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안내판 난중일기에 밝힌 옛 송현마을 이순신 장군의 어머니가 5년간 살았다고 전해지는 집터를 알리는 안내판
안내판난중일기에 밝힌 옛 송현마을 이순신 장군의 어머니가 5년간 살았다고 전해지는 집터를 알리는 안내판 ⓒ 하주성

충무공 이순신 장군은 어머니를 지극한 효심으로 모신 효자였다. <난중일기>에는 이러한 이충무공의 모습이 담겨 있다. 임진왜란 중이었던 1593년 6월에서 12월 사이 팔순에 가까운 어머니를 전남 여수 웅천동 송현마을 정대수 장군 집에 모셔다 놓고 수시로 문안을 드렸다고 한다. 

하루는 노모를 뵙기 위해 일찍 배를 타고 송현마을로 문안을 드리러 왔는데, 기운이 많이 떨어진 어머니의 모습을 보고, 사실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생각에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장군은 어머니를 뵈러 갈 때는 흰 머리카락을 모두 뽑고는 했는데, 이는 늙어가는 아들의 모습을 보고 어머니께서 마음 아파할 것을 생각해서 였다고.

기념비 이충무공의 어머니가 살던 집 터 앞에 세워진 기념비
기념비이충무공의 어머니가 살던 집 터 앞에 세워진 기념비 ⓒ 하주성

유적비 기념비가 서 있는 안쪽 집 한편에 1973년에 세운 유적비
유적비기념비가 서 있는 안쪽 집 한편에 1973년에 세운 유적비 ⓒ 하주성

이순신 장군의 모친이 살던 집터를 찾아가다

10일 오전 일찍 전남 여수 수산시장에 볼일이 있어 내려갔다. 여수에 사는 지인을 만나 함께 장을 보고 오는 길에, 이순신 장군의 어머니께서 사셨다는 집터를 찾아갔다. 길가에는 '이충무공 어머님 사시던 곳'이란 푯말이 붙어있다. 안으로 들어가니 요즘 주변 정리를 하느라, 한창 공사 중이다. 전남 여수시 웅천동 송현마을 1420-1번지. 옛 집터인 듯한 곳에는 거북선에 비를 세운 형상물이 있는데, 이 근처가 이충무공의 모친이 5년간 살았던 곳이라고 한다.

거북비가 서 있는 안으로 들어서면 정면 7칸, 측면 2칸 반 정도의 팔작 겹처마 지붕으로 된 집이 있다. 현재 이 집은 사람들이 거주를 하고 있는데, 현재 거주를 하시는 분은 정평호(79)옹으로 정대수 장군의 후손이다. 이분은 임진왜란 때부터 선조들이 대대로 이 터에서 살아왔다고 한다.

유적지에 자리하고 있는 집 현재 사람이 거주하고 있는 이 집은 1930년대에 지은 것으로 전한다. 그러나 목재나 주추 등을 보면 오랜 역사를 지닌 듯하다
유적지에 자리하고 있는 집현재 사람이 거주하고 있는 이 집은 1930년대에 지은 것으로 전한다. 그러나 목재나 주추 등을 보면 오랜 역사를 지닌 듯하다 ⓒ 하주성


현재의 집주인도 이 집에서 태어나고 자랐다고 한다. 임진왜란 이후 조상 대대로 이 집터에서 살았다는 분들. 집터는 옛집 터지만, 집은 그동안 여러 번 개축을 한 것인지 옛 모습은 찾아보기가 힘들다. 현재 이 집은 예전 충무공의 어머니께서 사시던 집은 아니다. 당시 발굴을 할 때 대들보 등이 발굴된 곳은, 현재 정대수 장군의 후손인 정평호옹이 살고 계시는 집의 부엌과 장독대에 걸쳐 있다고 전한다.

