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세월호 국정조사 출석한 국정원 간부들 국가정보원 한기범 1차장(가운데), 김수민 2차장(오른쪽), 이헌수 기획조정실장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세월호침몰사고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기관보고에 출석해 자리에 앉아 있다.
세월호 국정조사 출석한 국정원 간부들국가정보원 한기범 1차장(가운데), 김수민 2차장(오른쪽), 이헌수 기획조정실장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세월호침몰사고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기관보고에 출석해 자리에 앉아 있다. ⓒ 유성호

국가정보원이 "TV 뉴스속보로 세월호 사고를 처음 알게 됐다"고 밝혀 논란이 예상된다. 한국의 최고정보기관인 국정원이 사고 발생 30분이 넘도록 사고 사실을 모르고 있었던 셈이다.

세월호 국정조사 특위 여야 간사들에 따르면 10일 오전 비공개로 열린 국회 세월호 국정조사 국정원 기관보고에서 국정원은 사고 발생 31분만인 지난 4월 16일 오전 9시 19분 케이블 뉴스채널 YTN의 뉴스자막을 통해서 사고를 처음으로 인지했다고 밝혔다. 또한 이날 오후 청와대에 대한 국정조사에서 청와대도 '4월 16일 오전 9시 19분 세월호 사고를 처음으로 인지했다'고 밝혔다. 국정원과 청와대가 세월호 사고를 같은 시각 인지한 것이다.

여당 간사인 조원진 새누리당 의원은 "수많은 정보라인을 갖고 있는 국정원이 어떻게 그렇게 늦게 사고를 인지했느냐"라고 비판했다. 야당 간사인 김현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대한민국의 모든 정보가 YTN으로부터 시작되느냐, YTN이 한국의 재난 콘트롤타워냐"라고 국정원의 정보력 부재를 질타했다.

사고를 늦게 인지한 것에 더해 관련기관이 초동 대응을 신속하게 논의할 수 있는 기회도 놓쳤다. 국정원 상황실은 4월 16일 오전 9시 20분 간부들을 대상으로 속보 자막 내용을 그대로 문자메시지로 전파했다. 청와대에서는 오전 8시 30분부터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장·국방부 등 관계부처 간부, 국정원 1차장 등이 참석한 NSC 실무조정회의가 열리고 있었다.

회의는 오전 9시 30분에 끝났지만 세월호 관련 논의는 없었다. 국정원은 이에 대해 "1차장이 국정원 상황실이 9시 20분에 보낸 문자를 확인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청해진해운, 국정원에 즉각 사고 보고... "세월호는 국가보호선박"

한편 세월호의 선사인 청해진해운은 '해양사고보고 계통도'에 적힌 대로 사고 내용을 국정원에 보고한 것으로 확인됐다. 청해진해운 관계자는 4월 16일 오전 9시 33분 국정원 인천지부 인천항만 담당직원에게 '세월호가 진도 부근에서 선체가 심하게 기울어 운항을 못하고 있다'는 문자메시지를 보냈다. 5분 뒤에는 '세월호 주변에 경비정과 헬기가 도착했다'는 내용도 보냈다.

이 부분에 대해 야당 의원들은 "청해진해운이 일상적으로 국정원에 보고해왔던 게 아니냐" "대체 어떤 관계이길래 여객선이 국정원에 곧바로 보고하느냐"라고 추궁했다. 이에 국정원은 "세월호가 재난대비 국가보호선박으로 지정돼 있기 때문"이라면서 "지정 이유는 해양수산부가 알지, 우리는 모른다"라고 답변했다.

국정원은 "재난대비 국가보호선박으로 지정되면 전쟁 등의 상황에서 인력과 물자 수송수단으로 활용하게 돼 있다"라고 설명했다.

비공개로 진행되는 세월호 국정조사  국회 경위들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세월호침몰사고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국가정보원 기관보고가 비공개로 진행되자, 회의장 문을 닫으며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비공개로 진행되는 세월호 국정조사 국회 경위들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세월호침몰사고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국가정보원 기관보고가 비공개로 진행되자, 회의장 문을 닫으며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 유성호



#국정원#세월호#국정조사
댓글5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사진기자. 진심의 무게처럼 묵직한 카메라로 담는 한 컷 한 컷이 외로운 섬처럼 떠 있는 사람들 사이에 징검다리가 되길 바라며 오늘도 묵묵히 셔터를 누릅니다.

오마이뉴스 상근기자. 평화를 만들어 갑시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