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특례시가 진해 석동정수장에서 나온 깔따구 유충 추정 물질에 대해 늦게 시민들에게 알렸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창원물생명시민연대, 낙동강경남네트워크는 9일 오전에 낸 성명을 통해 "창원시는 하루 이상이나 사실을 숨겨 시민들을 깔따구 유충 오염 수돗물에 무방비 상태로 놓이게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들 단체는 "낙동강 퇴적토 오염과 낙동강 녹조가 부른 깔따구 유충 사고의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보 수문 개방을 통한 낙동강 수질개선이 절실하다"고 했다.
석동정수장에서 깔따구 유충 추정 물질이 발견된 때는 7일 오전 10시경이다. 그런데 창원시는 다음 날, 그것도 늦은 야간인 8일 오후 10시 40분경 '긴급 브리핑'이라면서 이 같은 사실을 공개했다. 깔따구 유충이 수돗물에서 나오면 시민들은 물을 끓여 먹어야 한다.
창원물생명시민연대 등 단체는 "시민들이 반드시 알아야 하는 관련 사실을 창원시는 사고 발생 하루가 훨씬 지나, 시민들이 인지하기 어려운 야밤과 주말을 틈타 공개했다"고 밝혔다.
창원시는 석동정수장의 원수인 '성주수원지'와 '본포취수장'의 원수를 확인한 결과 "본포취수장 원수에서 부유하는 유충알이 관찰되었고 정수 과정 중 흘러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했다. 대산정수장과 칠서정수장에 대해 조사를 했는데 깔따구 유충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창원시가 밝혔다.
본포취수장은 낙동강 원수를 사용한다. 환경단체는 "석동정수장의 깔따구 유충이 낙동강 원수를 통하여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면 본포취수장과 같은 방식으로 원수를 취수하고 있는 칠서정수장의 깔따구 유충 유입을 안심할 수 없다"고 했다.
이들은 "현재 낙동강은 녹조 창궐로 인하여 조류경보제가 발령 중이며 이 때문에 취수장은 녹조의 유입을 막기 위하여 물을 호수로 살수하고 있다"며 "이로 인하여 강바닥 퇴적토가 부유하면서 퇴적토에 서식하고 있던 유충까지 강물로 빠져나와 결국 정수장으로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또 이들은 "석동정수장에서 깔따구 유충이 발견된 곳이 정수 과정의 최종단계나 마찬가지인 활성탄여과지이기 때문에 유충이 송수관을 통하여 가정으로 송수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고 했다.
창원물생명시민연대 등 단체는 "창원시민의 수돗물 안정성 보장을 위해서는 상수원수인 낙동강의 수질이 개선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사례이다"고 했다.
이명박정부 때 진행된 4대강사업과 관련해 이들은 "낙동강에서 매년 창궐하고 있는 녹조는 낙동강 수질 뿐만 아니라 강바닥의 퇴적토까지 오염시키고 있다"며 "이 때문에 강바닥은 썩어가고 있고, 수년 전부터 낙동강 전 구간에 걸쳐서 깔따구 유충이 발견되고 있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다"고 했다.
창원시에 대해 환경단체는 "석동정수장 깔따구 유충 오염사고의 원인과 수습대책이 마련 될 때까지 칠서정수장도 안심할 수 없는 만큼 시민들의 요구가 있을 시 가정방문 수질모니터링을 즉각 실시하라"고 촉구했다.
또 이들은 "칠서‧본포취수장 일대의 낙동강 퇴적토와 수환경 실태를 정밀조사하라", "특별조사위원회에 시민사회의 참여를 보장하라", "석동정수장 깔따구 유충 사고를 숨겨 시민들을 무방비 상태에 놓이게 한 것에 대하여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환경부에 대해 창원물생명시민연대 등 단체는 "석동정수장 깔따구 유충 사고를 계기로 낙동강 수질개선과 수생태 보전을 위하여 하루빨리 수문을 개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창원시는 석동정수장의 유충 발견 대책으로 "유충의 불활성화율을 높이기 위해 염소 투입을 강화했고, 침전기능 강화를 위해 보조제인 폴리아민을 추가 투입했다"고 밝혔다.
또 창원시는 "유충 제거를 위해 잔류염소 2ppm인 물을 사용하여 급속여과지 10개소, 활성탄여과지 6개소를 역세척하는 한편 침전지 2개소를 청소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창원시는 시민들한테 수돗물을 끓여 먹도록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