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베르트 발저의 <벤야멘타 하인학교>는 귀족 출신의 한 젊은이가 하인을 양성하는 학교에 입학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야콥 폰 군텐'이라 불리는 이 청년은 하인이 되기 위해, "어느 누군가의 시중을 드는 데 필요한 몇몇 지식들을 습득하기 위해 벤야멘타 학원에 훈련생"으로 들어간다.
세상의 인정을 받고 성공하여 최고가 되기를 누구나 갈망하는 시대에, 삶의 주인이 아닌 하인이 되기 위한 교육이라니! 소설을 처음 읽기 시작한 독자라면 이런 주인공의 행동이 조금은 이상하고 생경하게 느껴질 것이다. 그러나 소설을 읽어나가다 보면 여러 대목에서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데 소설을 읽는 재미는 바로 거기에서 생겨난다.
그렇다면 주인공 야콥은 귀족 출신을 버리고 왜 기꺼이 하인이 되려고 하는 걸까? 벤야멘타 학교가 이렇게 시대와 동떨어진 교육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야콥이 벤야멘타 학교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쓴 이 소설은 '성장하고 발전하라', '노력하여 성공하라'와 같은, 지금 시대가 요구하는 이상적 인간형의 대척점에 서서 스스로 '작은 존재'가 되어 삶에서 자신만의 보람과 긍지를 발견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런 의미에서 이 소설은 반(反) 시대적이고, 반(反) 영웅적인 이야기라 할 수 있다.
이 학교의 교육 목표는 학생들이 하인으로서 갖춰야 할 자질과 역량을 길러내는 데에 있다. 이에 맞춰 학교는 학생들에게 "인내와 복종을 각인시키는 데 가장 큰 의의를 둔다." 학생들은 같은 것을 반복적으로 하는 법을 익히고, 교사들은 자유와 충만감이 아닌 강제와 결핍을 가르친다. 학생들은 이곳에서 상실감을 느끼는 법과 견디는 법을 배운다.
벤야멘타 원장은 먼저 학생들이 지식으로 두뇌를 꽉꽉 채우는 것을 경계한다. 지식이 커질수록 사람들은 자신의 존재를 높이 평가하고 남들은 깎아내린다고 원장은 지적한다. 지식은 자신이 남들보다 우월하다는 착각에 사로잡히게 한다는 것이다.
원장은 "자기 자신을 너무 높이 평가하는 사람은 자신감을 잃게 되거나 모욕을 당하게 될 때 위태로워진다고 말한다. 자의식에 찬 사람들은 의식에 적대적인 무언가를 끊임없이 맞닥뜨리기 때문이다." 그것은 인간의 영혼을 마비시키는 일이며, '지식의 주인이 아니라, 바로 그 지식의 노예가 되는 것과 같다'라고 강조한다.
벤야멘타 하인 학교에서는 이와는 반대되는 교육을 한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자신은 낮추고 남을 높여야 한다고 주문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겸손을 마음에 새기고, 타인을 존경하는 법을 배우며 관계에서 생겨나는 기쁨을 경험한다. 여기에서 자긍심이 생겨난다고 야콥은 말한다. "더 많이 일하고, 더 조금 소망하는 것." 바로 이것이 벤야멘타 학교가 내세우는 지향이다.
벤야멘타 학교는 무엇보다 세속적인 성공을 경계한다. "성공이란 것은 신경쇠약과 천박한 세계관을 필연적으로 수반하기 때문이다." 성공한다는 것은 타인에게 인정을 받는다는 것을 말하며, 그것은 사람을 자기만족과 허영에 들뜨게 만들어 "정신적으로 혼란시키고 무기력하게 만든다"라고 야콥은 설명한다.
훈련생 크라우스는 벤야멘타 학교의 교육 목표를 잘 체현하는 인물이다. "자신을 전혀 드러내지 않는 크라우스는 겸손 그 자체이다. 그가 원하는 것은 오직 누군가를 돕고, 복종하고, 시중을 드는 일뿐이다."
그는 타인에게 인정받고 환영받기를 원하지 않으며 자신에게 주어진 일만을 묵묵히 해나갈 뿐이다. 사람들은 그런 크라우스를 전혀 주목하지 않는다. 크라우스를 칭찬하는 사람은 없으며, 누구도 그에게 고마워하지 않고, 사람들은 그가 재미도 없고 못생겼다고 말한다.
하지만 야콥은 이런 크라우스의 모습에서 존재의 경이로움이 생겨난다고 말한다. "아무런 주목도 받지 못하는 사람이 별걱정 없이 편안하게 살아간다는 것", 타인의 인정을 갈구하지 않고도 자신만의 긍지를 세워나가는 것, 바로 그 점이 경이로운 것이다.
야콥은 크라우스에게 그토록 심오한 의미가 숨어있으리라고는 누구도 짐작하지 못한다는 사실이, 크라우스가 "진정한 신의 작품이며, 무(無)이며, 하인"인 것을 보여준다고 역설한다. 그리고 그것은 아주 멋진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의미에서 크라우스는 이 시대에 '기꺼이' 성공하지 않으면서도 진정으로 성공하는 삶을 보여주는 "작게 존재하고 작게 머무는 인물"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사람들은 이렇게 "거짓 없고, 단순하고, 명료한" 크라우스를 알아보지 못하며, 하찮은 존재로 여기고 착취할 것이라고 야콥은 말한다. 그러면서 자신은 크라우스가 의미하는 혹은 의미했던 바를 알게 될 극소수의 사람들중 하나이거나, 어쩌면 유일한 사람일지도 모른다고 씁쓸해한다.
남들보다 더 큰 성공과 뛰어난 성취를 이루는 것만이 최고의 가치가 된 지금 시대에 누구 하나 열심히 살지 않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모두가 목표를 향해 최선을 다해서 살아간다. 그러나 그럴수록, 쉬지 않고 달려갈수록 그 목표는 더 커지고 멀어지는 게 아닐까. 열심히 사는데 왜 사람들은 더 불안하고 우울할까.
남들보다 뛰어나고 싶은 욕망, 그렇게 멋진 모습으로 인정받고 싶은 욕망이 삶에서 진정한 보람과 기쁨, 자긍심을 찾는 것을 방해하고 있는 건 아닌지 소설은 묻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매우 비천하고 미미한 존재가 될 것이다"라는 야콥의 중얼거림은 단순히 자신을 깎아내리는 말이 아니라 자신의 긍지를 발견하고 만들어 가는 한 인간의 의지 표현이 아닐는지. 소설은 우리에게 묻는다. '어떤 삶이 진짜냐?'라고, '당신은 삶에서 어떻게 긍지를 만들어 가지나요?'라고.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작가의 블로그에도 올라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