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방송국'을 세우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종자돈 마련을 위해 모금 운동을 진행하자는 온라인 청원에는 5일 만에 6만여 명이 참여했고, 트위터 등 SNS에도 관련 글이 계속 올라오고 있다. 그 열기만큼 차분한 대응과 준비를 지적하는 목소리 역시 나온다. 과연 텔레비전 화면에서 '국민방송국'을 보는 날이 올까.
국민방송국 설립 움직임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해직언론인들을 중심으로 한 인터넷 팟캐스트 방송 <뉴스타파>를 안착시키자'는 것이다. 2012년 1월 시작한 <뉴스타파>는 얼마 전 시즌2가 끝났다. 첫 번째 시즌은 노종면 전 YTN 노조위원장이 앵커로 나섰고, 이번에는 이근행 전 MBC PD가 주축이었다. <뉴스타파>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언론노동조합에서 지원하는 형식으로 제작돼 시즌이 끝날 때면 언론노조 파견기간이 끝난 제작진들은 각각 소속 언론사로 돌아갔다. <뉴스타파>의 콘텐츠는 좋은 평가를 받고 있지만, 지속적인 보도가 어려운 이유 중 하나다.
이강택 언론노조 위원장이 국민방송국 설립의 첫 번째 조건으로 '사람'을 꼽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이 위원장은 24일 <오마이뉴스>와 한 통화에서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한시적으로 운영해본 <뉴스타파>를 상설화하려면 어떻게 인력을 충원할지가 고민"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민방송국도 결국 제작할 사람들이 있어야 한다"며 "해직 언론인들의 결단이 있고, 여기에 독립 미디어 운동 쪽의 역량이 더해진다면 (국민방송국의) 주체를 세울 수 있다, 그게 가장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콘텐츠의 질을 담보하면서 언론의 공정성과 독립성 등을 추구할 수 있어야 하므로 "관건은 역량 있는 사람들의 결집"이라고 강조했다.
<뉴스타파>, "내년 3월 방송시작" 목표
이와 관련해 <뉴스타파>는 이날 시즌3 준비회의를 열었고, 그 결과를 누리집에 공개했다. 제작진은 '공익재단 뉴스타파'를 설립해 2013년 3월 방송을 시작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방송은 2회를 기본으로 하되, 재원과 인력이 확보되는 수준에 따라 주간 방송 회수를 늘릴 계획이다. <뉴스타파>는 "해직 언론인 등 방송 인력을 대거 충원하는 한편 TV 모니터로 보다 쉽게 볼 수 있는 방안도 찾겠다"고 밝혔다.
물론 사람뿐 아니라 '돈'도 중요하다. 정연우 세명대 광고홍보학과 교수는 "1998년쯤에도 국민주 지상파 방송을 만들자는 얘기가 있었지만, 신문보다 돈도 훨씬 많이 들고 안정적으로 자리 잡기까지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좌절됐다"며 "(국민방송국이 되려면) 수익 모델이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MBC 한 해 예산이 7000~8000억 원 정도인데, 대안방송 기능을 하려면 1000억 원 정도는 있어야 한다"며 "월 1만 원씩 내는 후원회원이 100만 명은 있어야 한다"고 계산했다.
"역량 있는 사람들이 모여야"..."협동조합, 이상적 대안언론 구조"
'협동조합'은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생협처럼 조합원을 모집해 출자금을 마련하고, 조합비로 방송국을 운영하자는 것이다. 5개월 전부터 협동조합 방송사를 구상해 왔다는 김용민 <나는 꼼수다> PD는 "기계적 중립 등을 극복하고, 권력과 자본으로부터 독립하는 대안언론의 구조로는 협동조합이 이상적"이라고 말했다. 다만 방송을 케이블채널로 할지, 인터넷TV(IPTV)로 할지는 밝히지 않았다. 김 PD는 "국민들이 원하는 건 인터넷 동영상이 아닌 TV방송인만큼, 구현 방법이 가장 큰 고민이었는데 답이 거의 나왔다"면서도 "아직은 보안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 다음 과제로는 '조합원을 얼마냐 모으느냐'를 꼽았다.
정답은 없지만, 갈 길은 멀다. 한 원로 언론인은 "(국민방송국 설립이) 필요한 거야 누구나 느끼지만, 과연 현 시점에서 가능하냐는 또 다른 문제"라며 "짚어야 할 일들이 너무 많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대안언론이 <오마이TV> <하니TV> <아프리카> 등 기존 인터넷 방송에 <나꼼수> 측이 참여한 협동조합 추진팀, 그리고 <뉴스타파>팀으로 나뉘는 것을 지적하며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그룹들이 융합할 수 있는가 등 고려해야 할 대목들이 굉장히 많은 만큼, 종합적으로 볼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채널 확보'도 문제로 지적됐다. 그는 "신문은 그냥 돈을 모아서 등록 요건을 갖춘 뒤 신청하고, 윤전기 하나 갖다 놓으면 됐다"며 "방송은 일반 케이블 방송이든 종편이든 방송통신위원회(아래 방통위·위원장 이계철) 허가 사항인 데다 규제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오마이뉴스>가 24일 오후 방통위 방송채널정책과에 문의한 결과, 방통위는 현재로선 종편이나 보도전문채널 등의 승인 신청을 받을 계획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