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6개월째 '4월16일'에 멈춰있습니다. 진상을 규명하겠다는 대통령의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고, 유가족들은 이제 거리에서 추운 겨울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세월호 참사 발생 6개월을 맞아, 유가족과 실종자가족, 생존자를 만났습니다. 그리고 그들의 고통스러운 시간들을 자세히 기록했습니다. 잊지 않기 위해서... [편집자말] |
세월호 참사 발생 후 지난 6개월 동안 유가족들이 거리를 떠돌며 요구한 건 단 하나, '진상규명'이다. '진상규명'은 박근혜 대통령의 약속이기도 했다.
참사 다음 날인 4월 17일 박 대통령은 실종자 가족들이 모여 있는 전남 진도 체육관을 방문해 "철저한 조사와 원인 규명으로 책임질 사람은 엄벌토록 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유가족 대표단과 지난 5월 16일에 가진 면담에서도 "진상규명 위한 특별법·특검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약속은 내팽개쳐졌다. 박 대통령은 세월호 참사의 탓을 '유병언 일가'와 배를 버리고 탈출한 선장에게 돌리더니, 급기야는 유가족을 외면하기 시작했다. 유가족들이 약속을 지키라며 국회에서, 청와대 앞에서, 광화문 광장에서 숱한 밤을 보냈지만, 대통령은 꿈적하지 않았다. 그렇게 유가족과 박 대통령은 지난 6개월 동안 서로 다른 길을 걸어왔다.
유가족 김영오씨가 단식 40일 만에 병원으로 실려 가던 날, 박 대통령은 부산 자갈치 시장에서 전복을 샀고, 병원에서도 계속된 단식으로 김씨의 건강이 크게 위험했던 날에는 연극을 관람했다.
대통령의 빈자리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채웠다. 교황이 지난 8월 18일부터 3박4일 동안 유가족과 만난 횟수는, 참사 이후 박 대통령이 유가족과 만난 횟수보다 많았다. 교황이 떠난 뒤에도 유가족들은 "성역없이 진상을 규명할 수 있는"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위해 대통령이 나서달라며 노숙 농성을 이어갔다.
내내 침묵을 지키던 박 대통령이 지난 9월 16일 마침내 입을 열었지만 가족들이 원하는 답과는 정반대였다. 박 대통령은 "(진상조사위원회에 수사권과 기소권을 주자는 유가족의 주장은) 대통령이 결단을 내릴 사항이 아니"라고 일축했다.
국회에서 여야가 재협상을 반복한 끝에 지난 9월 30일에 세월호 특별법을 세 번째로 합의했지만 유가족의 요구는 반영되지 않았다. 여야가 합의안을 내놓은 날, 유가족들은 "이제 우리는 어디로 가야 하느냐"며 가슴을 움켜쥐었다.
따뜻한 봄날에 아이들을 떠나보낸 유가족들은 이제 길고 긴 겨울을 준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