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명정 두 개의 샘이 나란히 있다. 우측은 '일정'이라 부르고 좌측은 '월정'이라고 하며 두 개를 합쳐 명정이 된다
명정두 개의 샘이 나란히 있다. 우측은 '일정'이라 부르고 좌측은 '월정'이라고 하며 두 개를 합쳐 명정이 된다 ⓒ 하주성

참 까다로운 샘도 다 있다. 샘을 보호하기 위해 샘 위에 전각을 지으면 마을에 돌림병이 돌고, 상여나 시신이 근처로 지나가면 물이 탁해진다고 한다. 그래서인가 샘 이름도 '명정(明井)'이라고 한단다. 경남 통영시 명정동에 소재한 충렬사의 입구 길 건너편에 자리하고 있는 샘이다.

이곳 사투리로 '정당새미'라고 부르는 이 샘은 현재 경상남도 기념물 제273호로 지정되어있다. 이 우물이 언제부터 이곳에 있었는지는 정확하지가 않다. 다만 그 전부터 있던 샘을 1670년 제51대 통제사인 김경이 중수하여 지금의 샘처럼 조성을 했다고 한다. 샘을 조성한지가 벌써 350년 가까이 되었다.

입구 통영시 명정동에 소재한 충렬사 길 건너편에 자리한다
입구통영시 명정동에 소재한 충렬사 길 건너편에 자리한다 ⓒ 하주성

샘은 네모나게 조성하여 두 개가 나란히 있다. 위 샘은 '일정(日井)'이라 부르고, 아래 샘은 '월정(月井)'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월정 안에는 푸른 이끼가 가득 끼어 있다. 아마도 청소를 한 지가 꽤나 오래된 듯하다. 월정은 비교적 깨끗한 편이다. 두 개의 샘의 물은 맑은 편이며, 샘의 아래쪽에는 길고 네모난 큰 물 가둠 장소가 있다.

처음에 위 샘을 팠는데, 물이 탁했다고 한다. 그러다가 그 밑에 샘을 하나 더 팠더니 물이 맑아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두 개의 샘을 판 후 물의 배출량까지 많아졌다는 것이다. 이 두 개의 샘을 합하여 '명정'이라고 부른다. 원래 이 명정은 충렬사에서 전용하였으나, 이 근처에 민가가 들어서기 시작하면서 식수로도 사용했다고 한다.

일정 경상남도 기념물 제273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명정의 먼저 판 우물인 일정.
일정경상남도 기념물 제273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명정의 먼저 판 우물인 일정. ⓒ 하주성

월정 일정을 팠더니 물이 탁해 또 하나를 곁에 팠다는 월정.
월정일정을 팠더니 물이 탁해 또 하나를 곁에 팠다는 월정. ⓒ 하주성

지붕 만들었더니 병이 돌고... '노천 샘'으로 350년

문화재 답사를 하면서 우물에 얽힌 전설을 많이 들었다. 마을마다 공동우물에는 한 가지씩의 전설은 꼭 있는 법이다. 그 전설 중 가장 많은 것은 '샘이 넘치면 마을에 경사가 있고, 마르면 마을에 흉사가 생긴다'거나 '샘의 물자리를 찾는데 지나가는 백발노인이나 노승이 샘 자리를 가르쳐주었다'라는 등의 이야기이다.

지금은 그런 곳이 없겠지만, 옛날에는 물이 있는 곳에 마을이 생겨났다. 물은 그만큼 우리가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것이다. 하기에 마을에서 사용하는 우물이 탁해진다는 것은 곧 그 마을의 폐허를 불러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통영의 명정샘에도 이런 전설이 전하고 있다.

명정은 두 개의 우물이 나란히 있다. 일반적인 샘처럼 깊지도 않다. 그러나 물은 얕지만 매우 맑다. 이 우물은 주위로 시신이나 상여가 지나면 물이 탁해진다고 한다. 지금도 이 명정샘 곁으로는 상여가 지나지 못한다고 한다. 또한 샘을 보호하기 위해서 두 개의 샘 위에 팔각정으로 지붕을 만들었더니, 마을에 질병이 돌았다고 한다.

그래서 이 샘은 그대로 노천 샘으로 남아있다. 이 두 개의 샘인 일정과 월정은 그 용도가 다르다. 일정은 충렬사에서 제향을 지낼 때 사용하고, 월정은 주민들이 식수로 사용했다고 한다. 우물을 촬영하고 있는데 어느 어르신이 무엇을 하느냐고 물으신다. 우물 기사를 쓰려고 사진을 찍는다고 했더니, 얼른 나오라는 것이다.

물 저장소 우물 아래에는 길게 물 저장을 할 수 있도록 조성을 하였다
물 저장소우물 아래에는 길게 물 저장을 할 수 있도록 조성을 하였다 ⓒ 하주성

"다 찍었습니다. 나갈게요."
"거긴 외부사람이 들어가면 안 되는 우물인데"
"무슨 이유가 있나요?"
"이순신 장군의 제향 때 사용하는 우물인데, 외지사람들이 드나들면 부정타거든."

그 이야기에 할 말이 없다. 아직도 이곳 우물을 신성한 것으로 여기는 명정샘 주변 사람들. 세월이 그렇게 흘렀는데도 전설은 하나도 변하지 않았다는 생각이다. 오히려 마을주민들이 그렇게 영험한 샘으로 믿고 있기에 보존이 잘 되는 것이겠지만.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다음 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정당새미#명정#일정#월정#통영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