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시민환경연구소가 2월 7일 삼성전자 화성공장 주변 식물을 채취한 결과, 대기 중 불소 농도 추정치가 나왔다. 그러나 지난 1일 국립환경과학원은 "1월 29~30일 대기질 정밀측정결과 사고공장 내부에서 미량의 불소가 검출됐을 뿐"이라고 발표했다.
시민환경연구소가 2월 7일 삼성전자 화성공장 주변 식물을 채취한 결과, 대기 중 불소 농도 추정치가 나왔다. 그러나 지난 1일 국립환경과학원은 "1월 29~30일 대기질 정밀측정결과 사고공장 내부에서 미량의 불소가 검출됐을 뿐"이라고 발표했다. ⓒ 시민환경연구소

최근 불산 누출사고로 1명이 숨진 삼성전자 화성공장 주변에서 불소가 검출됐다. 김정수 시민환경연구소 부소장은 "원인이 명확하지 않지만, 삼성전자 주변 지역에 (불산사고) 영향이 분명히 나타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김 부소장은 14일 오전 환경재단 레이첼카슨홀에서 열린 '산업단지 화학물질안전관리제도 개선 방안' 토론회에서 지난 7일 삼성전자 화성공장 주변에서 채취한 식물시료를 분석한 결과 15개 중 9개에서 불소가 검출됐고, 이를 바탕으로 추정한 대기 중 불소 농도가 최고 2.59ppm인 곳도 있다고 발표했다. 대기 중 불소 농도는 이번 사고로 불산이 공장 밖으로 누출됐는지 아닌지를 파악하는 데 쓰이는 지표 중 하나다.

산업안전보건법상 근로자의 1일 8시간 작업시 불소 노출 기준은 0.1ppm이다. 그런데 시민환경연구소 분석결과 사고발생지역 반경 2km 내에서 모두 7개의 대기 중 불소 농도 추정치(1일 기준)가 나왔다. 그 값은 0.02ppm부터 0.44ppm, 0.63ppm, 0.93ppm, 1.42ppm, 2.04ppm, 2.59ppm으로 조금씩 달랐지만 대부분 기준치를 넘어섰다. 국립환경과학원이 2월 1일 "1월 29~30일 사고공장 주변 대기질을 정밀 측정한 결과 사고공장 건물 내에서 0.004ppm의 불소가 검출됐을 뿐 인근 초등학교·아파트 등 4개 지역 대기 중에는 불소가 없었다"고 발표한 것과 엇갈리는 내용이다.

김 부소장은 "(주변 지역에 불산이) 일상적으로 노출된 결과인지 아니면 이번 사고로 인한 것인지 명확하지 않지만, 거의 고르게 불소가 검출됐다는 점에서 두 원인의 비중은 49%대 51%"라고 말했다. 그러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쭉 해보고, 추가로 검토한 후에야 일상적 노출인지 사고에 따른 것인지 알 수 있다"며 "올 연말쯤이면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정환진 환경부 화학물질과 사무관은 "국립환경과학원은 직접 대기 중 불소 농도를 측정한 것이고 (시민환경연구소 결과는) 식물 내 불소 농도를 바탕으로 추론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시민참여형 모니터링 필수" 시민단체 21곳 '산단환경개혁 네트워크' 출범

 환경운동연합 지역조직과 시민환경연구소 등 21곳은 2월 14일 '산단환경개혁네트워크'를 출범, 지역사회 알 권리 운동 등을 진행하겠다고 발표했다.
환경운동연합 지역조직과 시민환경연구소 등 21곳은 2월 14일 '산단환경개혁네트워크'를 출범, 지역사회 알 권리 운동 등을 진행하겠다고 발표했다. ⓒ 박소희

한편 토론회 참가자들은 '시민참여형 화학물질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선태 대전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시민참여형 (화학물질) 모니터링이 그 어떤 방법보다 정확하고, 필수적"이라며 "시화 반월공단은 주민감시원 30명이 매년 수백 개 사업장에 직접 들어가 활동한 결과 악취문제를 해결했다"고 소개했다. 그에 따르면, 비슷한 주민 감시활동이 이뤄진 대전 역시 10년 전보다 오염물질이 70~80%가량 줄어들었다. 김 교수는 "정부도 시민참여형 모니터링을 대책의 하나로 보고 예산을 지원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최경호 서울대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교수도 "(화학물질) 사고가 아닌 이상 뚜렷하게 문제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사용물질, 배출물질이 무엇이고 얼마나 많은지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교수는 "(유해화학물질 등을) 가장 많이 쓰는 곳이 산업단지인데, 인근에서 양봉 피해 민원이 있는 것을 보면, (산업단지가) 생태계에 확실히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며 "구미만 해도 사고 전후 생태계를 비교할 정보가 없다"고 말했다.

환경운동연합은 토론회 후 화성·청주충북·구미환경연합 등 지역조직과 시민환경연구소 등 전문기관 21곳이 참여한 '산단(산업단지)환경개혁네트워크'를 발족했다.

산단환경개혁네트워크는 이날 "화학물질 취급 사업장 인근 주민들과 사업장 내 노동자를 대상으로 정확한 정보공개가 이뤄져야 한다"며 정부에 민관 합동 모니터링 운영을 제안했다. 또 앞으로  전국 산업단지의 환경문제 현황을 파악하고 그 안에서 쓰이는 화학물질에 대한 노동자와 지역주민의 알 권리 운동, 제도 개선 운동 등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화학물질#불산#구미 불산#삼성 불산사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