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저 '유기견 새삶'에 무릎담요 100장을 기부하고 싶어요"어느 겨울날이었다. 유기동물들에게 가장 힘든 계절인 여름과 겨울 중 하나인 겨울이 결국엔 또 다시 돌아왔다. 그리고 그런 추운 겨울날에, 어쩌면 가장 따뜻할 한마디가 다가왔다. 유기견 아이들이 올 겨울도 따뜻하게 날 수 있도록 주변인들과 함께 담요를 기부하고 싶다는 이야기에 동물보호단체 '유기견 새삶'은 또 다시 바빠졌다.
아이들에게 꼭 필요한 작은 손길들기부의사를 밝혀온 건 유기견 새삶이 있는 수원과 거리가 있는 서울에 거주하고 있지만 시간을 내서 산책봉사에 꾸준히 참여하고 있던 서울 문일고등학교의 유정훈(19)군이었다. 유정훈군의 기부 의사가 무척이나 기뻤지만, 우리는 다른 선택을 하기로 했다. 유기견의 입양률이 높고 그렇게 보호 동물이 많지 않은 우리로서는 백 장의 무릎담요가 너무 많았다.특히나 밖에서 생활하는 아이들이 적지 않은 보호소의 경우 무릎담요가 비나 눈에 젖어 오히려 아이들의 건강을 해칠 수 있었기에 우리는 무릎담요 사용량이 많은 한 사설 보호소로 우리가 받은 기부를 돌리기로 결정했다. 그게 바로 시흥시의 한 유기견 보호소였다.
지난 14일 기부물품을 전달하기 위해서 방문한 동물 보호소는 공장과 맞닿아있는 부지에 있었다. 약 50마리에서 70마리의 유기견을 보호중이라는 김민서(52)씨는 담요의 기부를 무척이나 반가워했다. 눈을 구타당해 한쪽 눈을 적출해야 했던 아이, 방광염이 심해 거동이 불편한 아이... 그 이외에도 사람에게 상처받고 겁에 질려있는 아이들은 한두 마리가 아니었다. 특히나 입양이 힘든 아프거나 나이가 많은 아이들이 많다고 말한 김민서씨는 아픈 아이들이 따뜻하게 지내기 위해서는 담요가 정말 필요했다며 무거운 담요 상자도 번쩍번쩍 들어보이시는 모습을 보이셨다.
이 보호소는 아이들이 비닐하우스에서 지내고 있어 냄새가 여기저기서 나는 것이 마음을 아프게 했다. 수도도 직접 연결해서 사용하고 있고, 아이들의 건강을 위해 비닐을 하나 더 둘러주는 것이 난방이라고 하시기에 집에서 기르는 것보다 열약한 환경임이 어쩔 수 없다고 하기엔 너무나 마음에 콕콕 찔렸다. 다행히도 이 보호소는 아이들의 중성화수술과 의학적 조치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편에 속해, 사람에게 상처받은 아이들이 나름의 세상을 만들고 편안히 지내고 있다는 점에서 위안이 되었다.
보호소에 대해 설명하시면서 아이들이 먹어야 하는 사료를 기부나 후원이 들어오지 않는 사설 보호소에서 감당하기엔 무척이나 버거운 점이 있다고 말씀하시며 아이들이 먹는 것만큼은 내가 먹는 것을 줄여서라도 잘 먹일 수 있으면 좋겠다는 이야기에 아이들에겐 아직도 필요한 도움이 많구나, 하고 반성하는 방문이 되기도 했다.
길 위의 아이들, 그들에게 필요한 건 정말 담요일까?위의 사진이 바로 지난 14일에 방문하였던 사설 보호소의 사진이다. 누군가는 이 사진을 보고 이렇게 말할지도 모르겠다. '정말로 이렇게 열약한 환경이란 말야?'라고. 충격을 더해주고 싶지는 않지만, 슬프게도 이 보호소는 관리가 잘 되는 편에 속해있었다. 후원이나 기부가 거의 없는 사설 보호소들은 여기보다 훨씬 더 열약한 환경인 곳도 무척이나 많다.
유명한 보호소가 아니면 후원이나 기부가 들어오지 않으니 사설 보호소가 할 수 있는 것에 대한 한계가 뚜렷해지는 것이다.그럼 후원이나 기부를 위해 주소 같은 것을 공개하면 되지 않느냐는 의문이 이어질 수 있지만 이조차도 쉽지는 않다. 주소를 공개하면 오히려 그곳에다가 개를 묶어놓고 버리는 사람들 또한 늘어나기 때문이다.
가뜩이나 주변에서 인식이 좋지 못해 애니멀 호더(동물을 잘 돌보는 것이 아니라 동물의 수를 늘리는 데에만 집착하는 사람들을 이르는 말. 동물을 기르는 것이 아니라 수집하는 행위에 가까운 사람들을 일컫는 용어로, 동물학대의 한 유형이다/시사상식사전)로 몰려 신고를 당해 보호하고 있던 아이들 모두가 법대로 안락사의 심판대 위로 올라가기도 하고, 개 짖는 소리 때문에 못 살겠다며 더더욱 산속이나 인적이 드문 곳으로 사설보호소들이 이동하곤 하는 것이다.
그럼 도대체 그들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그들을 진정으로 도울 수 있는것은 무엇일까? 후원? 기부? 물론 그런것들도 사설 보호소에겐 큰 힘이 되는 일들이다. 사료나 담요, 낡은 옷가지는 아이들이 겨울을 보내는데 큰 힘이 된다. 아이들의 병원비로 사용할 수 있는 후원금 또한 아이들에게는 꼭 필요한 도움이다. 하지만 정말로 유기동물 아이들에게 필요한 도움이란건, 바로 관심이다.
지난해 5월 15일 SBS <TV 동물농장>을 통해 강아지 공장에 대한 보도가 나간 이후 사람들의 반려동물 복지에 대한 관심은 최고조에 이르렀다. 국회 앞에서는 법의안 개정 촉구를 위한 촛불이 불타올랐고, 국회 도서관에서는 한걸음 한걸음이 더더욱 의미있도록 만들기 위한 토론이 이어졌다.
그리고 바로 지금, 놀라울 정도로 일반 시민들의 관심이 사그라들었다. 물론 지금 현 시국에서 강아지에 대한 것에 관심을 쏟으라는 이야기는 아니다. 하지만 반대로 한번의 기부, 한번의 후원, 한번의 관심으로 끝나지 않았으면 한다. 한번의 행동이 꾸준한 행동으로 이어진다면 우리나라도 충분히 반려동물 문화에 대해 성숙한 발걸음을 걸어나갈 수 있다.
세뱃돈을 모아 기부하는 아이, 매달 일정 금액이 기부금으로 빠져나가게 하는 사람, 유기견 보호소를 다니면서 봉사활동을 하는 연예인은 멀리에 있지 않다. 바로 지금 이 순간에도, 당신 주변의 누군가는 작은 발자국을 열심히 꾹꾹 찍어나가고 있을것이다. 한 번 19살 어린 소년의 행동을 본받아보자. 그리고 계속 이어나가보자. 그저 불쌍해 하는 것 이상으로 우리가 해줄 수 있는 것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