현재 주인이 거주하고 있는 집이 옛 선조들이 살던 집터에 나중에 보수, 개축을 했다고 보면, 이순신 장군의 어머니는 아마 사랑채나 별채에 기거를 하였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당시 이 집에는 정대수 장군의 가족들이 살고 있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건넌방 창호 건넌방의 방문은 띠살창으로 꾸몄다
건넌방 창호건넌방의 방문은 띠살창으로 꾸몄다 ⓒ 하주성

불발기 두 칸 대청의 창호는 불발기로 멋스러움을 더했다
불발기두 칸 대청의 창호는 불발기로 멋스러움을 더했다 ⓒ 하주성

대문 앞에 선 안내문에 보면 '1972년 옛 집이 있던 자리로 추정되는 곳에서 대들보, 마룻대, 세살창문과 같은 집 구조물과 맷돌, 디딜방아용 절구, 솥 같은 세간들을 찾아냈다'고 적혀 있다. 현재 사람이 거주하고 있는 집 주변으로는 수령 300년이 넘는 팽나무가 서 있다. 보호수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팽나무는 수고가 25m에, 나무의 둘레는 5.2m나 되는 거목이다.

정비 때 밝혀진 이충무공의 어머니가 묵던 터

집을 바라보고 우측으로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어머니 유적비가 서 있다. 1973년 이순신 장군의 효심을 그려, 어머니 변씨 부인과 아내 방씨 부인이 살았던 곳에 세운 유적비이다. 이 유적비는 머릿돌은 없고, 비 몸돌만 이중으로 된 받침대 위에 서 있다. 비의 높이는 1.5m에 너비는 40cm이며, 앞면에는 '이충무공모부인초계변씨유적비'라고 쓰여 있다.

현재 유적지 안에 있는 집은 임진왜란 때부터, 그 터에 자리를 잡고 산 정평호옹의 선조들이 살았던 집터라고 주인은 이야기를 한다. 기초 발굴조사 당시 발굴에 참여했던 전문가들은 이 집이 1930년대에 지어진 집으로 보고 있다. 

주추와 기둥 주추는 원형으로 조서을 했으며, 그 위에 팔각기둥울 올렸다. 이런 점으오 미루어 이 집의 역사는 더 이전일 것으로 추정한다
주추와 기둥주추는 원형으로 조서을 했으며, 그 위에 팔각기둥울 올렸다. 이런 점으오 미루어 이 집의 역사는 더 이전일 것으로 추정한다 ⓒ 하주성

당시 지어진 집으로 친다면 상당히 잘 지은 집이다. 과거 조선조 말기의 양반가의 형태로 지은 이 집은, 집을 바라보면서 좌측으로는 마루 끝까지 방을 내밀어 드렸다. 그 옆으로는 건넌방이 있으며, 이어서 두 칸 대청은 창호를 아름답게 꾸몄다. 대청을 지나면 안방과 부엌이 자리한다. 방 앞쪽과 대청 앞으로는 마루를 깔았다.

문화재 발굴조사 후 문화재지정도 고려 해

집을 자세히 살펴보면 예삿집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우선 주춧돌은 원형으로 다듬었으며, 그 위에 팔각기둥을 세웠다. 사방에는 처마 끝에 활주를 받쳐 놓았으며, 전체적으로 보아도 고택의 멋스러움이 그대로 배어있다.

활주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지어진 집은 추며 끝을 받치는 활주를 세웠다
활주겹처마 팔작지붕으로 지어진 집은 추며 끝을 받치는 활주를 세웠다 ⓒ 하주성

여수시 문화재 관련 담당자는 내년에 발굴에 필요한 예산 신청을 했다고 한다. 발굴 후에 이 터가 정확하게 이순신 장군의 어머니가 살던 집이라고 밝혀진다면, 이곳에 복원계획도 고려해 보겠다는 것이다. 그럴 경우 현재의 집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만일 이 터가 발굴조사 후에도 정확한 고증이 드러나지 않는다면, 관광자원으로 활용을 할 것이라고 한다. 어차피 난중일기에 밝혔듯이, 송현마을에 어머니를 모셨다고 기록이 있고, 현재의 집이 정대수 장군의 집터이기 때문이다. 충신이요 효자인 이충무공의 어머니가 살았다는 집터. 그곳에는 충무공에 관한 역사를 안내판을 통해 배울 수 있지만, 아직 발굴이 끝나지 않아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다는 것에 아쉬움이 크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티스토리 '바람이 머무는 곳'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이충무공#어머니가 살던 집#여수#송현마을#정대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