천군 가회면 둔내리 1659번지에 소재한다
영암사지 석등영암사지에 세워진 통일신라시대의 석등인 보물 제353호 영암사지 쌍사자석등. 경남 합천군 가회면 둔내리 1659번지에 소재한다 ⓒ 하주성

문화재 답사를 하다 보면, '문화재오적(文化財五賊)'이 생각이 난다. 바로 소중한 우리 문화재를 훼손하고 강탈한, 문화재를 훼손한 족속들이다. 내가 '인간'이나 '사람'이라고 표현을 하지 않고, '족속'이라고 강하게 표현하는 것은, 그만큼 많은 문화재들이 수난을 당했기 때문이다.

그 오적의 첫째는 바로 수많은 문화재를 약탈해 간 일본과 많은 나라들이다. 도대체 왜 우리 문화재를 강탈해 가고 돌려주지 않고 있는 것일까? 당연히 오적 중 수괴이다. 둘째는 종교가 다르다는 이유로 많은 문화재를 훼손한 '종교광신자'들이다. 이는 더 이상 설명할 필요도 없다. 어찌 보면 외적보다 더 나쁠 수도 있다. 세 번째는 책무를 다하지 못하고 문화재를 지켜내지 못하는 관계자들이고, 네 번째는 심심풀이로 낙서를 하는 등 무개념한 인간들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문화재에 무관심한 모든 인간들이다.       

화사석 팔각으로 된 화사석과 지붕돌
화사석팔각으로 된 화사석과 지붕돌 ⓒ 하주성

위받침돌 위받침돌에는 커다란 연꽃잎을 조각하였다
위받침돌위받침돌에는 커다란 연꽃잎을 조각하였다 ⓒ 하주성

일본인들이 들고 가려고 했던 영암사지 석등

8월 20일, 비가 내리는 가운데도 답사를 강행한 합천 영암사지. 몇 번이고 찾아가 보려고 했던 곳이었기에, 비가와도 이번만은 답사를 멈출 수가 없었다. 영암사지에 도착했을 때는 더 많은 비가 내리고 있었다. 그러나 영암사지에 도착했을 때, 난 입을 다물 수가 없었다. 물론 발굴 후 복원을 하느라 새로운 석재를 사용하기는 했지만, 그 장엄함에 그저 놀라움을 감출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영암사지에 세워진 통일신라시대의 석등인 보물 제353호 영암사지 쌍사자석등. 경남 합천군 가회면 둔내리 1659번지, 사적 제131호인 영암사지 안에 자리한다. 높은 석축 위에 자리한 쌍사자석등은 양편으로 석등이 있는 곳으로 오르는 석조층계가 아름답게 자리를 하고 있다. 아마도 그 뒤가 절의 중심인 본존불을 모셨던 터인 듯하다.

쌍사자 두마리의 사자가 가슴을 붙이고 석등을 받치고 있는 모습이 걸작이다
쌍사자두마리의 사자가 가슴을 붙이고 석등을 받치고 있는 모습이 걸작이다 ⓒ 하주성

아래받침돌 연꽃과 집승을 새긴 아래받침돌
아래받침돌연꽃과 집승을 새긴 아래받침돌 ⓒ 하주성

이 영암사지 쌍사자석등은 1933년경 일본인들이 불법으로 가져가려는 것을, 마을 사람들이 막아 면사무소에 보관하였다고 한다. 도대체 많은 문화재들을 이렇게 약탈당하면서도, 아직도 제자리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는 수많은 우리의 소중한 문화재들. 참 가슴이 아픈 일이다. 이 석등은 1959년 절터에 암자를 세우고, 원래의 자리로 옮겨 놓았다고 한다.

통일신라시대의 기본 형태인 팔각으로 이루어진 석등

쌍사자석등은 그리 흔하지가 않다. 영암사지 쌍사자석등은, 국보 제5호인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에 견줄만한 아름다움을 보이고 있다. 석등은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을 중심으로 하여, 아래로는 이를 받치기 위한 3단의 받침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을 얹었다. 지붕돌 위에도 상륜부의 석재가 있었을 텐데, 현재는 지붕돌만 남아있다.  

사자의 다리 석등을 받치고 있는 쌍사자의 다리는 힘이 있어보인다
사자의 다리석등을 받치고 있는 쌍사자의 다리는 힘이 있어보인다 ⓒ 하주성

석등 장대석으로 쌓은 석축 위에 석등이 자리하고 있다
석등장대석으로 쌓은 석축 위에 석등이 자리하고 있다 ⓒ 하주성

계단 석등이 있는 곳으로 오르는 석축계단
계단석등이 있는 곳으로 오르는 석축계단 ⓒ 하주성

영암사지 석등은 사자를 배치한 가운데 받침돌을 제외한 각 부분이, 모두 통일신라시대의 기본 형태인 8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래받침돌에는 연꽃모양이 조각되었고 그 위로 사자 두 마리가 가슴을 맞대고 서 있다. 두 마리 사자의 뒷발은 아래받침돌을 딛고 있으며, 앞발은 들어서 위받침돌을 받들었다. 그 두 마리 사자의 다리가 힘이 넘쳐난다. 마치 화사석의 무게를 느끼는 듯하다.

'더 이상 아름다울 수는 없다'

머리는 위로 향하고 갈퀴와 꼬리, 근육 등의 표현이 사실적이다. 화사석은 4면에는 네모난  창을 내고, 기둥을 삼은 4면에는 사천왕상을 힘차게 조각하였다. 지붕돌은 8각으로 얇고 평평하며, 여덟 곳의 귀퉁이마다 자그마한 꽃 조각인 귀꽃 등이 솟아있다. 각 부분의 양식이나 조각으로 보아 통일신라 전성기에 비해 다소 형식화된 면을 보이고 있어, 통일신라 후기인 9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 보물 제353호 영암사지 석등 영암사지 석등. 쌍사자 석등으로는 국보 제5호인 법주사 쌍사자 석등과 비유를 할만하다
ⓒ 하주성

관련영상보기


크지는 않지만, 아름다운 석조미술의 모든 것을 보여주고 있는 영암사지 쌍사자석등. 비가 오는데도 그 앞에 서서 움직일 수가 없다. 만일 이것을 일본인들에게 도난을 당했다면, 이 영암사지 한쪽이 얼마나 허전했을 것인가? 잘 정리가 된 넓은 영암사지 높은 석축위에 서서 다시 한 번 '문화재오적'을 되뇌어 본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티스토리 '바람이 머무는 곳'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영암사지 석등#합천#통일신라#쌍사자석등#보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