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노조가 17일 노동조합원 총회를 열어 파업 중단 결정을 내렸다. 지난 1월 30일에 전면파업을 시작한 이후 정확히 170일 만에 업무에 복귀하기로 한 것. 노조의 이 같은 결정은 8월 8일부로 현 방문진 이사진의 임기가 끝나고 새로운 이사진이 꾸려지면 김재철 사장이 확실히 퇴진하리라는 노조 집행부의 확신에 기초한 것이다.
☞ 아이튠스에서 <이털남> 듣기☞ 오마이TV에서 <이털남> 듣기정영하 MBC 노조위원장은 18일 오마이뉴스 팟캐스트 방송 <이슈 털어주는 남자(이털남)>에 출연해 MBC 노조의 파업 중단과 관련해 전후 상황을 이야기했다. 정 위원장은 "단순하게 기사, 풍문 등으로 복귀 결정을 내린 것은 아니"라며 "19대 국회 개원 협상 후 여야 간의 합의 이후 170일간의 저항이 공적인 의미로 잘 모였다고 종합적으로 판단했다"고 밝혔다. 19대 국회 개원 당시 여야는 MBC를 특정하며 언론사 파업 문제와 관련해서 8월 초 문방위에서 언론관련 청문회가 개최되도록 노력한다는 선에서 합의를 도출했다.
당시 국회의 합의가 김재철 사장의 퇴진으로 바로 연결되느냐는 지적에 정 위원장은 "합의문 내용도 중요하지만 진정성을 가지고 여론을 모았다는 사실이 더욱 중요하다"며 "(여론의 지지를 받는) 그런 상황에서 피해갈 수 없으리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여야가 모두 MBC의 심각성을 인정한 상황에서 국민에게까지 파업의 진정성을 인정받았다면 문제 해결에 큰 어려움이 없으리라는 생각이다.
그러나 단순히 보자면 김재철 사장의 퇴진이 곧 모든 문제의 해결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애초에 노조가 주장했던 공정방송의 구현은 새로운 사장과의 인사·조직 개편 문제 협상, 기존 계약직 근로자들의 거취 문제, 국민의 신뢰와 시청률 회복, 방송 프로그램 정상화 등 다양한 조건의 해결을 전제하는 사안이다. 당장 김재철 사장이 물러난다고 해서 이 모든 문제가 사라지지는 않는다.
이에 대해 정 위원장은 단계적으로 해결해 나가야 하는 문제지만 그 시작은 당연히 김재철 사장의 퇴진이라고 말했다. 또 정 위원장은 당면 과제를 설명하면서 "새 사장이 잘 들어오시면, 노사 협상을 통해서 끊임없이 문제 제기를 하고 머리를 맞댈 것"이라며 "단협을 지키지 않으면 벌칙을 강화한다거나 하는 제도적 방법을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만약 새 사장이 들어서서도 문제가 제대로 해결이 안되면 파업 재연 역시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총선을 앞두고 야권 인사가 몰린 MBC 노조의 파업이 사실상 정치적 파업이었다는 일각의 시선에 대해서도 정 위원장은 "우리가 방송의 정상화를 요구한 데에는 국회 여야 모두와 청와대까지도 포함되어 있었다"며 "현재 방문진법상 국회와 청와대 모두 책임을 벗어날 수 없다"고 말했다. 해임 권한과 문제 해결 능력이 있는 이들 모두가 책임져야 했던 사안이라는 주장이다. 덧붙여 정 위원장은 "가을이 되면 이 점을 반영하여 특정 세력에 주문하지 않아도 문제가 생기면 해임이 발동될 수 있는 제도를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