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이 서울시 주관 행사에서 20분으로 예정된 연설을 48초 만에 끝냈습니다.
지난 18일 서울광장에서는 '서울복지박람회' 개막식이 열렸습니다. 갑자기 쌀쌀해진 날씨에 서울시는 미리 준비한 방석과 무릎담요, 목도리, 핫팩을 제공하고 난로까지 설치했지만, 행사에 참석한 시민들은 추위에 떨었습니다.
개막식 특별 연설을 하기 위해 올라온 박원순 서울시장은 "오늘은 시민들을 추위에서 해방시키는 게 가장 큰 복지인 것 같아요. 제 연설은 생략하고, 앞으로 시민 여러분들과 함께 서울을 위대한 복지 도시로 만들겠습니다"라는 말만 하고 연설을 끝냈습니다.
이날 행사는 박원순 서울시장이 추진해온 대표적인 복지 정책을 되짚어 보는 의미 있는 자리였습니다. 특히 박 시장은 새벽 2시까지 연설문을 쓸 정도로 정성을 기울여 준비했다는데, 추운 날씨에 벌벌 떠는 시민들 때문에 연설을 포기했습니다.
교장 선생님 훈화 말씀에 졸도했던 학생들
박원순 서울시장은 자신이 연설을 취소한 것이 '너무나 당연한 일'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1970, 1980년대 학교에 다녔던 세대라면 연설을 짧게 하는 일이 쉽지 않다는 걸 잘 알고 있습니다.
국민학교라는 명칭을 기억하는 세대에게 가장 지겨운 것을 고르라면 교장의 훈화라고 대답하기도 합니다. 애국 조회, 아침 조회, 운동회 등 각종 학교 행사 때마다 빠지지 않은 교장 훈화는 학생들에게 공포와 짜증을 유발했습니다.
아무리 춥고 더워도 절대 끝나지 않는 교장 선생님 말씀 때문에 학생들은 쓰러지기도 했습니다. 실제로 1978년 제주도의 한 중학교에서는 조회를 마치고 교실로 돌아온 학생 45명이 졸도하는 일도 벌어졌습니다.
교장 선생님은 항상 '사랑하는 학생 여러분'이라고 말하지만, 졸리고 다리가 아픈 학생들은 안중에도 없었습니다. '마지막으로'라는 말에 '이제는 끝나겠지'라고 생각하지만, 습관적인 말투에 불과했습니다.
학교뿐만 아니라 지자체나 정부 행사에서도 '존경하는 시민 여러분'이라고 시작하지만, 모든 행사의 시작과 끝은 철저히 고위 공무원이나 정치인 중심으로 돌아가는 일이 허다합니다.
행사 때마다 되풀이되는 과잉 의전
'민주주의 사회'라고 말합니다. 시민이 주인공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지자체나 정부, 정치인 방문 행사 등을 보면 '의전'을 핑계로 시민들은 뒷전인 경우가 있습니다.
2016년 황교안 총리는 구로 노인종합복지관을 방문했습니다. 당시 행사 관계자들은 총리 방문에 맞춰 엘리베이터를 정지해놨습니다. 총리를 위한 과잉 의전 때문에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은 계단을 걸어 내려와야 했습니다.
2014년 전남 순천대학교에서는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가 방문했습니다. 관계자들은 지도부가 행여 비를 맞을까봐 건물 입구부터 우산을 들고 서 있기도 했습니다. 박근혜 전 대통령 취임식 때에는 의자를 청소해야 한다면서 소방관을 동원하기도 했습니다.
지난 7월,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는 충북 수해 현장을 방문했습니다. 행사 관계자는 허리를 숙여 준비된 장화를 신겨주기도 했습니다. 시민들은 정치인이 재난 현장 등을 방문하는 것을 싫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달랑 1~2시간 머물다 가는 정치인을 위해 복구보다 행사 준비에 치중하기 때문입니다.
체육관 바닥에 앉은 문재인 대통령
지난 11월 23일 문재인 대통령이 지진이 발생한 포항을 방문했습니다. 이재민들이 대피해 있는 흥해 실내체육관을 찾은 문 대통령은 이강덕 포항시장으로부터 피해 상황과 수습대책에 대해 보고를 받았습니다.
대통령이나 정치인들이 재난 현장에 가면 별도로 혼자 또는 수행원들과 브리핑을 받습니다. 그러나 당시 문재인 대통령은 시민들과 함께 바닥에 앉아서 보고를 받았습니다. 문 대통령은 '주민들 말씀부터 들어봅시다'라며 자신의 발언권을 뒤로 미루기도 했습니다.
별거 아닐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통령이 시민과 함께 보고를 받고, 자신보다 주민의 발언권을 우선시했다는 점은 과거 정권에서는 보기 어려운 장면이었습니다.
행사를 준비하는 공무원도 이제는 주인공이 대통령이나 시장, 정치인이 아니라 시민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지극히 상식적인 일이지만, 그동안 지켜지지 않았을 뿐입니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정치미디어 The 아이엠피터 (theimpeter.com)에도 실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