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6월 18일 월요일나는 강원도 양구와 인제에 있는 광치령을 넘어 인제군으로 입성했다. 광치령은 660고지였는데, 역시 무거운 자전거를 끌고 고개를 넘는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니었다. 하지만 난 힘든 기색을 할 수가 없었다. 왜? 이제 곧 한계령을 넘어야 했으니까!
"실례하지만, 여기 읍사무소가 어디에요?"힘들게 광치령을 넘었던 터라, 읍사무소에서 물도 얻어 마시고, 인제군 여행지도도 얻어갈 생각이었다.
"읍사무소는 남쪽으로 한참 가야 하고, 저쪽으로 조금만 가면 면사무소가 있어요.""예? 여기가 원통읍이 아닌가요?""원통은 원통리이고, 여기는 읍이 아니라 북면이에요. 인제군 북면."'읔! 원통읍이 아니라 원통리였다니! 원통의 정확한 행정상 지명이 인제군 북면 원통(元通)리였다니!' 정말 창피한 일이었다. 나름대로 국내 여행을 많이 다녀봤다고 자부했던 나인데, 원통이 행정구역상 '리' 단위였다는 걸 그제야 '처음 알았다니!'. 너무 부끄러웠다. 사실은 내 얇은 지식이 들통이 나서 더 창피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자칭 아웃도어 여행가라면서, 그런 것도 모르다니!'
우리나라에서 '읍' 단위의 지명이 그 상위 행정구역인 '시˙군' 단위와 차별화되어 자체적 '네이밍' 파워를 가진 곳이 몇 군데 있다. 가야, 강경, 광천, 삼랑진, 벌교 등이 그곳이다. 강경은 충남 논산시 강경읍, 광천은 충남 홍성군 광천읍, 삼랑진은 경남 밀양시 삼랑진읍, 벌교는 전남 보성군 벌교읍이 공식적인 행정 지명이다. 고대연맹 국가인 가야국에서 지명을 따온 가야읍은 경상남도 함안군에 속해 있는 곳으로 굳이 따로 설명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벌교도 소설 <태백산맥>의 주 무대였으니, 잘 알 것이다.
강경과 삼랑진은 조선 후기 대동법 시행 이후, 쌀의 집산지로 유명한 곳이 되었다. 강경은 금강을 통해, 삼랑진은 낙동강을 통해 바다로 출항할 수 있는 곳인데, 그만큼 내륙 수운 교통의 요지였던 것이다. 광천은 '광천김'으로 유명한 곳이다. 2011년 자전거여행 당시 난 그곳에 들러 '광천김'을 한가득 샀었다. 장거리여행을 할 때는 손수 밥을 지어 먹으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여행자와 궁합이 잘 맞는 밥도둑들을 데려가야 할 것이다. 그런 의미로 나에게 '광천김'은 A급 밥도둑이었다.
이렇듯 읍 단위의 지명이 그 상위 행정구역인 시나 군만큼 입에 자주 언급되는 경우는 종종 봐 왔지만, 리 단위의 지명이 군 단위의 '브랜드 파워'와 필적하는 경우는 원통리가 유일할 것으로 여겨진다.
원통이 읍이였어?... '광천김'은 A급 밥도둑
그럼 여기서 필자는 한 가지 의문이 들었다. 언제부터 원통리가 인제군과 짝을 이루어 '인제 가면 언제 오나 원통해서 못살겠네!'라는 애절한 슬로건 대명사를 낳게 됐는가에 대한 의문이었다.
강원도 군번들이 입에 달고 사는, 아리랑 곡조보다도 더 애절한 이 말의 출현시기가 궁금했던 것이다. 사실 충청북도 청원군 내수읍에도 원통리가 있다. 하지만 인제군의 원통리와 비교하면 그 존재감이 덜해서 일반 사람들의 눈길을 사로잡지는 못하지 않던가. 더군다나 '청원 가서 원통하다!'라는 말은 없으니까.
인제군 원통리의 지형은 생각보다 험하지 않다. 북쪽으로는 명당산(764m)이 있긴 하지만, 동쪽으로는 소양강을 향해 가는 북천이 흐르고 있어 비교적 완만한 지형을 나타내고 있다. 그래서 원통리에는 원통체육공원도 자리 잡고 있다. 차라리 한계령을 품고 있는 한계리의 지형이 험하면 더 험한 듯싶었다.
