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부산 가덕도.
부산 가덕도. ⓒ 윤성효
 
이정화 김해시의회 부의장은 '김해신공항' 건설을 백지화하고 부산 가덕도 신공항을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이 부의장은 1월 11일 낸 자료를 통해 "왔다 갔다 하는 장애물 제거 여부 논란"이라든지, "활주로 3.19km로는 B747-8F 기종도 어렵다", "의도적인 여객 수요 1000만 여명 감축은 또 다른 문제 야기"라며 크게 3가지 이유를 들어 '김해신공항은 안 된다'고 했다.

국토교통부는 박근혜정부 때 결정된 김해신공항 건설(김해공항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김해신공항은 안전과 소음문제에다 인천공항의 비상시 대체 공항 역할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계속 제기되어 오고 있다.

이정화 부의장은 김해신공항 백지화를 내걸고 김해시의회 농성과 국토교통부 앞 1인시위 등을 벌여 왔고, 이날 공개적으로 '가덕도 신공항'을 제시한 것이다.

김해신공항을 건설하려면 김해와 부산 쪽의 산이 장애가 된다. 정부는 장애물 제거 여부를 '왔다 갔다' 했다는 것.

국토부의 2009년 '동남권 신공항 개발 타당성 및 입지조사 연구'와 2011년 '동남권 신공항 입지평가', 기획재정부의 2017년 '김해신공항 건설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연구에서는 장애물 '제거'로 나와 있다.

그런데 국토부의 2016년 '영남권 신공항 사전타당성 검토연구'와 2018년 '김해신공항 기본계획'에서는 장애물에 대해 '존치'로 되어 있다.

'제거'로 결정된 연구용역은 모두 공항시설법(OLS)을 적용한 반면, '존치'로 결정된 연구용역들은 모두 국제민간기준(OAS)을 적용한 것이다.

이에 대해 이 부의장은 "김해공항 확장에 들어가는 소요예산을 줄이려고 의도적으로 한 것 아니냐"며 "국토부가 2009년과 2011년에 스스로 OLS를 적용하고도 2016년부터 OAS로 바꾼 것은 자기부정"이라고 밝혔다.

인천공항은 공항시설법에 근거한 OLS를 기준으로 장애물을 검토하고 실제 저촉되는 장애물들을 제거했다.

이 부의장은 "더구나 현재의 김해공항은 '민·군공항'이므로 군사기지와 군사시설보호법의 비행안전구역(AIS)을 적용해야 한다"며 "AIS를 적용해 장애물 저촉여부를 산출하고 제거 작업 이행까지 연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해신공항 활주로 길이는 3.19km다. 이 부의장은 "인천공항 제3활주로 길이가 무려 4km에 달하는데 지구온난화로 인한 활주로 길이 증가의 결과"라며 "기온은 공항 활주로 길이에 영향을 미치는데 항공기가 대기 온도 증가 시 이륙거리가 늘어나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3.19km로 결정한 2018년 국토부의 활주로 길이 결정 기준은 외국 민간 항공기 제작사 기준을 적용한 것에 불과하며 국내법규인 비행장시설(활주로) 설계지침을 적용하지 않았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국토부가 제시한 김해공항 표준온도는 29.8도이지만 항공기상청에서 산출한 김해공항의 가장 더운 달 최고 평균 기온은 31.4도로 1.6도나 차이가 나타났다"고 했다.

이 부의장은 "국토부 등이 제시하는 활주로 기본 길이(항공기 최소이륙거리)에서 B747-8F 기종 3.1km, A380-800F 기종 2.9km이나 김해신공항 기본계획에서는 검토 자체를 하지 않았다"고 했다.

그는 "터키 이스탄불 신공항, 베이징 서우두국제공항 등 최근 개장하여 떠오르는 국제공항들이 3.7km 이상의 활주로를 보유하고 있다"며 "활주로 연장시 환경 파괴 등이 야기될 수밖에 없어 이를 피하고자 하는 술책"이라고 비판했다.

여객수요와 관련해, 이 부의장은 "국토부가 2050년 3800만여 명이 찾을 동남권 관문공항을 여객 수요 2800만여명 규모로 축소해 짓겠다는 상황에서 김해공항 확장을 인정할 수 없다"며 "그렇게 되면 공항 포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이정화 부의장은 가덕도 신공항 찬성 이유에 대해 "가덕신공항이 평화번영을 위한 유라시아 대륙철도의 시작지가 되고 남해안 광역경제권 구축과 남해안 해양관광벨트 조성을 통한 남해안시대를 열어나갈 수 있다"고 했다.

#김해신공항#이정화#국토교통부#가덕도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