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판문점에서 만나는 4·27 남북정상회담이 이틀 앞으로 다가온 25일, 청와대는 남북 정상간 회담과 합의가 순조롭게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남북은 지난 3월 6일 애초 회담 개최 전 첫 통화를 하기로 합의해, 문재인-김정은 등 양측 정상간 '핫라인'(직통전화) 통화 시한은 회담 직전인 25일, 26일로 여전히 남아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25일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남북 간 합의가 개략적으로 이뤄졌는가'라는 질문에 "(모든 게) 순조롭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그간 남북정상회담에서 다룰 주요 의제 등 협의를 위해 필요하면 앞서 방북했던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재방북할 수 있다고 말했으나, 이 또한 진행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조율이 어려우면 방북해서 이를 풀 필요가 있었는데, 원만하게 일이 진행돼 갈 필요가 없는 것 같다"라는 게 24일 핵심관계자의 설명이다.
이 핵심관계자는 25일 '정상회담 전 추가 고위급회담, 정상 간 핫라인 통화 등이 이뤄지지 않는 건 북한이 응하지 않아서'라는 일부 보도와 관련한 질문이 나오자 즉답을 피한 채 "회담 결과를 보시면 알 것"이라고만 답했다. 다만 애초 남북 합의에 따르면, 남북 정상간 역사적 '첫 통화'는 회담 직전인 26일 진행될 수도 있다.
"문재인-김정은 등 정상간 핫라인 설치, 회담 전 첫 통화"지난 3월 초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특사단 수석대표로 방북해 김 위원장을 직접 만나고 온 정의용 안보실장은 3월 6일 브리핑을 통해 ▲ 남북정상회담 날짜 ▲ 정상간 핫라인 설치 ▲ 북측 비핵화 의지와 북미대화 용의 ▲ 북측의 군사도발 축소 ▲ 양측의 문화교류 약속 등 6개 합의문을 발표했다.
합의문 두 번째 조항엔 "남북은 군사적 긴장 완화와 긴밀한 협의를 위해 정상 간 Hot Line(핫라인, 직통전화)을 설치하기로 하였으며, 제3차 남북정상회담 이전에 첫 통화를 실시키로 했다"라고 돼 있다.
즉 남북이 전화 설치를 끝내고 시험 통화도 끝낸 지금, 25일~26일 양일간 양 정상이 통화할 가능성은 여전히 살아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의 핵심관계자는 지난 23일 "정상 간 첫 통화 시점은 아직 결정돼 있지 않다"라면서 통화가 정상회담 뒤로 미뤄질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다.
한편, 25일 <한겨레> <중앙일보>는 문재인 대통령이 회담 때 김 위원장에게, 서울·평양이나 판문점 등에 남북이 상시적으로 협의할 수 있는 '연락사무소(대표부)' 설치를 제안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여권 핵심관계자·복수의 소식통 등을 인용한 보도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일부는 맞고 일부는 틀리다"라면서 "제가 하나하나 설명하긴 곤란하다"라고 말했다.
남북은 25일 판문점에서 정상회담 최종 점검을 위해 다 같이 '남북 합동 리허설'을, 실제 양 정상이 만나는 시간에 맞춰 실시한다. 회담 하루 전인 26일에는 정상회담의 모든 공식 행사를 일일이 시연하는 최종 리허설을 남측이 단독으로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