원통(元通)은 원래 원산으로 가는 길목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설악산과 금강산을 넘으면 바로 원산이니 그런 명칭이 붙여진 것이다. 하지만 그런 지리적인 의미의 명칭은 한국전쟁과 분단 그리고 군사도시로 변모한 인제군의 모습 속에서 그 의미가 확연히 달라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마음속에 '슬픈 아리랑' 한 곡조씩을 품고 사는 강원도 군번들에게 '인제'와 '원통'이란 명칭은 심심풀이 땅콩 같은 푸념거리의 소스로 제격이었던 것이다.
원통에 대해서 '왜 그리 장황하게 이야기를 했느냐'고 필자에게 질책하시는 분들도 있을 것 같다. 자전거여행을 하는 것인지 '명칭 따라 삼천리'를 하는 것인지 혼란스럽다고 비판의 화살을 내게 발사하는 분들도 계실 것 같다.
필자는 원통을 보면서 한국전쟁과 뒤이은 분단으로 인해 해당 지역 명칭이 일반사람들에게 어떤 식으로 각인되는지에 대해서 주목해 본 것이다. 예를 들어 지리산 피아골 같은 경우도 원래는 곡식인 피가 많이 재배된 지역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지리산 빨치산 토벌과정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죽어, 골짜기가 피로 넘쳐 났다는 변형된 의미가 일반 사람들에게는 '상식'으로 통하게 됐다는 것이다.
한계령 초입에 해당하는 한계교차로에 도착한 시간은 오전 12시 경이었다. 40Kg 달하는 자전거를 끌고 한계령을 넘기 위해서는 꼼꼼한 준비가 필요했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늦어졌다. 행동식은 준비가 됐는가? 식수는 몇 통을 챙겼는가? 만약 밤샘 이동을 한다면 체력적으로 버틸 수 있겠는가? 등등의 물음에 대한 답을 충족시키려면 시간이 좀 필요했다. 한계령이 어떤 곳인가? 설악산을 가로질러 동해로 나아갈 수 있는 높디높은 고개가 아니던가!
한계교차로에서 46번 국도를 타고 북쪽으로 가면 미시령 고개를 넘을 수 있고, 44번 국도를 타면 한계령에 다다를 수 있다. 인제군에서 만난 사람들은 인접 도시인 속초로 갈 때 주로 미시령 도로를 이용한다고 했다. 미시령은 터널로 연결됐기 때문에 보다 더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굳이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꼬불꼬불한 한계령을 이용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생각해보니, 나도 서울에서 속초로 차를 타고 이동할 때는 주로 미시령을 이용했다.
뜨거운 여름 햇살을 받으며 나아갔지만, 설악산 속살을 다 볼 수 있다는 생각에 콧노래가 절로 나온다. 더군다나 차가운 개천이라는 뜻의 한계(寒溪)로 들어가는데, 그 정도의 노고는 감수해야 하지 않겠나.
확실히 자동차 여행과 자전거 여행은 차이가 난다. 아무리 한계령이 험하다고 하지만, 자동차로 1시간 정도면 반대편 양양군에 입성할 수 있다. 그러나 그렇게 빠른 속도로 달리다보면 놓치는 것들이 많아진다. 공간을 빨리 이동할수록 인간의 두뇌가 '패스'시키는 지리적 장면들이 많아진다는 것이다. 하긴 운전에 집중하는 것도 힘든 일인데 그 수많은 자연풍광들을 어떻게 일일이 다 지켜보겠는가.
비록 중고 자전거지만 엄연히 내 자전거도 이름을 가지고 있다. 블루야크. 내 자전거가 푸른색이라 국내 모 아웃도어 브랜드 명칭을 빗대서 그렇게 지어본 것이다. 내 자전거가 무적 철TB라 히말라야 야크들처럼 튼튼하다는 의미에서 그런 네이밍을 붙여본 것이다. 다른 사람이 시비를 거는 것도 아니니까.
산중에서의 밤은 빨리 찾아온다. 어차피 야간 이동을 각오했지만, 밤이 되니 덜컥 무서운 생각이 든다. 남는 건 사진이라고 가다 서다를 반복하며 사진을 찍었던 터라 시간이 더 지체 됐던 것이다. 나도 블루야크도 지쳐갔다. 이전의 여행들을 통해 많은 경험이 쌓였지만, 한밤중 산중에서의 이동은 역시 만만치 않은 일이었다.
