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한글회관 앞의 주시경 선생 흉상 한글회관 앞의 주시경 선생 흉상
한글회관 앞의 주시경 선생 흉상한글회관 앞의 주시경 선생 흉상 ⓒ
  
시대의 굴곡을 겪으면 굴절하는 사람이 있기 마련이다. 조선왕조는 성리학을 경국의 이데올로기로 해서 500년 왕조를 유지하였다. 성리학을 압축하면 충(忠)과 효(孝)이다. 우리말로 바꾸면 나라에 충성하고 부모에 효도한다는 뜻이다. 이같은 가치는 을사늑약과 경술국치를 겪으면서 증발되고 말았다.

왕족과 유학자이기도 한 대신ㆍ중신들은 일제로부터 작위를 받았다. 전국의 내노라 하는 서당의 유생 700여 명 역시 일제로부터 적지않은 은사금을 챙겼다. 매천 황현을 비롯하여 몇 명의 선비들이 순국하여 그나마 성리학의 맥이 유지되었다고 할까.

따지고 보면 애꿎은 성리학에 책임을 물을 순 없을 것이다. 조선조 선비들이 성리학에만 매몰되어 성리학은 일종의 근본주의가 되고 선비들이 교조화한 데 보다 큰 원인이 있을 것이다.

망국의 쓰나미에도 선비의 숨결은 남아 있었다. 진정한 유학도는 목에 칼이 들어와도 굴절하지 않는 선비정신에 있다. 주시경을 '선비'라 부르기는 잘 어울리지 않는 대목도 있다.

그의 개혁성과 진보성향, 무엇보다 '한자시대의 선비상'과는 걸맞지 않는 한글연구가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참선비' 임에는 틀림이 없다. 선비가 별것인가, 진정한 '선비정신'을 구현하는 사람이면 선비라 불러도 무방할 것이다.

개국 이래 최초의 국치를 현실로 맞은 주시경은 참담한 심경으로 하던 일을 계속하였다. 더러는 폐쇄되기도 했으나 아직 병탄 초기라 남아 있는 학교와 학당도 적지 않았다. 신학문을 갈망하고 우리 말과 우리 글을 배우려는 학생들의 열기도 뜨거웠다.

교실에는 어느 시간이든지 거의 빈틈이 없을 만큼 학도들이 들어앉아 주 선생의 강의를 듣는다. 한눈을 팔거나, 하품을 하거나, 이야기를 하는 따위야 이 교실에서는 애초부터 볼 수 없는 일이다. 다만 들리는 것은 선생의 다정스러운 말소리나 예서제서 삭삭이는 연필소리 뿐이다.

좀 갸름한 듯하고 넓으신 선생의 얼굴에는 언제든지 엄숙은 하시면서도 보드랍고 살가운 빛이 은은히 나타난다. 선생이 웃으시는 것도 별로 볼 수 없으려니와 또한 선생이 성내시는 것도 볼 수 없다. 그리고 선생의 눈에는 애정이 넘치는 듯하며, 그 푸대하신 몸피며, 엄전하신 풍채가 모두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스스로 경복하는 마음을 나게 한다. 선생의 말씀은 웅변은 아니다.

눌변도 아니다. 어느 때 어느 문제를 가지고 말씀을 하시든지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염증이 아니 나게 하고, 늘 떳떳하게 진실하게 느끼게 한다. 그리하여 선생의 말씀에도 선생의 성격이나 행동이 곧잘 보인다. 과연 선생은 인격 그것으로도 그 때 제일인이었음에 틀림이 없었다.

당시의 학생이었던 이병기는 이렇게 회고하고 있다. (주석 1)

 
 (왼쪽) 주시경 선생이 한글 교육을 마친 수강생에게 준 증서인 ‘맞힌보람’. (오른쪽) 풀어쓰기를 기존의 모아쓰기와 혼용하자고 제안한 ‘한글 흘림체 교본’.
(왼쪽) 주시경 선생이 한글 교육을 마친 수강생에게 준 증서인 ‘맞힌보람’. (오른쪽) 풀어쓰기를 기존의 모아쓰기와 혼용하자고 제안한 ‘한글 흘림체 교본’. ⓒ 윤종훈
 
주시경은 나라를 잃은 망국노로서 비탄과 자학만 하고 있을 수 없었다. 독립협회와 신문사 그리고 학교와 교회 등에서 알게된 애국지사들과 은밀히 만나 여러 가지 상의를 하는 한편 청소년들에 대한 우리 말과 우리 글 그리고 우리 역사를 가르치는 일에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에게는 무엇과도 바꾸지 않는 뚜렷한 '교육목표'가 있었다.

"스승의 교육목표는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으니, 첫째는 우리 말 그 자체를 정확하게 알고 정연하게 체계 세워, 올바른 국어 사용을 하게 하는 목표요, 둘째는 국어를 통하여 자주정신과 민주정신과 과학정신을 기르려는 간접적 목표다." (주석 2)

자기 나라를 보존하며 자기 나라를 일으키는 길은 나라의 바탕을 굳세게 하는 데 있고 나라의 바탕을 굳세게 하는 길은 자기 나라의 말과 글을 존중하여 쓰는 것이 가장 중요하므로 자기 나라의 말과 글이 어떤 나라의 말과 글만 같지 못하더라도, 자기 나라의 말과 글을 갈고 닦아 기어이 만국과 같아지기를 도모해야 할 것이거늘, 우리는 단군 이래로 덕정을 베풀던 그 훌륭한 말과 글자를 연구한 일이 없다.

이 때를 당하여 외국의 말과 글은 바람을 탄 물결처럼 몰려 들어오고, 미약한 우리나라의 바탕은 싸움터에서 진 나라의 깃발처럼 빛을 잃고 줄어들 것 같으니, 오늘을 당하여, 나라의 바탕을 보존하기에 가장 중요한 자기 나라의 말과 글을 이 지경을 만들고 도외시한다면, 나라의 바탕은 날로 쇠퇴할 것이요 나라의 바탕이 날로 쇠하면, 그 미치는 바 영향은 측량할 수 없이 되어, 나라 형세를 회복할 가망이 없을 것이다. 이에 우리나라의 말과 글을 강구(講究)하여, 이것을 고치고 바로잡아, 장려하는 것이 오늘의 시급히 해야 할 일이다. (주석 3)


주석
1> 『한국의 인간상』 4권, 475~476쪽.
2> 이강로, 앞의 책, 132쪽.
3> 주시경, 『조선어 문전 음학』, 5쪽, 이강로, 앞의 책, 132~133쪽, 재인용.

 

덧붙이는 글 | [김삼웅의 '한글운동의 선구자 한힌샘 주시경선생‘]은 매일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한힌샘#한힌샘_주시경#한글#이병기 #경술국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군사독재 정권 시대에 사상계, 씨알의 소리, 민주전선, 평민신문 등에서 반독재 언론투쟁을 해오며 친일문제를 연구하고 대한매일주필로서 언론개혁에 앞장서왔다. ---------------------------------------------

이 기자의 최신기사추모사와 추모시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