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녹조류가 지난해에 비해 한두 달 정도 빠르게 발견됐다. 지난 5일부터 낙동강 모니터링에 나선 4대강복원범국민대책위원회(이하 범대위)와 4대강 조사위원회는 '지난해보다 일찍 발생한 녹조는 생태계의 경고'라며, '4대강 사업의 철저한 검증을 서둘러야 한다'고 정부에 촉구했다.
범대위 등은 10일 세종로 이순신 동상 앞에서 연 '또다시 시작된 4대강사업의 재앙 녹조라떼' 기자회견에서 낙동강의 창녕 함안보 하류에서 칠곡보 상류까지 모니터링한 결과, 녹조가 작년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보로 막힌 낙동강의 수질이 점점 더 악화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창녕 함안보 하류는 지난해에는 6월 말에 녹조류가 나타났으나 올해는 6월 초로 당겨졌고, 대구 도동서원과 낙동대교 앞의 경우에도 지난해에는 7월 말에 발견됐던 녹조가 올해는 6월초에 발견됐다는 것이다. 현재 낙동강은 영남지역 1000만 주민의 상수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황인철 녹색연합 4대강 현장팀장은 "낙동강 하류 함안보에서 칠곡보까지 5개 보에 걸친 지역을 돌아본 결과 광범위한 독성 남조류를 확인했다"고 말했다. 그는 "현미경으로 보더라도 간 질환을 유도하는 독성 남조류 마이크로시스피스가 상당 부분 함유된 것을 확인했다"고 심각성을 전했다.
녹조 제거 위한 화학약품으로 2차 피해 우려
정민걸 공주대학교 교수는 "우리나라 하천은 녹조가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영향염류 농도가 항상 있는 상태"라며 "녹조가 발생하지 않은 이유는 항상 물이 흐르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그는 "녹조 제거 시범 사업으로 정부가 네 군데에 30여억 원을 투자했는데 16개 보 중심으로 확대하면 1년 최소 500억 원 이상이 든다"며 "근본적 원인인 영향염류는 제거할 수 없고, 효과도 없다"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녹조 제거를 위한 정부 안일한 대책으로 말미암은 2차 피해를 우려했다. 그는 "정부는 녹조 제거를 위해 폴리염화알루미늄이라는 장기적으로 독성이 발생할 화학약품을 사용한다"며 "환경부에서는 4대강 자체에 이걸 계속 퍼부을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부의 대책은 되레 추가 피해를 유발한다며 "4대강 수생태계를 망가뜨리고 그나마 남아있는 저수지성 어류조차 살 수 없는 환경을 만드는 대책"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4대강의 녹조 현상을 해결할 방법은 수문을 점차 개방하고 결과적으로 보를 철거해서 녹조 현상이 발생할 수 없는 환경을 만드는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황인철 녹색연합 4대강 현장팀장은 녹조 발생 대해 정부는 날씨 탓만 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윤성규 환경부 장관은 작년에도 공익광고에 나와 녹조가 기후변화 때문이니 플러그 뽑고 전기 아끼라고 했다"며 "더운 날씨에 오리털 파카 입고 땀띠가 났으니 오리털 파카 때문이 아니라 날씨 때문에 땀띠가 난 것이라고 날씨 탓을 하는 것과 다를 것이 없다"고 근본적인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박용신 환경정의 사무처장은 정부의 국무조정실 산하 '4대강 사업 조사평가위원회' 추진이 늦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대통령이 출범한 지 100일이 넘었는데 검증과 평가가 없다"며 "국민이 알고 현장에서 볼 수 있는 것을 도대체 어떤 방식의 중립적 검증을 할 것이냐"고 반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