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 후보가 8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대통령 후보 초청 관훈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 후보가 8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대통령 후보 초청 관훈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국회사진취재단
  
"어떤 제안도 받은 적 없는데 왜 고민하겠나. 처음부터 끝까지 갈 생각으로 시작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가 8일 오전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와의 단일화 가능성을 칼 같이 잘라냈다. 그는 이미 기조연설 때부터 "굉장히 귀중한 이 시간을 단일화(관련 질문)에 15분~30분 정도 쓰는 일은 없었으면 좋겠다"라고 선언한 상황이었다.

안 후보는 이 자리에서 어떤 방식의 단일화도 고려한 바 없다면서 '닥치고 정권교체'가 아닌 '더 좋은 정권교체'가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먼저 국민의힘 측에서 자신과의 단일화 가능성을 거론하고 나서는 데 대해, "(단일화에 대해) 내부적으로 (국민의힘이) 크게 둘로 나눠져 있다고 보고, 그 둘 사이에서도 합의가 안 되는 걸로 안다"면서 "내부에서 합의가 되지 않은 상황에서 (제게) 어떤 제안이 나올 수 있겠나"라고 지적했다. 윤석열 후보가 언론 인터뷰를 통해 여론조사 방식이 아닌 후보자 간 담판 방식의 단일화를 거론한 데 대해서는, "제가 지금 단일화를 고민하지 않다 보니 방식을 고민한 적은 더더욱 없다"고 거리를 뒀다.

'정권교체 필요성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는데 현 지지율을 감안할 때 단일화 협상에 응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그러나 안 후보는 이에 대해 "정권교체가 필요하다 생각하지만 그게 목적은 아니다. 더 좋은 대한민국을 만드는 것이 목적이고, 정권교체는 그를 위한 수단이자 과정이다"라고 맞받았다.

그는 특히 "'닥치고 정권교체' 하고 나서, 지난 5년의 잘못된 국정운영보다 더 아마추어적인 국정운영이 벌어져서 나라가 더 어려워지면 어떻게 되나"라며 "민주당·국민의힘 지지자들은 모두 자기 후보가 싫은데도 상대 후보의 집권을 막기 위해 지지하는 인질 상태에 놓여 있다"고도 주장했다.

즉, 자신이 윤석열 후보보다 '더 좋은 정권교체'를 할 후보란 얘기였다.

안 후보는 윤 후보 측의 'DJP(김대중·김종필) 연합론'이나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 측의 '공동·통합 정부론'에 대해서도 "현재 기득권 양당에서 주장하는 공동이나 연합(정부) 이런 쪽은 두 정당 구성원들 내부로 국한하고 있는 것 같은데, 저는 전국민 통합내각이라 차이가 있다"면서 정파·진영을 가리지 않는 통합내각을 구성할 적임자가 자신임을 강조했다.

그는 자신이 집권한다면 정계개편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이에 대해 안 후보는 "아마도 대선 이후에 정치 구도가 국회 내에서도 바뀌는 이합집산이 일어날 가능성이 굉장히 많다고 본다. 거대 양당들이 내부적으로 금들이 쩍쩍 갈라져 있다는 걸 저는 알고 있다"며 "아마도 마음 맞는 사람들끼리 다시 재편이 일어날 수 있다"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다음 대통령 취임 한달도 되지 않아 지방선거가 있는데 국민들은 대통령에 당선된 사람이 일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주신다"면서 "프랑스 국민들은 마크롱 대통령을 당선시키고 다음 총선에서 그의 당을 1당으로 만들었다"고 강조했다.

자신에게 '철수 정치'란 이미지가 덧씌워진 것에 대한 항변도 나왔다. 안 후보는 "(전통)시장에 가면 '이번엔 도중에 그만두지 마라', '이번에도 단일화할 거냐'고 물으시는데 둘 다 사실과 전혀 다르다"며 "지난 10년 간 매년 주요 선거에 관여했는데, 2012년 대선 때만 양보했지 모든 선거를 완주하지 않은 적이 없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저는 단일화 안 하겠다고 했으면 100% 안 했다. 단일화를 하겠다고 한 건 단 1번인데 작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때다"면서 "제가 (계속해서) 도중에 그만두고 단일화 했다는 건, 기득권 정치세력의 이미지 조작"이라고 주장했다.

#안철수#윤석열#단일화#관훈클럽 토론#공동정부론
댓글2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07년 5월 입사. 사회부·현안이슈팀·기획취재팀·기동팀·정치부를 거쳤습니다. 지금은 서울시의 소식을 전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