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서울 구의역 스크린도어 수리공이었던 비정규직 청년노동자가 안타깝게 목숨을 잃었다. 그는 특성화고 현장실습생으로 일을 시작했다가 올해 취업했는데, 업무중 사망했다. 지난 2011년에는 영광실고 현장실습생이었던 한 학생이 기아자동차에서 장시간 야간노동을 하다가 뇌출혈로 쓰러졌고, 2012년에는 순천효산고 학생 한 명이 울산에 현장실습을 나갔다가 사망했다. 교육과 현장훈련이라는 애초의 목적과 달리 현장실습의 민낯이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다.이에 현장실습생으로 일하고 있는 우리지역의 특성화고 3학년 학생들의 직접 인터뷰를 통해 현장실습제도의 명암을 알고, 이를 통해 현장실습문제에 대한 공론화의 장이 마련되길 기대한다. 지역의 한 특성화고교 금융과 3학년에 재학 중인 박정아(가명) 학생. 그는 A호텔에서 3개월 동안 현장실습을 했다. 이 글은 지난 8월 9일 그와 직접 만나 나눈 이야기를 재구성한 것이다. - 기자 말
3개월간 A호텔에서 현장실습을 한 정아(가명)는 사직서를 제출하고 나서 마음이 후련했다. 한껏 기대에 부풀어 시작했던 A호텔에서의 현장실습이 정아에게는 무엇을 남겼을까?
B여고 금융과였던 정아는 올해 4월 말 담임선생님의 추천으로 A호텔로 현장실습을 나갔다.
"A호텔에서 6명을 모집한다는 공고가 붙었어요. 각 반에서 2명씩 추천해서 18명이 응시했어요. 그중 2명은 거기서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었어요. 저는 담임 선생님의 추천으로 돈을 빨리 벌고 싶어서 응시했어요. 월 140만 원에 연봉 1680만 원이라고 했거든요."전공과에 맞춰 교육과 실습을 하도록 하는 현장실습의 목적과는 다른 선택이었다.
"은행 쪽은 관심이 없고, 은행으로 취업하는 애들은 다 공부 잘하는 친구들이에요. 대부분 친구들은 돈을 많이 주는 회사에 가려 해요. 전공을 살려서 가는 애들은 거의 없어요."A호텔에서 주말에 아르바이트를 한 경험이 있는 친구들이 "일도 힘들고, 돈도 별로 안 준다"고 했지만, 18명의 응시자 중 7명에 포함되어 면접을 보았다.
면접관은 "여기 일은 힘들거야. 그런데, 여기서 버티지 못하면 다른 직장생활도 마찬가지야"라며 다음 날 출근하라고 했다.
B여고에서 함께 간 7명의 현장실습생은 식음서비스를 담당했다. 주로 레스토랑 서빙 업무, 고객 응대, 수영장 매점과 스낵바 업무를 맡았다.
첫 출근 뒤 5일은 예절 교육, 고객 응대 등의 교육을 받고 업무에 투입되었다. 일을 시작하기 전에 근로계약서를 써야 한다는 교육을 받았지만, 근로계약서는 한 달 뒤에 작성했다.계약 기간은 3개월인데 연봉 1680만 원이 적혀 있고, 연장수당과 휴일수당도 명시되는 등 이상한 근로계약서였다.
이상한 근로계약서, 초과근무에 폭언까지 3개월 동안의 현장실습에서 정아는 무엇을 느꼈을까?
"근무는 아침 7시부터 오후 4시까지 인데, 실제는 오후 6~7시가 되어야 퇴근했어요. 점심과 저녁시간도 30분인데, 수영장 스낵바에 있을 땐 교대할 사람이 없어 밥도 못 먹고 일할 때가 많았어요."7월에는 근무가 바뀌어 오후 12시부터 밤 9시까지 일을 해야 했는데, 늘 퇴근은 밤 10시 30분을 넘겼다.
"저녁도 먹지 못하고 계속 일하고, 수영장 스낵바 근무가 끝나면 다시 레스토랑과 바비큐장으로 옮겨 퇴근시간까지 일했어요."정아의 임금은 얼마였을까?
"현장실습 3개월은 90% 주는 거라고 했어요. 6월은 117만 원, 7월과 8월은 122만 원이 통장에 들어왔어요. 그렇게 일하고 120만 원 받느니 방학 때 아르바이트했던 피자가게에서 일하겠어요. 거기는 오전 11시에서 밤 10시까지 일하고 180만 원 받았어요."현장실습 3개월 동안 정아의 마음에 더 상처를 준 것은 따로 있었다. 팀장, 대리, 주임, 계장 등 관리자들의 언행이었다.
"친구가 일이 있어 늦는다고 팀장에게 연락하고 3~4분 늦었는데, '왜 이렇게 늦게 와. 너 그렇게 살지 마라'고 했어요.""한 번은 C대학교 관광과 대학생 4명이 현장실습을 왔는데, 한 언니에게 '살 좀 빼라. 내가 면접관이었으면 너 같은 애들 안 뽑는다' 다른 언니한테는 '화장을 왜 그렇게 늙어 보이게 하냐. 서비스직은 젊어 보여야지' 라고 말해서 놀랐어요."한 번은 주방에서 일을 조금 느리게 하는 친구에게 "정신차려라. XXX아 정신 똑바로 안 차리냐"라는 말도 했다고 한다.
정아는 '이렇게 욕을 먹으면서 일을 해야 하나? 여기 괜히 왔다'는 후회가 밀려오기 시작했다.
결국 3개월의 계약기간이 끝나고 현장실습 온 7명의 친구 중 3명이 사직서를 썼다. 더 기가 막힌 것은 A호텔 사장이 정아 학교 이사장이라는 것이다. 해마다 B여고 3학년들이 현장실습생으로 오지만 졸업 후 실제 취업으로 이어져 일하고 있는 선배들은 거의 없다.
정아와 친구들이 그만두고 나서 A호텔은 일할 사람이 없어 비상이 걸렸다고 한다. 그리고 얼마 후 다른 특성화고 남학생들이 현장실습생으로 왔다. 정아는 "자세히는 모르지만 관리자(정직원) 7명과 현장실습생 7명이 A호텔을 관리하고 있는 것 같았어요"라고 말했다.
원래 사회생활은 욕먹는 것? 막말 좀 하지 마세요 특성화고 3학년이 현장실습이라는 명목으로 저임금의 착취 구조에 내몰리고 있다.
다시 학교로 돌아온 정아에게 담임은 냉랭하게 말했다.
"앞으로 졸업할 때까지 취업(현장실습)은 못 나갈거다. 현장실습생이 임금 제대로 주라고 따질 그런 거 없고, 원래 사회생활은 욕먹고 그런 거다."하지만 정아는 속이 후련했다.
"3개월 동안 막말 듣고 무시당하면서 정신적 스트레스가 너무 컸어요. 지금은 그런 게 없어서 좋아요."회사가 현장실습생에게 어떻게 해주었으면 좋겠냐고 물었다.
"시간외 근무 때 임금을 제대로 주고, 퇴근 시간을 지켜주면 좋겠어요. 그리고 현장실습생은 일을 배우는 단계이니 막말이나 욕설을 하지 말았으면 좋겠어요"※ 특성화고 : 아주 예전에는 실업계고등학교라고 불렀다. 아직도 많은 분들이 이 용어를 사용하신다. 법에 의해 2007년 전문계고등학교로 바뀌었고 다시 2010년 현재의 특성화고등학교라는 명칭으로 변경됐다.
덧붙이는 글 | 순천언론협동조합이 만든 [순천광장신문]에 게재되었습니다.
http://www.agora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6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