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셰익스피어의 5대 희극 <말괄량이 길들이기>(The Taming of the Shrew)의 마지막 장면을 기억하는 이라면 그 희곡이 민족 최대의 명절 설날에 대한 훌륭한 우화라는 것을 알아차릴 수 있을 것이다.

<말괄량이 길들이기>의 주인공 카테리나는 어릴 적부터 도통 제멋대로인 성격으로 말괄량이로 불렸다. 그는 동생과 달리 결혼 신청을 하는 사람도 없어 부모님의 근심을 사고 있었는데 마침 카테리나와 결혼하겠다는 사람이 나타난다.

 엘리자베스 테일러 주연의 영화 말괄량이 길들이기(1967)의 포스터
엘리자베스 테일러 주연의 영화 말괄량이 길들이기(1967)의 포스터 ⓒ 콜롬비아클래식

다음 내용은 모두가 아는 대로다. 페트루치오는 카테리나와 결혼했지만 길들인다는 명목으로 그녀를 함부로 대하고 자신에게 복종하게 만든다. 말괄량이 길들이기의 가장 마지막 장면, 페트루치오가 카테리나와 결혼한 것이 불쌍하다는 장인의 말에 아내를 걸고 식구들과 돈 내기를 한다. 각자 자신의 아내를 불러 가장 먼저 오는 사람이 내기에서 이기는 것. 사람들의 예상을 깨고 말괄량이 카테리나가 가장 먼저 자신의 남편 페트루치오의 부름에 응답했다.

"신하가 군주에게 진 의무, 바로 그것이 남편에 대한 아내의 의무라고 하겠어요."

카테리나가 아내의 의무가 무엇인지를 연설하는 결말 중 일부분이다. 남편과 아내의 관계를 군주와 신하와의 주종 관계로 분명히 설정하고 있다. 카테리나가 마음에서 우러러 나와 한 말인지 아니면 페트루치오가 두려워 이를 자진했는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사람들이 놀랄 만큼 카테리나가 변했다는 사실이다.

그는 왜 아내에게 물을 가져오라고 했을까

"OO야~ 물 좀 가져와라!"

그는 매번 큰집에 들어와 가장 큰 소파에 앉는다. 그리고 습관처럼 자기 아내에게 그렇게 말을 한다. 보다 못한 형들은 '물은 네가 떠다먹으라'며 면박을 주지만 그는 전혀 개의치 않는다. 오히려 더 크게 물을 가져오라고 요구한다. 그의 아내는 그럴 때마다 두말 않고 물을 떠다 준다. '먹을 것을 좀 해서 줄까요'라는 말도 잊지 않는다. 장을 보거나 식사를 준비하거나 이를 치우는 일에도 그는 전혀 손을 거들지 않는다. 크게 들리는 뉴스 소리와 웃음소리만이 그의 존재를 대신 증명한다. 매년 익숙하게 마주하는 누군가의 설날 풍경일 것이다.

이 말괄량이 길들이기의 페트루치오와 아내에게 물을 가져오라고 명령하는 남편 사이에는 공통점이 있다. 관전자가 문제의 '핵심'을 쥐고 있다는 것이다. 왜 페트루치오는 그런 이상한 내기를 한 걸까. 자신이 그동안 이 말괄량이를 어떻게 길들였는지를 증명 받고 싶어서기도 했겠지만, 그보다는 카테리나와 결혼한 그를 불쌍하게 여기는 장인의 말이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처가 식구들 앞에서 자신의 아내가 제일 순종적이라고, 고로 자신의 우월성을 증명받고 싶었던 거다.

 발레 말괄량이 길들이기의 한 장면
발레 말괄량이 길들이기의 한 장면 ⓒ 국립발레단

페트루치오의 내기는 남성들 간의 서열 다툼을 불렀다. 결국 페트루치오의 아내인 카테리나가 예상을 깨고 가장 먼저 왔고, 나머지 아내들은 오지 않았다. 페트루치오는 적어도 '아내를 길들이(Tame)는 쪽'에서는 남편 집단 중 가장 우위에 서게 됐다.

명절은 가부장제 사회의 최대 이벤트

<말괄량이 길들이기>에 따르면 한국의 명절은 가부장제 사회의 최대 이벤트다. 가부장들은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명절이라는 특수한 이벤트로 가부장제 사회의 질서가 아직은 공고하다는 것을 재확인 받고 싶어한다. 형들의 틈바구니에서 물을 가져다달라고 큰소리를 내는 그 또한 페트루치오처럼 어떻게든 자신의 우위를 증명하고 싶었다고 해석했다. 실제로 그는 자신이 막내이기 때문에 소외받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나는 결정적으로 그의 증언에서 말괄량이 길들이기의 페트루치오를 떠올렸다.

가족들이 모두 모인 공간에서 보여주기식 행동은 더욱 빈번하게 나타난다. 여러 세대가 한 공간에 섞여있다 보니 가장 윗사람인 조부모의 눈치를 먼저 볼 수밖에 없다. 조부모는 과일을 내오라는 말로, 그동안 힘들었을 테니 명절에라도 편하게 쉬라는 말로 남녀가 함께할 수 있는 일을 며느리에게 전가한다. 명절은 전통이라는 이름 아래 그렇게 해도 괜찮다고 허용되는 공간이다(물론 그 전통이 어디서부터 왔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빠르게 무너지는 평시의 고정적인 성 역할을 오히려 명절 때는 수행하기가 더욱 용이해진다.

하지만 만약 페트루치오의 장인이 자신의 딸을 그렇게 다루지 말라고 이야기했다면 어땠을까. 보다 못한 그의 형들이 그에게 직접 일어나서 물을 떠오라고 강력하게 말했다면 어땠을까. 행동에 근거를 가져다주는 관전자들이 그들에게 행동의 변화를 촉구한다면 그 결말이 조금 달라졌을까. 모를 일이다. 다만 누군가 페트루치오 같은 일을 할 때, 결정적인 관전자가 되지는 말아주시길. 그는 관전자로 하여금 자신의 행동의 옳음과 우월성을 증명받고 싶어한다.

셰익스피어의 희극 <말괄량이 길들이기>는 그 특유의 여성 비하적인 행동과 대사 때문에 많은 비판을 받기도 했고 한편 '그 시대에는 어쩔 수 없었다'는 옹호도 받는다. 하지만, 적어도 지금이 그런 종류의 옹호를 받을 시대는 아니기에.


#셰익스피어#말괄량이 길들이기#명절#설날#가부장제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16년부터 오마이뉴스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팟캐스트 '말하는 몸'을 만들고, 동명의 책을 함께 썼어요. 제보는 이메일 (alreadyblues@gmail.com)로 주시면 끝까지 읽어보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