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정현 새누리당 공보단장(자료사진)
 이정현 새누리당 공보단장(자료사진)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의 정수장학회 대응이 강경 일변도다. 측근도 박 후보의 입장을 강변하는데 열을 올리다 보니 군사 쿠데타로 세워진 과도통치기구를 '혁명정부'라고 잘못 말했다가 취소하는 일도 벌어졌다.

23일 오후 이정현 공보단장은 당사에서 비공개 브리핑을 통해 전날에 이어 또다시 정수장학회에 대한 박 후보의 입장을 두둔했다. 이 단장은 정수장학회 문제와 박연차 사건을 비교하면서 정수장학회(당시 5·16장학회) 설립과정에서 일어난 '부일장학회 강탈'을 합리화하려 했다.

이 단장은 "박정희 정부, 그러니까 그 당시는 정부가 아니라…, 혁명정부 시절이었다 치더라도 어쨌든 형태가 정부가 공개적으로 헌납을 받은 사안이다. 한쪽은 대통령의 친척 인척 측근과 권력실세가 관련된 사적인 것이고, 한쪽은 공적인 공익재단이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난데없이 노무현 정부 시절의 박연차 사건을 끄집어낸 이 단장은 박연차 사건은 사적인 비리이고, 정수장학회는 당시 정부가 공개적으로 헌납받은 사안임을 강조하면서 "어떤 게 국민들로부터 지탄받을 과거사인지 민주당은 한번 생각해봤으면 좋겠다"고 했다.

그러나 '혁명정부'라는 말은 옳지 않다. 혁명정부라는 말은 쿠데타를 혁명으로 둔갑시킨 쿠데타 주체세력에 의해 널리 쓰이게 된 말이다. 군사정부라는 말이 일반적이고, 당시 군사정부의 최고의결기관은 국가재건최고회의였다. 국가재건최고회의는 1961년 5월 16일 군사쿠데타로 꾸려진 최고의결기구인 군사혁명위원회가 이름을 바꾼 것으로, 1963년12월 17일 제3공화국 출범 전까지 쿠데타 세력이 입법·사법·행정의 3권을 독식한 비정상 통치기구였다.

이 단장의 말은 일반인도 군 검찰이 기소하고 군사법원에서 재판을 하는, 모든 권력이 군부에 집중된 상황에서 이뤄진 부일장학회 헌납을 '정부에 헌납한 것'이라고 정당화한 것이다.

이 단장이 무심코 혁명정부라는 말을 썼지만, 5·16 군사쿠데타는 혁명이라는 인식을 노출한 셈. 기자가 이 점을 지적하자 이 단장은 "내가 혁명정부로 말했던가? 그 부분은 취소하겠다. 그 당시 정부를 정식으로 하자면 국가재건최고회의 그 거였다. 정식으로 취소하겠다"고 정정했다.


#이정현#혁명정부#정수장학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상근기자. 평화를 만들어 갑시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