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콘의 과로사와 투신자살지난 2010년 전 세계를 떠들썩하게 한 사건이 있다. 중국 대륙에 투자한 대만계 기업 폭스콘에서 14명의 직원이 연속 투신자살했다. 그 후 폭스콘은 기숙사 등 많은 건물에 자살방지용 그물을 설치했다. 기숙사 창문도 30초의 시간을 들여야 열리게끔 설계하였고, 심리상담원을 두어 실시간 상담을 할 수 있게 했다. 하루 자살 관련 상담 전화만 1000건이 넘는다고 한다.
당시 폭스콘의 최고경영자 테리 고우는 주주와의 연례 만남 자리에서 "노동자들이 업무에 지쳐 발생한 사건이 아니었다. 단조로운 업무와 일부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90%는 개인 관계와 가족 분쟁으로 인한 것이었다"¹⁾라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공장 노동자의 상당수는 20~25세 사이의 연령대로 가족과 떨어져 지내고 있었고 사랑하는 이와의 분리 심리적 충격과 의지할곳 없는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 또 몇몇 노동자들은 보상금을 위해 자살을 시도하기도 했었다고 추가했다.
글로벌 유명 브랜드인 애플 회사도 비판 여론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착취공장", "자살공장" 을 이용하여 돈벌이 한다는 비난은 계속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2010년 스티브 잡스 전 애플 최고경영자는 "폭스콘은 노동 착취 공장이 아니다. 식당과 수영장까지 갖춘 꽤 괜찮은 공장"이 라며 "자살시도가 이어지고 있지만 40만 명에 달하는 공장 직원들의 수를 고려하면 미국 전체 자살률보다 낮다"²⁾고 답변했다.
이렇듯 공장에서 자살 사건이 발생하면 기업들은 자살의 원인을 개인적 요인에서 찾는다. 자살자의 성격, 우울증, 대인관계, 빚 등 개인적 요인들을 수없이 나열한다. 그리고 투신자살자의 동정론자들은 기업의 문화, 조직, 장기근무, 직장내 스트레스 등 구조적 요인에서 찾는다. 기업을 대변하는 사람들은 한술 더 떠 공업사회, 지식정보사회의 성격이 강할수록 자살은 피할 수 없는 보편적인 현상이라고 설명한다.
폭스콘이 요구하는 것은 스톰트루퍼누가 젊은 청년노동자들을 보이지 않는 자살의 그물로 조이고 있는가? 아이러니하게 "고객제일"은 폭스콘의 사훈이며, 회사의 신조다. 고객에 대한 절대적인 신뢰와 충성을 요구한다. 보통 경쟁사들은 제품 정보가 빠져나갈 것을 우려해 같은 공장에 납품을 맡기지 않는 편이다.
그러나 폭스콘은 각각의 공장에 보안을 엄격하게 유지한다. 폭스콘은 업무 시간에 거의 말을 하지 않는다. 또한, 공장 내부에 거의 모든 시설이 갖춰져 있고, 기숙사까지 있어 공장 밖으로 나갈 일을 거의 만들지 않는다. 특히 폭스콘 공장의 근무 교대 시각에는 금속 탐지기를 거치고 몸수색을 받는다. 이런 철저한 비밀유지 덕분에 제조사들은 폭스콘을 신뢰한다.
룽화(龍華)에 근무하는 폭스콘 직원은 27만 명, 24시간 3교대로 각종 전자제품을 쉴 새 없이 생산하고 있다. 거대한 기지 안에는 생산 공장과 직원 숙소뿐만 아니라 식당, 병원, 잡화점, 은행, 소방서 등 70여 동의 건물이 모여 있다. 5만 명이 동시 식사할 수 있는 20여 곳의 대형 식당에서는 매일 15만 명분의 식사가 준비되는데 소비되는 쌀 양만 40t이 넘는다.
이 같은 광경은 생소하고 무섭다. 5만 명이 함께 식사할 수 있는 공간에서 똑같은 작업복만 입은 낯선 사람을 보았을 때 무엇이 생각나겠는가? 은하제국의 스톰트루퍼가 떠오른다. 개인의 생각, 기호, 취미, 창의성 전혀 중요하지 않다. 말해도 들어주지 않고, 기계처럼 손만 놀려야 할 때, 20대 젊은 피가 솟구치는 청년들은 참을 수 있을까?
마르크스는 이것을 "소외"라고 정의했다. 인간이 소외되면 투명인간처럼 되고, 주변 사람은 생소하고, 주변 환경은 두렵고, 삶은 무미건조하다. 지속적 감시에서 노동하는 사람은 초조하기 쉽고, 얇아지는 지갑과 지친 몸을 바라보면 삶은 초라해진다. 더욱 무서운 것은 AI시대를 준비한다는 핑계로 "스타워즈"의 출현을 알리는 작업이 전개되고 있다는 점이다. 세계에서 가장 큰 제조업체 폭스콘은 지금 지구에서 가장 많은 전자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폭스콘과 유사한 세계적 기업들이 로봇생산에 경쟁을 올리고 있다.
얼마 전 폭스콘은 4만 대의 Foxbots를 투입한다고 선포했다. 폭스콘 자살 사건 이후 각종 분쟁과 사회여론에 시달리고 중국 내 인건비도 갈수록 높아짐에 따라 폭스콘 대표는 2011년에 "100만 로봇 시대"를 공언했다. 복잡한 전자제 품에서 인간은 "정밀한 손"이란 우세가 사라지면 곧장 로봇에 대체될지도 모른다. 인간 노동자들이 "자살공장"을 탈출하면 모르겠지만, 그들은 스타워즈의 스톰트루퍼처럼 변할지도 모른다.