지친다고 안 갈 수 있겠는가! 무거운 블루야크를 끌고 걸음에 걸음을 계속했다. 이렇게 걷다보면 언젠가는 한계령에 올라서서 양희은씨의 '한계령'을 부를 수 있다는 생각에 블루야크에게 '채찍'을 가하며 재촉했다. 칠흑 같은 어두운 산중에서 홀로 고독과 탈진 사이를 오가며 계속 걸음에 걸음을 더했다. 그런 외로운 길에도 친구는 있는 법이다. 뻐꾸기, 소쩍새 등등의 산새들이 내 귀를 밝게 해주었다. 시각적으로는 어두웠으나 청각적으로는 무척 경쾌했다.
가고, 또 가고 하다보니 결국 한계령 정상에 도착했다. 정확히는 고도 920m인 한계령 휴게소에 도착했던 것이다. 시계를 보니 밤 10시가 넘은 시각이었다. 난 쾌재를 불렀다. 애초 예정했던 시각보다 빨리 도착했기 때문이다. 적어도 20시간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을 했는데 반 밖에 걸리지 않았으니까. 그러고보면 여행하면서 어떤 이동수단을 선택했느냐에 따라 시간을 바라보는 태도도 달라지는 듯 싶다. 10시간이면 고속버스로 서울에서 속초까지 왕복 2번을 할 수 있는 시간이다.
'블루 야크' 타고, 한계령을 10시간 만에 주파
만약 누군가가 자동차로 한계교차로에서 한계령까지 오는데 10시간이 걸렸다고 하면 어떤 일이 발생을 했을까? 그 운전자가 설악산에 사는 신선이 아닌 이상 무슨 큰 사단이 일어나지 않았을까? 적어도 동승한 사람은 10시간 동안 운전자의 짜증과 욕설에 노출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난 그 거리를 10시간 만에 주파했다고 스스로를 대견스럽게 생각하고 있으니, 이것은 분명 교통수단에 따른 '여행시간 체감변동법칙'이 존재한다고 여겨지는 대목이다.
애초 한계령 관통도로는 1972년에 군사용 도로로 개통된다. 그러다 한 공병부대가 6년간의 노력 끝에 1978년 포장도로로 탈바꿈시켰던 것이다. 그러고 보면 일반 국민들이 자동차로 한계령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된 것이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는 말이다. 하지만 이런 한계령 관통도로에 대해서 비판의 목소리가 있다. 소설가 박태순씨가 쓴 <나의 국토, 나의 산하 1>에 한계령 관통도로에 대한 내용이 있어 잠시 인용해본다.
"공병부대원들의 노고와는 상관없는 것이었지만 애당초 잘못 설계되고 아울러 무리한 산복도로 공정으로 사고가 발생되곤 한다. 절개와 절삭, 백두대간의 산세와 지세를 아예 무시하고 묵살시켜 벼랑길을 내게 한 것이다."박태순 작가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70년대, 그것도 공병부대에 의해 개설된 도로이기에 지금의 환경영향평가와 같은 것은 아예 꿈도 못 꾸었을 것이다. 백번 양보해서, 환경적인 면은 그렇다 하더라도 '벼랑길'은 눈에 보이는 현재적인 위협이 된다. 이 부분은 필자도 제대로 경험을 했다. 앞서도 언급했듯이 인제군에 거주하는 주민들도 안전상 문제로 인해 한계령을 잘 이용하지 않는다는 하지 않던가! 한계령에 대한 접근성을 용이하게 해준 것은 인정되나 그만큼 '목숨 걸고' 한계령을 넘어야 한다는 것이 안타깝다는 것이다.
자정이 다 되어가는 시각, 한계령은 그 말뜻대로 정말 서늘했다. 준비해 둔 잠바를 꺼내 입었는데도 추위에 오들오들 떨 정도였다. 변덕스럽게 끼고 지고를 반복하는 안개를 보고 있자니 몽롱한 기운도 느껴졌다. 가수 양희은씨의 '한계령'을 한 곡 제대로 뽑고 싶었지만, 한여름에 맞는 추위에 입이 얼어붙었는지 난 그저 따뜻한 커피만 홀짝였다. 제설장비를 모아두는 창고에다 베이스캠프를 친 후 나는 싸늘한 한계령의 날씨를 원통해하며 잠이 들었다. 잠결이었나? 누군가 내게 말을 이런 말을 해주는 것 같았다.
"인제서라도 와줘서 고맙습니다. 원통한 마음은 거두고 편하게 잘 쉬었다 가세요!"내가 잠든 사이 한계령이 내게 와서 속삭이듯 이 말을 남기고 간 듯싶었다.
덧붙이는 글 | http://blog.daum.net/artpunk 제 블로그에도 게재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