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노랑제비꽃 해발 500미터 이상 높은 산에서 잘 자란다. 꽃뿔 길이는 1밀리미터쯤으로 제비꽃 속 가운데 가장 짧다.
노랑제비꽃해발 500미터 이상 높은 산에서 잘 자란다. 꽃뿔 길이는 1밀리미터쯤으로 제비꽃 속 가운데 가장 짧다. ⓒ 이새별

오랑캐꽃 이름의 내력
 
전라남도 영광 출신 시조 시인 조운(1900~?)이 있다. 그는 자유시로 등단한 뒤 시와 시조를 같이 쓰다가 시조에 둥지를 틀었다. 조운은 시조의 정형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형식과 내용면에서 여러 실험을 했고, 거의 자유시에 가까운 시를 썼다. 1945년 해방이 되자 그는 조선문학가동맹에 들어가 잠깐 활동했고, 1949년 식구들과 함께 북으로 넘어간 월북 작가이다.
조운이 쓴 시 가운데 '오랑캐꽃'이 있다. 시 전문을 아래에 옮겨 본다.

넌지시 알은 체하는
한 작은 꽃이 있다

길가 돌담불에
외로이 핀 오랑캐꽃

너 또한 나를 보기를

너 보듯 했더냐.


위 시에서 오랑캐꽃은 '제비꽃'을 말한다. 제비꽃은 꽃 모양이 하늘을 나는 제비를 닮아, 또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올 무렵(삼짇날)에 꽃이 핀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그런데 이때는 춘궁기로 양식이 거의 바닥나는 시기다. 북쪽의 오랑캐 여진족도 만찬가지였다. 그들은 춘궁기가 되면 우리 땅에 쳐들어와 양식을 빼앗아 가고 논밭에 뿌릴 씨앗마저 강탈해 갔다. 제비꽃이 필 무렵이 되면 함경북도·량강도·자강도 사람들은 오랑캐가 쳐들어올지 몰라 하루하루를 걱정과 근심으로 살아야 했다. 그래서 그 이름이 '오랑캐꽃'이고, '시름꽃'이다.

유목 민족의 개체변발(왼쪽)과 이용악 시집 《오랑캐꽃》 표지(오른쪽) 개체변발(開剃?髮 열개·머리깎을체·땋을변·터럭발)은 말 그대로 뒤통수 부분만 남겨 그 머리를 세 갈래로 땋는 것을 말한다. 말을 탈 때 머리가 걸리적거리지 않게 한 것이다. 이용악의 시집 《오랑캐꽃》은 1947년 아문각에서 나왔다. 책 말미에 〈‘오랑캐꽃’을 내놓으며〉 발문이 있고, 시 29편이 실려 있다.
유목 민족의 개체변발(왼쪽)과 이용악 시집 《오랑캐꽃》 표지(오른쪽)개체변발(開剃?髮 열개·머리깎을체·땋을변·터럭발)은 말 그대로 뒤통수 부분만 남겨 그 머리를 세 갈래로 땋는 것을 말한다. 말을 탈 때 머리가 걸리적거리지 않게 한 것이다. 이용악의 시집 《오랑캐꽃》은 1947년 아문각에서 나왔다. 책 말미에 〈‘오랑캐꽃’을 내놓으며〉 발문이 있고, 시 29편이 실려 있다. ⓒ 김찬곤

함경북도 경성 출신 이용악의 시 '오랑캐꽃'(1939)에 이런 구절이 있다. "긴 세월을 오랑캐와의 싸움에 살았다는 우리의 머언 조상들이 너를 불러 '오랑캐꽃'이라 했으니 어찌 보면 너의 뒷모양이 머리태를 드리운 오랑캐의 뒷머리와도 같은 까닭이라 전한다." 시 '오랑캐꽃'은 1947년 그가 세 번째로 낸 시집 책 제목이기도 하다. 위 구절에서 '머리태'는 '머리채'의 북한말이고, '길게 늘어뜨린 머리털'을 뜻한다. 이것을 변발(辮髮 땋을변·터럭발)이라 하는데, 그 모양이 제비꽃 꽃뿔(꽃받침이나 꽃부리 일부가 길고 가늘게 뒤쪽으로 뻗어난 돌출부) 또는 꿀주머니 모양과 닮아 '오랑캐꽃'이라 했다는 것이다.

