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신문 지원이 일부 지역신문 독자들에게 긍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미지 개선이나 비독자 확보에 큰 도움이 안 된다. 경영개선에도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순천향대 장호순 신문방송학과 교수가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29일 오후 2시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주간지선정사협의회(회장 이웅, 해남신문 대표이사)주최로 열린 '지역신문 지원사업 효율성 제공 방안'세미나에서 발제를 통해 밝힌 말이다.
장 교수는 "실제 주민 1만 명도 안 된 아산 시청 기자실에 40개 신문사들이 출입을 하고 있다"면서 "지역 언론 내부에서는 투자자를 찾을 수 없는 상황이고, 투자자가 있더라도 정치적 급부를 이용하려 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지역신문 성장의 저해 요인인 ▲지방분권 ▲공익성과 신뢰도 회복 ▲문화사회적 위상 제고 ▲시장구조조정▲ 경쟁력 등을 제고 하는 데 신경을 써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역신문 지원방식의 문제점으로 ▲지원대상에 대한 오해 ▲현존하는 지역신문사 위주의 지원 ▲선진국 지역신문 지원정책 참조 한계 ▲시장구조 개선을 위한 지원정책 부재 ▲정부 타 부문의 양성적, 음성적 지원 통제 불가능 등을 들었다.
장 교수는 "지역신문 지원은 지역 주민을 위해 지원하는 것"이라면서 "지역신문을 위해 지원하는 것으로 오해가 하고 있고,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는 지역신문사들이 지원에 배제되고 있으며, 현존하는 지역신문사 위주로 지원하는 것이 문제"라고 주장했다.
특히 " 현 디지털 시대 뉴스 이용 방식의 변화에 따른 지역신문의 지원분야 재조정이 필요하다"면서 "지역중심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 방식의 활용과 디지털 시대 지역신문 경쟁력 강화 방안도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발위 사업 성과 및 효율성 증대 방안'에 대해 발제를 한 오원집 <원주투데이> 대표는 "지역신문방전지원특별법의 목적이 '지역신문의 건전한 발전기반을 조성해 여론의
다원화, 민주주의 실현 및 지역사회의 균형발전에 이바지 한다'고 돼 있다"면서 " 개별 신문사의 성장과 육성이 아니라 지역신문의 건전한 발전 기반 조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데, 목적에 부합하는 지원이 요청된다"라고 밝혔다.
그는 "지역신문 지원사업 방향 전환을 위해서는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들을 없애거나 축소하게 되면, 겨우 뿌리를 내리기 시작한 선정사들이 자생력을 갖추기도 전에 고사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지역신문 지원사업비가 초창기(2005년)에 투입했던 예산규모 150억 정도로 연간 지원예산을 늘려 증액된 부분을 경영자립을 위한 사업이나 환경조성에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어 오 대표는 "지역신문 지원사업의 성과 측정의 합리적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면서 "우리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언론수용자 의식조사는 방송이나 거대신문으로 진행하면서, 이틀에 지역신문을 끼어 조사하고 있다, 지역 주간신문 별도의 언론수용자 의식조사로 지원사업의 성과 측정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시행 중인 소외계층 구독료, NIE구독료, 기획취재, 언론인교육, 정보화 사업 등 지원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새롭게 추진했으면 하는 사업으로 ▲신문 운송료 지원 ▲인턴사원 지원 재개 및 지역언론인 양성 ▲주간 지역신문 지원센터 설립 ▲맞춤식 지원 등의사업을 강조했다.
토론에 나선 홍문기 (한세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위원은 "지발위에서 우선지원대상자로 탈락한 언론사가 지역지발위에서 선정되는 일이 발생해 지발위 선정사의 라이센스 논란이 발생하고 있다"면서 "지역신문의 난립을 줄여 경쟁력 있는 신문이 인정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경상남도 지역신문 지원사업 사례를 발표한 한관호 전 경남지발위원은 "경상남도 지발위는 우편발송료, 자유공모사업, 일반 공모 사업, 다문화가정 구독, 지역경제 활성화 홍보 등에 지원을 했다"면서 "특히 지역 고유문화를 계승발전시키며, 전국의 관광객들에게 지역축제를 한 눈에 알아 볼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 준다는 의미에서 지역축제 활성화 사업에도 지원을 했다"고 말했다.
이진식 문화체육관광부 미디어정책과장은 "지역신문발전기금 평가시스템 정착시켜야 한다"면서 "종이신문 부수 뿐 아니라 웹과 모바일 등을 함께 집계하는 움직임이 있다"고 말했다.
이날 세미나는 최종길 <당진시대> 편집국장의 사회로 발제자와 토론자 간의 3시간에 걸친 뜨거운 토론이 벌어졌다.
한편,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은 지난 2004년 3월 한시적 효력(6년)으로 국회를 통과한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이 올해로 시행 9년 째를 맞고 있다. 지난 2010년 한 차례(6년) 연장을 거치면서 지역신문 지원제도와 기구에 대한 논의도 뜨겁다. 오는 2016년 시한 만료에 따라 지원특별법을 일반법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도 현재 계속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