화웨이는 천국인가, 자살문인가2007년은 화웨이에 있어서 불행한 해일지도 모른다. 중국에서 가장 전도유망한 기업으로서 찬사를 받았지만, "자살문"이란 오명도 동시에 달고 있었다. <신주간>잡지는 "화웨이는 중국에서 가장 힘들게 일 시키는 기업"이란 제목으로 연쇄 자살 사건을 다루었다.³⁾
화웨이 대표는 군인 출신이다. 조직문화는 군사화되어 있다. 이 부분은 폭스콘과 비슷하다. 고학력자들을 뽑고 있지만, 신입사원들의 입사교육은 군사화 됐다. 교관도 중국 군인의 자랑으로 여기는 "국기반"(國旗班)에서 영입하고, 2주간 군사교육과 함께 회사교육을 한다. 회장과 사부(지도교수), 신입사원이 일체화된 "회사부 일체" 세뇌 교육을 시킨 후, 회사와 함께 공존할 수 있는 기본훈련을 3개월 진행한다.
대부분 신입사원은 3개월 기간에 임용되지만, 그 압력은 매우 크다. 연쇄 자살 사건도 이 시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화웨이 기업이 전자 관련 기술을 개발하는데 집중하는 만큼, 최고의 엘리트들을 모집하지만 그들은 새로운 분야에서 방황하고, 짧은 시간에 평가받아야 하고, 수시로 잘릴 수 있는 위기감에서 생활해야 했다. 자살한 장루이(張銳)는 이렇게 불만을 토로했다고 한다.
"비록 소프트분야에서 내공을 쌓았지만 통신영역에서 있어서 아무것도 모르고 있다. 실습기간을 지나도 바로 잘리지는 않겠지만, 모든 사람이 경쟁하고 있기에 너무 힘들다."화웨이 회장이 입버릇처럼 말하는 "간이침대" 문화는 화웨이 문화의 상징이고 자랑거리였지만, 연쇄자살사간이 일어난 후, "자살도구"란 오명을 받았다. 간이침대는 군인의 배낭처럼 수시로 몸에 붙어 있고, 전투도구로 인식되게 하였다.
"간이침대는 절반의 집이다. 화웨이 사람들의 체력과 지력을 집에 보내지 않고 최대 한계로 빨아 먹고 있다."이처럼 고학력 엔지니어들, 중간 관리자 심지어 화웨이 회장도 우울증에 걸렸다고 자백하고 있다. 대부분 시간을 회사에 보내는 이들은 여가 시간이 없고, 심지어 애인과 만날 시간도 없어 길게는 두 달 뒤에야 애인의 얼굴을 보았다고 한다. 그러나 회사는 "위기론"을 주지시키며 회사와의 "운명공동체"를 강조하여 내부경쟁을 조장하고 있다. 한편으로 회사의 소속감을 강조하여 안정감을 찾게 하지만, 과도한 압력과 내부경쟁은 오히려 회사 소속감과 안정감을 상실하여 직원들을 소외시켰다고 볼 수 있다.
드라마처럼 모든 것을 회사를 위해 헌신했는데, 하루 아침에 헌신짝처럼 던져졌을때 어떤 기분일까. 화웨이뿐만 아니라 중국, 나아가 한국, 일본 등 IT, 게임 관련 기업들도 비슷한 딜레마를 갖고 있다. 이런 직종 자체가 "자살 세포"를 갖고 태어났을지도 모른다.
화웨이가 존재하는 도시 심천 자체가 "우울증의 도시", "자살의 도시"다. 이 도시에는 화웨이와 비슷한 거대기업 텐센트, ZTC 등 많은 IT기 업이 있다. 한편으로 "IT도시"로 선망의 대상이고, 활기찬 도시, 꿈의 도시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시들시들 병들어가고 있다.⁴⁾
2007년 심천시 위생국에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18세 이상 심천주민들의 정신질환율은 21.1%로 중국 도시 가운데 가장 높았다. 그리고 우울증 발병률은 7%로서 당시 전 세계 우울증 발병률 3.1%를 초과하였으며, 불안장애 환자는 9.94%로서 10명중 1명이 불안장애 환자이다.
더 무서운 것은 당시 심천의 연평균 자살자가 2000명으로서 당시 교통사고 사망자 보다 높았다고 한다. 10만당 자살률로 환산하면 당시 800만 심천인구로 볼 때 25%이다. 이는 OECD 국가에서 자살률 1위를 기록한 한국보다 높은 수치이며, 서울의 자살률과 막상막하 다.
우리는 자살을 방지하기 위해 각종 자살예방책을 찾으면서 "자살방지" 그물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사는 도시, 그리고 그 도시 안에 회사들이 사즉생의 결단으로 경쟁에 뛰어들고, 돌진하는 시스템은 자살을 탄생시키는 보이지 않는 "거대한 괴물"이 아닐까?
* 각주1) CIOKorea, "폭스콘 CEO "4년 전 잇단 자살, 노동 환경탓 아니었다"", 2014.6.26.2) 폭스콘의 직원은 120만 명에서 130만 명에 달하며 투신사건이 발생한 광저우지역의 공장은 30만 명이 넘는 다.3) 新 周 刊 , " 华 为 : 可 能 是 中 国 最 累 的 企 业",2007.8.314) 중국 노동자의 과로사, 자살은 회사 내부의 열악한 노동환경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2007년~2010년 사이 중국 신노동법의 제정과 실시단계에 폭발적으로 발생한 과로사와 자살사건들이란 점에서 법제도와 도시의 환경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을 쓴 예동근 님은 부경대학교 교수입니다. 또한 이 글은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에서 발행하는 잡지 <일터>에도 연재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