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월매의 집 남원 광한루원 원내에 자리하고 있는 월매의 집 전경
월매의 집남원 광한루원 원내에 자리하고 있는 월매의 집 전경 ⓒ 하주성

6일, 오후까지 일을 보고 잠시 광한루원에 들렸다. 걸어서 20여 분, 카메라 하나를 걸머메고 천천히 걸어 광한루원까지 가는 길에, 은행잎이 떨어져 온통 세상이 노랗게 변해 버렸다. 광한루원은 명승으로 지정이 되어 있는 곳이다. 광한루원이야 유명한 곳이고 수많이 소개가 된 곳이니, 구태여 여기서 또 다시 설명을 하지 않아도 좋을 듯하다.

광한루원 한편에는 '월매의 집'이 자리하고 있다. 언제 적에 조성한 것인지는 몰라도 춘향전에 나오는 정경을 본 따 축조를 했을 것이다. 담벼락 한편에 은행나무가 서 있어 초가 위에 노랗게 떨어진 은행잎이 아름답다. 월매의 집은 대문채와 안채, 그리고 춘향이와 이몽룡이 사랑을 나누었다는 별채인 부용당으로 꾸며져 있다.

가을 월매의 집에도 노랗게 가을이 내려앉았다
가을월매의 집에도 노랗게 가을이 내려앉았다 ⓒ 하주성

가을 월매의 집에 내려앉은 가을을 즐기고 있는 관광객들
가을월매의 집에 내려앉은 가을을 즐기고 있는 관광객들 ⓒ 하주성

전형적인 민가 특징, 잘 나타내고 있어

물론 월매의 집이 문화재는 아니다. 그리고 예부터 있던 집은 더욱 아니다. 그러나 이 집을 돌아보면 예전 민가의 형태를 잘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월매의 집 앞에는 이런 안내판이 서 있다.

월매(月梅)집- 조선시대 우리나라 고전 <춘향전>의 무대가 된 집이다. 남원부사의 아들 이몽룡이 광한루 구경 길에 올랐을 때, 그네를 타고 있던 성춘향에게 반하여 두 사람이 백년가약을 맺은 집으로 춘향 어머니의 이름을 따서 월매집이라고 하였다.

안채 월매의 집을 상징해 조형을 한 안채. 초가 다섯칸으로 되어있다
안채월매의 집을 상징해 조형을 한 안채. 초가 다섯칸으로 되어있다 ⓒ 하주성

안방 안방은 두 칸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부엌 옆에 자리한다
안방안방은 두 칸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부엌 옆에 자리한다 ⓒ 하주성

이 집은 돌담 위에 짚으로 이엉을 올렸으며, 대문은 네 칸이다. 안으로 들어서면서 우측 한 칸은 대문채인 하인의 방이고, 대문, 그리고 좌측 두 칸은 광으로 사용을 한다. 그 옆에는 한 칸으로 지은 측간이 자리한다.

그 측간 위에 은행나무 한 그루가 있어 노랑 은행잎이 떨어져 가을의 분위기를 물씬 풍기고 있다. 누가 가을은 붉다고 하였는가? 이 노랑 은행잎이야말로 가을을 알리는 가장 멋진 색이 아닐까 한다.

건넌방 건넌방은 높임마루를 놓고, 앞에는 난간을 둘러 정자방처럼 꾸몄다. 남부지방의 집에서 흔히 보이는 집안꾸밈이다
건넌방건넌방은 높임마루를 놓고, 앞에는 난간을 둘러 정자방처럼 꾸몄다. 남부지방의 집에서 흔히 보이는 집안꾸밈이다 ⓒ 하주성

마루방 안방과 건넌방의 사이에는 마루방이 한 칸 자리한다
마루방안방과 건넌방의 사이에는 마루방이 한 칸 자리한다 ⓒ 하주성

다섯 칸으로 구성한 안채, 훌륭하네
    
월매의 집 안채는 대문채를 들어서면 정면으로 자리한다. ㅡ자로 서 있는 안채는 모두 다섯 칸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집을 바라다보면서 좌측으로부터 부엌이 자리하고, 부엌 옆에는 두 칸의 안방이 있다. 그리고 한 칸의 마루방과 맨 우측에 한 칸의 건넌방이 있다. 건넌방 앞으로는 높임마루를 놓고 정자와 같이 난간을 둘렀다.

뒤편으로 돌아가면 안방과 대청까지 연결하여 툇마루를 놓았다. 그리고 건넌방 뒤로는 문을 달아 불을 땔 수 있는 아궁이를 놓은 듯하다. 문마다 잠겨 있어 안을 확인할 수 없다는 점이 조금 아쉽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볼 때 이정도 집이라면, 민초들의 집 치고는 상당히 좋은 집이라는 생각이다.

부엌 안채의 한편 끝에 붙은 부엌. 전형적인 민초들의 집 구성이다.
부엌안채의 한편 끝에 붙은 부엌. 전형적인 민초들의 집 구성이다. ⓒ 하주성

집을 돌아보다가 실소를 하다

옆에 서 있는 '부용당'은 굳이 설명을 하지 않아도 좋을 듯하다. 이 대문채와 안채만 갖고도 충분히 아름다운 초가의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집을 돌아보다가 그만 실소를 하고 만다. 그래도 명승에 마련한 집이고, 더욱 춘향전에 나오는 대목으로 꾸민 집이다. 그런데 대문채를 들어서면 대문채 방 앞에 <행랑채- 방자가 식사하는 장면입니다>라는 설명이 붙어있다.

방자가 왜 월매네 집의 행랑채에 묵고 있을까? 그것이야 이도령이 부용당에서 춘향이와 사랑 놀음에 빠져있으니, 이 대문채 행랑방에서 방자가 밥을 좀 먹기로서니 무엇이 문제이랴. 그런데 안채를 돌아보다가 정말 어이가 없는 경우를 본다.

뒤켠 안채의 뒤켠. 안방과 마루대청 뒤로 툇마루를 놓았다. 그런데 이 집에는 굴뚝이 보이지를 않는다.
뒤켠안채의 뒤켠. 안방과 마루대청 뒤로 툇마루를 놓았다. 그런데 이 집에는 굴뚝이 보이지를 않는다. ⓒ 하주성

건넌방 뒤 건넌방의 뒤에는 따로 불을 때는 아궁이를 만들어 놓았다
건넌방 뒤건넌방의 뒤에는 따로 불을 때는 아궁이를 만들어 놓았다 ⓒ 하주성

안채 부엌에는 향단이가 불을 때고 있는 모형이 보인다. 이 안채의 구성으로 보아서 적어도 굴뚝이 두 개가 있어야 한다. 안방에서 나오는 굴뚝과 건넌방에서 나오는 굴뚝이 있어야 한다. 그런데 연도도 없고 굴뚝도 없다. 이런 모습을 보다가 피식 웃고 만다. 불 때는 향단이가 아마 질식해서 죽을 것이라는.

명색이 명승 안에 마련한 집이다. 그리고 수많은 사람들이 찾아오는 곳이다. 그런 곳 안에 마련한 집에 굴뚝이 없다니. 굴뚝 하나가 아무것도 아니라고 해도 그렇다. 이런 경우를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할까? 그저 건성으로 대충 만들어 놓고 보여주는 전시행정. 참으로 멋진 월매네 집의 '옥에 티'란 생각이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티스토리 '바람이 머무는 곳'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월매의 집#광한루원#남원#명승#굴뚝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