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24일 새벽 '군사정찰위성'을 재발사했다. 지난 5월 31일 발사 실패 이후 85일 만이다.
합동참모본부(합참)은 이날 "군은 오늘 3시50분께 북한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남쪽방향으로 발사돼 이어도 서쪽 공해 상공을 통과한 '북 주장 우주발사체' 1발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합참은 이어 "우리 군은 경계태세를 격상한 가운데 한미 간 긴밀하게 공조하면서 만반의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 22일 새벽 일본 해상보안청에 24일 0시부터 31일 0시 사이에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며 해상위험구역 3곳을 설정하겠다고 통보한 바 있다.
북한이 통보한 해상위험구역은 북한 남서측 황해 해상 2곳과 필리핀 동쪽 태평양 해상 1곳 등이다.
북한은 지난 5월 29일에도 국제해사기구(IMO) 지역별 항행구역 조정국인 일본 측에 5월 31일 0시부터 6월 11일 0시 사이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고 통보한 뒤 31일 위성운반로켓 '천리마 1형'에 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탑재해 발사했다.
당시 북한이 발사한 정찰위성은 위성운반로켓 2단부와 함께 전북 군산 어청도 서방 200여㎞ 해상으로 추락했다.
북한은 당시 국가우주개발국 명의로 발사 실패를 인정하면서 '천리마 1형이 정상비행하던 중 1단 분리 후 2단 엔진 시동 비정상으로 인해 추진력을 상실해 서해에 추락했다'고 실패 원인을 공개했다.
추락한 북한 정찰위성 잔해물을 인양한 군은 "북한의 우주발사체와 위성체의 주요 부분을 인양해 한·미 전문가가 면밀히 분석한 결과 정찰위성으로서의 군사적 효용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평가했다"고 밝혔다.
이번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는 지난 21일부터 오는 31일까지 진행되는 한·미 연합연습 '을지 자유의 방패'(UFS·을지프리덤실드)와 최근 열렸던 한미일 정상회담에 대한 반발 성격으로 풀이된다.
앞서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북한이 인공위성 발사 계획을 통보했던 22일 논평을 통해 "미·일·괴뢰 우두머리들이 워싱턴 주변 캠프 데이비드 별장에 모여앉아 조선반도(한반도)에서의 핵전쟁 도발을 구체화·계획화·공식화한 이후 합의 문서들의 잉크가 마르기도 전에 그 실행을 위한 연습이 벌어지는 것"이라고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