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월봉서원의 강당인 빙월당 빙월당은 정면 7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월봉서원 중심에 위치한 강당이다. 빙월당이란 명칭은 정조가 고봉선생을 빙심설월(氷心雪月)과 같다고 평가한데서 비롯하였다고 전한다.
월봉서원의 강당인 빙월당빙월당은 정면 7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월봉서원 중심에 위치한 강당이다. 빙월당이란 명칭은 정조가 고봉선생을 빙심설월(氷心雪月)과 같다고 평가한데서 비롯하였다고 전한다. ⓒ 임무택

향교가 교육의 기능을 상실하면서 조선시대 유명한 학자들이 서원을 세워 과거 합격자를 교생으로 받아들여 교육과 제사를 올렸다. 이로써 본격적인 서원의 시대가 열리게 된다. 즉 최고의 엘리트 집단이 서원에서 공부하게 됐으며 엄격한 학칙과 학업 분위기 등으로 인해 향교에서 미처 하지 못했던 참교육의 기능이 회복된다.

 제사를 모시기 전 준비된 제물과 제관들이 신을 하얀고무신
제사를 모시기 전 준비된 제물과 제관들이 신을 하얀고무신 ⓒ 임무택

조선시대 서원은 선비들이 모여 성리학을 배우고 실천하는 교육기관이었다. 자신들이 존경하는 스승과 선현들의 연고지에 후학들이 제향과 선비들의 교육을 위해 건립했다. 서원은 인재를 양성해 중앙정계에 배출함으로써 사림(士林)의 시대를 주도했으며, 당면 현안에 대응하는 공론을 모으고 그 해결책을 찾았다.

 참석한 제관들에게 제물을 하나하나 확인시키는 절차
참석한 제관들에게 제물을 하나하나 확인시키는 절차 ⓒ 임무택

 제물 목록에 따라 일일이 확인하고 있는 모습
제물 목록에 따라 일일이 확인하고 있는 모습 ⓒ 임무택

월봉서원은 1575년 황강 김계휘 등이 기대승 선생의 학덕을 추모하기 위해 광산구 신룡동 고마산 남쪽에 망천사를 세우며 시작됐다. 임진왜란으로 망천사가 피해를 입자 1646년 산월동 동천 위로 옮겼다. 1654년에 월봉(月峰)이라 사액을 받았으며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산동 너브실(廣谷)에 자리하고 있고 음력 3월 중정일인 4월 16일에 추모하는 제사를 올렸다.

 제물 확인 끝나고 초헌관이 최종적으로 목록에 싸인하는 모습
제물 확인 끝나고 초헌관이 최종적으로 목록에 싸인하는 모습 ⓒ 임무택

 초헌관 아헌관 종헌관 등 제관이 지켜보는 가운데 축문을 작성하고 있는 모습
초헌관 아헌관 종헌관 등 제관이 지켜보는 가운데 축문을 작성하고 있는 모습 ⓒ 임무택

기대승(1527~1572)의 관향은 행주로 자는 명언, 호는 고봉, 존재 시호는 문헌이다. 그가 광주에 뿌리를 둔 것은 그의 계부인 복재 기준이 기묘사화로 사사되자 일가가 광주에 자리를 잡으면서 부터다. "학문의 뜻은 과거에 있는 것이 아니라 효도하고 우애하며 조상을 욕되지 않게 하는 인륜을 배우는 것"이라는 부친의 가르침을 받았다.

 모든 제관들의 회의를 마치고 사당으로 제물을 인도하는 모습
모든 제관들의 회의를 마치고 사당으로 제물을 인도하는 모습 ⓒ 임무택

 사당으로 제물이 들어간 다음 제관들이 입장하고 있는 모습
사당으로 제물이 들어간 다음 제관들이 입장하고 있는 모습 ⓒ 임무택

고봉 기대승이 퇴계 이황(1501~1570)과 성리학에 대해 1559~1566년까지 8년동안 편지를 왕복하며 나눈 철학논쟁인 '사칠논변(四七論辯)'은 이후 조선 유학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논쟁으로 평가된다. 당시 32세의 젊은 선비 고봉과 58세의 노학자 퇴계 사이의 나이를 뛰어 넘는 두 사람의 논변과 학문에 대한 열정은 당대 큰 반향을 일으켰다.

