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수정 : 2월 13일 오후 6시 35분]
새누리당의 이름이 2012년 2월 13일 탄생한 이래 5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새 이름은 자유한국당.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이후 '말안장 모양'이라는 조롱을 받기도 했던 당 로고도 자유, 도약, 화합 등을 상징하는 횃불 모양으로 바뀌었다. 인명진 비대위원장이 제안한 '보수의 힘'은 슬로건으로 활용한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 이후 부패의 상징으로 떠오른 당 이미지를 개선하고자 단행한 고심책이다.
당 지도부의 변화 시도에도, 일부 전국위원들은 못마땅함을 숨기지 않았다. 익명을 요청한 한 전국위원은 "반대 의견이 있을 텐데 왜 만장일치로 밀어붙이는지 모르겠다"면서 "당명만 바꾼다고 개혁이 되나, 당명을 바꿀 정도면 다른 소통 방식을 보여줬어야 하는데, 너무 허무하다"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범보수 중심은 우리" 분위기 띄웠지만...
자유한국당은 13일 상임·전국위원회를 열고 당명 및 당헌, 당규 개정 의결을 진행했다. 전국위원 698명 중 380명이 참석했다. 백보드에는 자유, 경제, 안보가 큰 글씨로 적혀 있었다. 인 비대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개정을 진행하는 것은) 겉모습만 바꾸는 것이 아닌, 보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고뇌의 산물이다"라면서 "자유한국당으로 태어나는 우리는 보수 가치를 재정립해 보수의 본연 모습을 복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우택 원내대표 또한 "(당명은) 헌법의 기본 개념인 자유민주주의와 자유 시장경제주의를 기반으로 한다"면서 "정당, 정치, 정책 즉 3정 쇄신을 통해 우리 당이 안정화의 길에 접어들고 있다"고 자부했다. 자유한국당을 치켜세우면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와 바른정당을 깎아내리기도 했다.
정 원내대표는 "우리는 무책임한 급진 좌파에 나라를 맡길 수 없다"면서 "사드 배치에 반대하고, 유엔 대북인권결의안을 북한에 물어보고, 당선되면 제일 먼저 북한에 맡긴다는 (문재인 전 대표) 세력에 맡겨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바른정당을 향해서는 '배신자' 소리도 서슴지 않았다. 그는 "당이 어려울 때 자기 당을 뛰쳐나간 배신 세력에게는 국가를 맡길 수 없다"면서 "야당보다 (자유한국당을) 더 저주하는 세력을 범보수 세력의 중심에 서게 할 수 없다"고 맹비난했다.
의장 대행으로 나선 안상수 의원은 "신한국당에서 한나라당, 새누리당, 그리고 오늘 여러분이 결정할 자유한국당으로 (우리 당은) 다시 시작하려한다"면서 "인 위원장의 희생적 결단과 현명한 리더십으로 위기에 몰린 우리당이 새로운 모습으로 거듭나고 있다"고 외쳤다.
당 지도부의 취지 설명과 '분위기 띄우기'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는 불만이 터져 나왔다. 경기도의 한 전국위원은 당명 개정에 "자유한국당이라는 명칭은 어떻게 결정된 건지, 이건 어떤 과정 속에서 만들어진 것인지 설명을 부탁드린다"면서 "이런 (일방적) 방식 보다는 (전국위원들의) 소신으로 결정했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일부 참석자들, 당 일방적 결정에 불만 표하기도
김영선 당협위원장(경기도 일산서구)은 당론으로 결정한 '대선 전 개헌' 및 '분권형 개헌'에 대한 쓴 소리를 전달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이견이 있다"며 거수한 뒤 단상에 올라가 "개헌에 대해 당원 의견을 수렴한 바 없다"면서 "의견 수렴이 안 된 상태에서 개헌 이야기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무능하고 법을 위반하는 국회도 문제인데, 분권만 되면 뭐하나"라면서 "국민을 위해 어떤 개헌을 해야 하는지 의견 수렴도 안됐다"고 강조했다.
한편, 자유한국당은 당헌 개정을 통해 '당원 소환제'를 신설하기로 했다. 당원소환제는 해당 행위 등 당에 악영향을 끼친 당대표 및 선출직 최고위원에 한해 소환을 요구할 수 있는 제도다. 공천이나 당 운영 등 지도부가 제 역할을 하지 못했을 때, 당원이 그 책임을 직접 물을 수 있게 하겠다는 목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