고려 불화 속 선재동자의 변발 일본 조라쿠지(長樂寺)에 있는 〈수월관음도〉 속 선재동자다. 정수리 부분 머리를 땋아 비단 띠로 묶었다. 고려 〈수월관음도〉의 선재동자는 이렇게 거의 다 변발을 했다.
고려 불화 속 선재동자의 변발일본 조라쿠지(長樂寺)에 있는 〈수월관음도〉 속 선재동자다. 정수리 부분 머리를 땋아 비단 띠로 묶었다. 고려 〈수월관음도〉의 선재동자는 이렇게 거의 다 변발을 했다. ⓒ 김찬곤

한 뼘도 되지 않아 '앉은뱅이꽃'

제비꽃은 다 자라도 어른 손으로 한 뼘도 되지 않아 '앉은뱅이꽃'이라고도 한다. 제비꽃이 한창 꽃을 피워도 마음 써서 보지 않으면 잘 안 보이기 때문에 붙은 이름일 것이다. 제비꽃은 땅바닥에 딱 달라붙어 봄이 왔다고,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온다고, 저 멀리 남쪽 바다를 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이 꽃이 고개를 빳빳이 들지 못하고 수줍게 머리를 수그리고 있다. 조운의 시 '오랑캐꽃' 초장의 "넌지시 알은 체하는" 구절은 바로 이 모습을 노래하고 있다. 더구나 이 앉은뱅이꽃은 돌담불에 외로이 홀로 피어 있다. 나는 너를 보고 쓸쓸함을 느꼈는데, 너 또한 나를 보고 외로움을 느꼈겠구나, 하는 시다.

이원수의 시 '앉은뱅이꽃'

시 제목을 아주 '앉은뱅이꽃'이라 하여 쓴 시도 있다. 경남 마산의 이원수(1911∼1981)가 쓴 시다. 이원수는 1939년 12월, 봄을 기다리면서도, 봄이 되면 고향을 떠나야 했던 '내 동무 순이'를 노래한다.

나물 캐러 들에 나온 순이는
나물을 캐다 말고 꽃을 땁니다.

앉은뱅이꽃,
마른 잔디 속에 앉은뱅이꽃
벌써 무슨 봄이라고
꽃이 피었나.

봄 오면 간다는
내 동무 순이
앉은뱅이꽃을 따며
몰래 웁니다.


제비꽃 앉은뱅이꽃은 보통 음력 삼짇날(삼월 초사흗날)쯤에 꽃을 피운다. 그런데 2017년에 윤달이 끼어 올해는 20일 가량 날짜가 뒤로 뒤쳐졌다. 그래서 양력으로 5월 8일쯤에는 활짝 핀 제비꽃을 쉽게 볼 수 있을 것 같다. 그래도 양지 바른 곳을 잘 살펴보면 제비꽃이 간간히 피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제비꽃 제비꽃의 원래 이름은 ‘오랑캐꽃’이었으나 해방 뒤 한국식물분류학회에서 예쁜 꽃 이름에 ‘오랑캐꽃’은 안 어울린다면서 논의가 몇 차례 있었고, 그렇게 하여 오랑캐꽃에서 제비꽃으로 바뀌었다.
제비꽃제비꽃의 원래 이름은 ‘오랑캐꽃’이었으나 해방 뒤 한국식물분류학회에서 예쁜 꽃 이름에 ‘오랑캐꽃’은 안 어울린다면서 논의가 몇 차례 있었고, 그렇게 하여 오랑캐꽃에서 제비꽃으로 바뀌었다. ⓒ 이새별

위 시에서 순이는 나물을 캐다 말고 꽃을 딴다. 나물은 보통 2월 중순에서 3월 초에 캔다. 그런데 이때에도 볕이 잘 드는 곳이면 마른 풀 사이에서 제비꽃을 볼 수 있다. 내 동무 순이는 봄이 되면 집을 떠나야 한다. 아마 부잣집 식모로 가거나 도시로 나가 노동자가 될 것이다. 아니면 현해탄을 건너 일본으로 돈을 벌러 갈 것이다.

일제강점기 부산·여수와 시모노세키를 오가는 관부·관여연락선이 있었다. 부산·여수항에서는 수많은 조선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아 일본으로 떠났다. 마산항에서도 일본으로 가는 기선이 있었다. 중국 상해와 청도에서 출발한 기선이 인천, 마산, 부산을 거쳐 일본으로 갔다. 내 동무 순이는 봄이 오면 정든 고향을 떠나기로 되어 있었던 모양이다. 이 시에서 앉은뱅이꽃은 봄과 제비를 맞이하는 '기다림'의 꽃이라기보다는 '이별'의 꽃이 되어 있다. 백창우는 이 시에 곡을 붙였는데, 참으로 구슬프게 잘 지었다. 이 노래는 유튜브에서 찾아 들을 수 있다.
이원수의 시 〈앉은뱅이꽃〉에 백창우가 곡을 붙인 동요 ·
이원수의 시 〈앉은뱅이꽃〉에 백창우가 곡을 붙인 동요· ⓒ 백창우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광주드림에도 보냅니다. 제비꽃에 대해 더 알아보려면 ‘이새별 블로그’에 한번 들러 보세요.



#제비꽃#오랑캐꽃#앉은뱅이꽃#개체변발#김찬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이 세상 말에는 저마다 결이 있다. 그 결을 붙잡아 쓰려 한다. 이와 더불어 말의 계급성, 말과 기억, 기억과 반기억, 우리말과 서양말, 말(또는 글)과 세상, 한국미술사, 기원과 전도 같은 것도 다룰 생각이다. 호서대학교에서 글쓰기와 커뮤니케이션을 가르치고, 또 배우고 있다. https://www.facebook.com/childkls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