 제관 및 모든 참사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홀기(진행순서)를 읽고 있는 모습
제관 및 모든 참사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홀기(진행순서)를 읽고 있는 모습 ⓒ 임무택

 초헌관이 제사를 집례하기 위하여 모든 참사자가 지켜보는 가운데 사당안으로 입장하는 모습
초헌관이 제사를 집례하기 위하여 모든 참사자가 지켜보는 가운데 사당안으로 입장하는 모습 ⓒ 임무택

고봉이 퇴계에게 거침없이 반론을 제기하고 퇴계는 그 반론을 겸허하고 진지하게 받아들인 '학덕'으로 유명해졌다. 또 고봉은 그것을 과감하게 행동으로 행한 '용기와 수준 높은 지식인'으로 찬사를 받았다고 한다.

자유로운 논변은 고봉과 퇴계, 율곡과 우계로 이어졌으며 훗날 영남학파의 주리설이 퇴계의 학설에서 힘을 얻었다면 율곡을 중심으로 한 기호학파의 주기설은 고봉의 학문에서 싹이 텄다고 볼 수 있다.

 초헌관이 처음으로 잔을 올리는 모습
초헌관이 처음으로 잔을 올리는 모습 ⓒ 임무택

 모든 참사자가 지켜보는 가운데 초헌관 아헌관 종헌관이 절을 하고 있는 모습
모든 참사자가 지켜보는 가운데 초헌관 아헌관 종헌관이 절을 하고 있는 모습 ⓒ 임무택

고봉 기대승의 선비로써 수준 높은 지식인으로 찬사를 받은 당당한 자세와 용기는 지금도 살아 있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귀감이 되고 있으며 월봉서원에서는 '꼬마철학자상상학교' '청소년이기(理氣)진로교실' '2030청소년선비문화원정대' '선비의 하루' '살롱 드 월봉' '철학자의 부엌' '서원마을 너브실밥상' 등 조금은 별스러운 프로그램도 진행되고 있어 고봉의 정신을 새롭게 해석하는 온고지신을 실천하고 있다.

 제사의 마지막 차례인 음복례를 하고 있는 모습
제사의 마지막 차례인 음복례를 하고 있는 모습 ⓒ 임무택

 낭독하였던 축문을 망료단에서 태우고 있는 모습
낭독하였던 축문을 망료단에서 태우고 있는 모습 ⓒ 임무택

 제관들의 기념사진
제관들의 기념사진 ⓒ 임무택

 월봉서원 전경
월봉서원 전경 ⓒ 임무택

※ 사칠논변을 벌인 사단칠정(四端七情)의 내용

남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은 어짐의 실마리라 하고, (惻隱之心 仁之端也)
부끄러워하는 마음을 의로움의 실마리라 하며, (羞惡之心 義之端也)
사양하는 마음을 예의 실마리라 하고, (辭讓之心 禮之端也)
옳고 그름을 가리는 마음을 지혜의 실마리라 한다. (是非之心 智之端也)

칠정(七情)은 기뻐하고(희喜), 노여워하며(노怒), 슬퍼하고(애哀), 두려워하며(구懼), 사랑하고(애愛), 미워하며(오惡), 하고자 하는 마음(욕欲)을 말한다. 이 일곱 가지는 배우지 않아도 저절로 하게 된다는 사람이 가진 7가지 감정을 말한다.


#월봉서원#빙월당#춘향제#고봉기대승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사진의 힘을 믿습니다. 사진의 힘을!!!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