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메르스 감염환자가 입원했던 수도권 한 병원의 1일 오후 모습. 이 병원에서는 메르스 환자가 발생한 후 보건당국이 중환자 4명을 옮길 병원을 찾지 못해 어쩔 수 없이 격리 대상 의료진이 환자를 진료한 것으로 알려졌다.
 메르스 감염환자가 입원했던 수도권 한 병원의 1일 오후 모습. 이 병원에서는 메르스 환자가 발생한 후 보건당국이 중환자 4명을 옮길 병원을 찾지 못해 어쩔 수 없이 격리 대상 의료진이 환자를 진료한 것으로 알려졌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서울=연합뉴스) 김태균 기자 =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이 빠르게 퍼지면서 이 병의 발생 지역과 환자가 머문 병원 이름의 공개 여부를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한국인 메르스 확진자가 건너갔던 홍콩이 우리 정부에 '메르스 환자가 다녔던 한국 병원 이름을 대중에 공개할 필요가 있다'며 명단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져 보건 당국의 고심이 한층 깊어질 전망이다.

보건 당국은 지난달 20일 첫 메르스 환자 확인 이후 발병 지역과 관련 병원에 대해 비공개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지역과 병원을 밝히면 주민들 사이에서 공포와 걱정을 키울 수 있고, 해당 병원에 불필요한 '낙인'이 찍히면서 환자들이 내원을 꺼리는 등 피해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메르스 환자를 당국에 신고해야 할 병원들이 경영상 피해 때문에 환자 입원·내원 사실을 숨겨 방역망에 구멍이 생긴다는 우려도 비공개의 이유로 거론된다.

이와 관련해 권준욱 중앙 메르스중앙대책본부 기획총괄반장은 지난달 31일 브리핑에서 "미국 같은 선진국에서도 전염병 확산 시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지역이나 병원명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경우가 많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의 확산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31일 오후 서울대학교 병원에 메르스 의심증상 관련 안내문이 설치되어 있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의 확산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31일 오후 서울대학교 병원에 메르스 의심증상 관련 안내문이 설치되어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반론도 팽팽하다. 메르스가 환자 25명에 3차 감염자까지 나오는 등 확산에 속도가 붙은 만큼, 지역과 병원을 공개해 해당 지역 사회가 적극적으로 확산 방지 및 감염 예방 대책을 세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카카오톡 등 SNS(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출처가 불명확한 메르스 발병 지역 및 병원 명단이 대거 도는 만큼 투명한 정보 공개가 불안감 해소에 더 도움이 된다는 얘기다.

정부가 메르스와 관련된 '유언비어'를 엄중히 단속하겠다고 밝혔지만, 전염병 위험 지역을 가장 궁금해할 수밖에 없는 대중의 현실을 무시하는 처사라는 비판도 있다.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은 1일 성명에서 지역과 병원명을 공개하고 메르스로 피해를 본 의료기관에는 국가 보상을 해주는 정책을 제안하기도 했다.

외국의 공개 압박도 골칫거리다. 한국인 6명을 포함해 19명의 메르스 감염 의심자를 격리한 홍콩은 우리 정부 측에서 한국 발병 병원 명단을 요구해 이를 자국민에 공개하는 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 당국이 우리 측에서 병원 명단을 받아 공표한다면, 이 정보가 한국으로 재유입돼 비공개 원칙이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국내 웹사이트와 SNS에서는 '000 지역에 가는 것을 특히 조심해야 한다' '병원에 갔더니 메르스 발병 의료기관 명단을 보여주며 내원 여부를 물었다' 등 게시물이 대거 돌고 있다.

메르스는 2012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최초 확인된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으로, 치료제나 백신은 없지만 건강한 사람은 걸려도 자연 치유될 수 있다.

메르스는 애초 병의 위력이 비슷한 전염병인 사스(SARS)에 비해 약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한국에서는 환자 2명이 숨지고 3차 감염까지 발생해 대규모 확산이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메르스
댓글1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른 언론 빠른 뉴스' 국내외 취재망을 통해 신속 정확한 기사를 제공하는 국가기간뉴스통신사입니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