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전보다 한국 여성의 대학진학률은 높아졌지만 경제활동 참가율은 제자리걸음인데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5개 회원국 중 남녀 소득 격차는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OECD는 지난 5월 발표한 '교육·고용·직업가 정신에 관한 양성평등 보고서'에서 "이제 한국 여성들은 남성과 거의 동등한 교육 기회를 누리지만, 경제활동 참여율은 20년 전 그대로"며 "여전히 한국 남성들은 집안일을 잘 돕지 않고, 사회는 여성이 출산과 동시에 직장을 그만 두길 바란다"고 지적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1990년 31.9%였던 여성의 대학진학률은 2010년 80.5%까지 늘어났다. 하지만 같은 기간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47%에서 2.4%포인트 증가하는 데 그쳐, 49.4%를 기록했다. OECD 기준으로 계산한 2010년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54.5%였다.
☞ 2012 OECD 양성평등 보고서 그림 크게 보기OECD는 "1950년까지만 해도 한국의 국민 1인당 소득이 50달러 미만이었으나 2011년 2만 7000달러를 넘겼다"며 그 원인을 "1960년대에 교육 분야 투자에 집중하고, 산아제한 정책으로 자녀수가 줄어 여성들도 남성과 동등하게 교육받게 된 것"에서 찾았다.
하지만 "여전히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낮으며 39%포인트에 달하는 남녀 소득격차는 조사대상인 OECD 25개국 가운데 1위이고 매니저급인 여성도 드물다"며 "한국 정부가 일-가정 양립정책을 강화하고 있지만, 노동시간이 길고, 퇴근 후에도 집에서 일을 하며 근무기간 등에 따라 임금이 다른 '연공서열제' 문화가 있는 한 정책 효과는 적을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또 "2018년부터 노동인구가 줄어들고 인구배당(Demographic dividend) 효과가 떨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구배당 효과란 전체 인구에서 생산가능 인구 비율이 늘어나면서 경제성장률이 높아지는 현상으로, 인구보너스 효과라고도 한다.
OECD는 이에 대비하려면 "한국 남성은 더 가사분담을 해야 하고, 여성 임금노동자가 늘어나야 하며, 직장 문화도 가정친화적으로 변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