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공룡발자국
공룡발자국 ⓒ 이상옥

       공룡은 죽어서 발자국을 남겼다?
               -이상옥의 디카시 <옥천사 계곡의 공룡발자국>

고성 옥천사를 병풍처럼 두른 연화산 등산하는 즐거움이 크다. 지난 주말 귀국하여 고향 고성으로 오자마자 벌써 세 차례나 연화산을 올랐다.

인천공항에서 내려 공항버스를 타고 고속도로로 달릴 때마다 차창으로 비치는 풍경은 쾌적하고 신선하고 깨끗했다. 한국도 산업화, 도시화되면서 자연이 많이 훼손된 것이 사실이지만, 여전히 국토의 70% 이상이 산이어서 푸른 산림으로 뒤덮인 국토는 거대한 공원 같다.

그러나 막상 겉으로 보는 것과는 달리, 대한민국의 환경파괴도 심각하다. 워낙 천혜의 금수강산이라 이 정도 유지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고향에서 어린 시절을 보낼 때는 개울물을 그냥 마셨다. 지금은 시골에서도 식수는 거의 생수를 사서 먹지 않을까. 고향 집 앞 들녘도 보기에는 푸르러 보이지만, 들길을 자유롭게 산책하지 할 수는 없다.

고성도 한때는 고성생명환경농업단지를 확대하며 농약을 가능하면 살포하지 않는다고 했는데, 요즘은 그 정책이 바뀌었는지는지 모르겠다. 고비용이 든다 하더라도 친환경 농법은 확대돼야 하는 것이 옳다는 생각이다. 해질 무렵 고향 들녘을 느긋하게 산책하고 싶었는데, 올 여름 농약살포를 많이 했는지, 파리한 농약냄새 때문에 산책하기는 힘든 국면이다.

그래서 더욱 틈만 나면 고향 인근 연화산을 찾는다. 연화산 등산로는 가볍게 등산 겸 산책을 할 수 있는 최적 코스다. 그곳의 청정한 공기를 마시면 정신이 깨어나는 것 같다. 이런 청정한 공기도 아마 곧 사서 마셔야 하는 시대가 올 것이다.

 옥천사 계곡의 공룡발자국화석 표지판
옥천사 계곡의 공룡발자국화석 표지판 ⓒ 이상옥

 연화산 등산로 인근 공룡 캐릭터 조각상
연화산 등산로 인근 공룡 캐릭터 조각상 ⓒ 이상옥

이번에 연화산을 찾을 때, 그간 예사로 보고 넘긴 등산로 진입 지점에 공룡발자국화석이 있다는 것을 새삼 주목하게 되었다. 경남 고성을 일명 공룡나라라고 부르지만, 자주 등산하던 그 지점에도 공룡발자국화석이 있다는 것을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고성 공룡발자국화석 하면 '2016경남고성공룡세계엑스포' 주 행사장이었던 고성 당항포국민관광지나 공룡 발자국화석지로 유명한 고성 상족암 군립공원만 생각했는데, 후미진 연화산 옥천사 계곡까지 공룡발자국 화석지가 있다는 것을 보면 정말 고성은 공룡나라가 분명하다.

 연화산 등산로 진입로의 테크길
연화산 등산로 진입로의 테크길 ⓒ 이상옥

 요즘 비가 자주 와서인지, 예쁜 빛깔의 버섯들이 눈에 띄었다.
요즘 비가 자주 와서인지, 예쁜 빛깔의 버섯들이 눈에 띄었다. ⓒ 이상옥

6600만 년 전 거대한 공룡이 멸종된 것이 혜성이 원래 궤도를 이탈해 지구와 충돌한 때문이라고 하는데, 그 원인이야 어떻든 간에 지구를 오랫동안 지배하면서 거대 공룡이 남긴 것이라고는 발자국화석밖에 없다고 생각하니 허무하게 느껴지기도 했다. 

공룡보다 덩치가 더 큰 인간의 욕망

인적 드문 연화산 등산로를 오르며 여러 생각을 하게 되었다. 한때 지구의 지배자가 고작 남긴 것이라고는 발자국밖에 없다는 것이 무얼 의미하는가. 오늘을 사는  인간도 아마 욕망에 있어서는 공룡보다 더 덩치가 클 것이다. 지금 지구를 지배하는 인간도 탐욕에 있어서는 점점 더 공룡이 되는 가고 있지 않은가.

부와 명예와 권력을 무한 추구하는 오늘의 인간 공룡들이 만약 멸종하게 되면 무얼 남길까. 아마, 문화예술이라는 이름으로 남겨 놓을 위대한 유산 못지않게 온갖 더러운 오물들을 지구에 한 가득 남지 놓지 않겠는가.

몇 천만년 후 지구의 새로운 지배자들은 과연 인간 공룡의 발자국화석을 보고는 뭐라고 평가할까.

덧붙이는 글 | 올 3월 1일부터 중국 정주에 거주하며 디카시로 중국 대륙의 풍물들을 포착하고, 그 느낌을 사진 이미지와 함께 산문으로 풀어낸다. 디카시는 필자가 2004년 처음 사용한 신조어로, 스마트폰으로 자연이나 사물에서 시적 형상(감흥)을 순간 포착(영상+문자)하여, SNS 등으로 실시간 소통하며 공감을 나누는 것을 지향한다



#디카시#공룡발자국화석#고성#옥천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한국디카시연구소 대표로서 계간 '디카시' 발행인 겸 편집인을 맡고 있으며, 베트남 빈롱 소재 구룡대학교 외국인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