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16년도 만3~5세 누리과정 예산이 편성되지 않으면서 교육청의 '편성 책임'과 정부의 '국가 책임 보육 공약 이행'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학부모들은 지원이 중단될 경우 부담해야할 비용이 커지면서 어린이집과 유치원 등원을 고민하고 있다.

이로 인해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들의 고용마저 불안정해지면서 '보육대란'이 임박해오고 있다. 올해 총선을 앞둔 마당에 어떤 식으로든 해결된다는 관망도 적지 않으나, 매해 반복되는 예산 갈등에 학부모들은 '도대체 누구를 믿어야 하느냐'며 망연자실하고 있다.

교육청 '없다' vs. 교육부 '충분하다'?

올해는 주요 지역에서 어린이집뿐만 아니라 유치원 누리과정 예산까지 편성하지 않았다. 일단 유치원 누리과정 예산은 유보금 항목으로 편성해놓기는 했으나,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이 해결되지 않는 이상 의회의 승인 없이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전국 교육청은 박근혜 정부의 대통령 제1호 공약인 '국가 책임 보육'을 이행하라고 압박하고 있다. 지방교육재정교부금 부담으로 넘어온 누리과정 예산 때문에 지방채가 급증하고 다른 교육사업이 이행되지 못해 '공교육'이 무너진다고 하소연한다.

이런 주장에 대해 교육부는 교육청의 '예산이 충분'하다고 맞서고 있다. 교육부는 최근 전국 교육청 예산을 점검한 결과를 내놓았다(교육부 보도자료, "2016년 시도교육청 본예산 분석 결과 발표", 2016.1.11.). 그 결과에 따르면, 서울, 광주, 세종, 경기, 강원, 전북, 전남 등 누리과정 예산을 편성하지 않은 시도의 전체 누리과정에 써야할 재정은 총 2조2591억 원이다.

교육부 점검결과에 의하면, 유치원 누리과정 예산을 유보금 항목으로 확보한 9788억 원 이외의 비용은 충분히 교육청에서 마련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주요 지역의 교육청 자체재원, 정부지원, 지자체전입금 등, 활용 가능한 재원이 1조5138억 원으로 유보금과 합하면 총 2조4926억 원이 된다고 전한다. 이 결과로 본다면 교육청은 누리과정 예산을 제외하고도 2335억 원가량의 여윳돈이 있음에도 편성하지 않고 버티는 꼴이다.

 교육부의 2016년 시도교육청 본예산 점검결과(단위 : 억원)
교육부의 2016년 시도교육청 본예산 점검결과(단위 : 억원) ⓒ 교육부 보도자료 재가공

이 같은 결과에 서울시교육청은 발끈하고 나섰다. 교육부가 서울시교육청이 충분히 마련할 수 있다는 자체재원이 2331억 원이다. 그러나 서울시교육청은 이 돈을 어린이집 누리과정에 쓸 수 없다고 반박한다.

교육부가 과다편성했다고 보는 서울시교육청 예산인 인건비 610억 원과 시설비 314억 원은 교육사업 변동요인에 따른 필요경비이며, 순세계 잉여금 미편성액 1407억 원은 교육사업비와 교육환경개선에 사용할 재원이라는 설명이다.

다시 말해, 교육부가 재원이 '충분하다'고 보는 시각과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누구 말이 옳고, 누구를 믿어야 하는가?

잘못된 '설계'→ '갈등' → 총선・대선 '봉합'→ '갈등' 반복 → '보육대란'

2012년 총선을 앞둔 2011년 연말에 '만0~2세 무상보육' 예산이 통과되었다. 같은 해 치러진 대선에서 박근혜 정부는 '만3~5세 무상보육'을 약속하였다. 그러나 그 후부터 무상보육 파행이 매해 반복되고 있다. 정치적인 국면에서 영유아 지원이 확대되긴 했으나, 선거 '표심' 공약 이외에 논의와 예산 준비는 불충분했다.

특히 만3~5세 무상보육 공약을 현실화하기 위해 '누리과정'이 도입되었고, 이 재원을 2015년까지 순차적으로 지방교육재정교부금으로 넘어가도록 설계한 애초의 문제를 다시 상기하게 된다. 당시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장기전망이 틀렸다는 문제는 둘째치더라도, 장기불안에 축소된 지방교육재정교부금 규모 앞에도 정부의 책임지는 태도는 찾아볼 수 없다.

정부의 지방재정교부금에 대한 장기전망은 이미 2013년부터 맞지 않았으며, 누리과정 예산이 모두 넘어오는 2015년에 이르러 교육재정은 최악의 상황을 맞았다. 한편 정부는 2016년 지방교육재정이 지난해보다 6조 원 가량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그러나 교육청의 지방채 규모는 2015년 10조 원을 넘어서 올해는 14조 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이에 임대형 민자사업(BTL) 잔액까지 합하면 20조 원에 이른다고 한다(<연합뉴스>, "누리과정 때문에…교육청들 '빚 20조 시대'", 2015.12.5.).

게다가 올해는 누리과정 지원금이 현재 22만 원에서 30만 원으로 현실화하기로 한 해이다. 그동안 교부금 사정이 여의치 않아 월 22만 원으로 동결해 누리과정 예산이 총 4조 원이었으나, 공약대로 현실화하면 5조1천억 원으로 뛸 전망이다.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전망 대비 교육청 지방채와 교부금 누리과정 규모 추이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전망 대비 교육청 지방채와 교부금 누리과정 규모 추이 ⓒ 새사연

더 이상 우리 아이들을 볼모로 하는 재정 싸움을 멈춰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초중등 과정에서 유아까지 포괄하는 교육재정 '새 판' 짜기에 나서야 한다. 매해 끝 모를 싸움을 더 이상 지켜볼 수가 없다.

방법이 없는 것이 아니다. 그동안 계속 논의되었던 지방교육재정교부금 교부율을 인상하는 안, 양육수당처럼 국가보조금 비율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재조정하는 방안, 국가책임 사업에 한해 전액 예산을 편성하는 등 다각도로 근본적인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덧붙이는 글 | 글쓴이는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의 최정은 연구원입니다. 이 기사는 새사연 홈페이지(http://saesayon.org)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누리과정#교육#새사연#보육
댓글

새사연은 현장 중심의 연구를 추구합니다. http://saesayon.org과 페이스북(www.facebook.com/saesayon.org)에서 더 많은 대안을 만나보세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