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한국전쟁 전후, 수많은 민간인은 누가 적인지 알 수 없는 소용돌이에 휘말려 국가로부터 보호받아야 함에도 무참히 희생됐다. 함양군은 지리산과 덕유산을 잇는 지리적 여건으로 빨치산이 활동하는 본거지가 되었다. 1948년 10월 여순사건 이후 공비토벌작전 중 빨치산을 도왔다는 명분으로 함양에서는 민간인 학살사건이 자행되었다.

함양군 읍면 민간인 80여 명을 포함해 보도연맹, 연고지가 밝혀지지 않은 이들까지 포함하면 무고한 희생자가 300여 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들 중 함양민간인 희생사건 86명, 강정금 상해사건 1명, 부산형무소 사건 16명, 국민보도연맹사건 29명, 적대세력사건 29명, 전주형무소사건 2명, 산청·거창 등 민간인희생사건 2명, 서부경남민간인 희생사건 15명, 전북지역민간인 희생사건 1명 총 181명은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의 진실규명으로 명예를 회복한다. 

하지만 70여 년 아픈 기억을 안고 살아온 유족들의 설움은 아직도 깊기만 하다. 희생자 유족들의 가슴에 응어리진 그날의 진실이 모두 밝혀지는 날까지 우리는 그들의 기억을 붙잡아 둘 의무를 갖게 됐다. 그들의 증언을 기록하는 것은 이르다 하기엔 너무 늦었고 늦었다고 하기보단 다행이었다. 아픈 기억을 들추어내야 했던 힘든 작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증언해 준 유족분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함을 전한다.[기자말]
국민보도연맹은 정부에 의해 결성·운영되는 관변단체였으며, 가맹 대상자들은 자발적 의사보다는 대부분 정부의 강제적·폭력적 행정집행 절차를 거쳐 가입되었다. 애초 좌익경력자가 국민보도연맹의 주요 가입대상이었으나 그 규정이 광범위하고 자의적이어서 좌익관련자들 뿐만 아니라, 정부에 비판적인 인사는 물론 무고한 국민들도 상당수 가입되었다.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거창·산청·함양지역 국민보도연맹원 등 예비검속자들이 거창·산청·함양경찰서 소속 경찰에게 1950년 7월경 집단 사살되었다. 이들은 관할 경찰서(지서) 소속 경찰에게 연행되거나 소집통보를 받고 출두하였다가 경찰서 유치장, 지서, 상업은행창고, 양조장창고 등에 구금되었고 집단 사살되었다.

이 사건의 희생자들 중 일부는 좌익활동 경력이 있었던 자수 전향자였고 일부는 좌익활동과 무관한 남성들로서 대체로 20~40대의 농업에 종사하는 비무장 민간인이었다. 희생자 유족들은 1950년 7월경 함양군 석복면 난평리 복골, 수동면 화산리 밤나무 숲, 함양읍 백연리 두재고개, 지곡면 보산리 가운데고개 등에서 총살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아버지는 죽고 삼촌은 북에 끌려갔지"
 
 함양민간인희생자 유족 차정호씨
함양민간인희생자 유족 차정호씨 ⓒ 주간함양
 
"수동에 위령탑을 세워서 73년 만에 아버지 이름을 불러봤어. 감개무량해"
  
유복자였던 그는 아버지에 대한 이야기를 어머니로부터 전해 들었다. 어머니는 나이 서른 살에 혼자되어 아들, 딸 남매만 보고 평생을 사셨다. 차정호씨는 아버지와 어머니가 생이별을 한 것 같아 합분하여 모시고 산에 올라갈 때마다 절을 올린다.

차정호씨 아버지는 보도연맹 사건 희생자다. "우리 동네에 똑똑한 사람이 네 명 있었는데 모두 보도연맹에 가입했어. 그 중 세 명은 사망하고 한명은 산중으로 숨어 살았어. 나라에서 가입하라고 해서 아무것도 모른 상태에서 가입해서 죽은거라. 참 억울하제" 아무 죄가 없다 하시며 끌려갔던 아버지는 당그래 산에서 학살됐다.

"아버지는 보도연맹에 돌아가셨지만 삼촌이 아버지의 한을 갚기 위해 이북으로 끌려 올라갔어요. 행방불명이지요. 한때는 연좌제 걸렸는데(아들 유학갈 때 알았지) 폐지가 돼서 이제는 괜찮지요. 삼촌도 진실규명위원회에서 풀렸어요. 차태천이요. 나는 몰랐는데 여기 마을 어른들 말로는 겁나게 똑똑했다케요. 그 당시 공부도 많이 했고. 할아버지가 학자셨거든"

할아버지는 아들을 빼내기 위해 함양경찰서로 가서 돈 한 뭉텅이를 찔러줬지만 돈 들인 효과를 보지 못했다.

"우리 아버지는 담도 크고 하셔서 나는 아무 죄가 없다 하시고 끌려가셨어. 그래서 함양 경찰서에 잡혀 계시는데 우리 할아버지가 학자에 똑똑하시니까 어쩌면 돈으로 빼낼 수 있지 않겠느냐 하시면서 함양 경찰서에 갔지.

그런데 돈은 돈대로 받고 며칠 있다가 당그래 산에서 처형이 돼버리셨어. 엄한 사람한테 돈을 줬나봐. 그 정도 돈을 정확하게 찔렀으면 효과가 있었을 텐데 엄한 다리를 긁었던 거지."


며칠 뒤 당그래산에서 아버지가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접한 어머니는 썩은 시신을 들춰가며 남편을 찾았다. "유월 열 이튿 날이면 제일 더울 때 아닙니까. 자기 남편이니까 시신 썩은 건 신경도 안 쓰고 오로지 시신 찾아야 되겠다는 일념으로 뒤지셨던 거지. 아버지가 금이빨이 하나 있었다 케요." 보도연맹 사건으로 한날한시에 사망한 희생자들로 함양에는 유월 열 이튿날이 제삿날인 집이 여럿 있어 이맘땐 장날이 북적였다고 한다.
  
공부하는 자식위해 반야심경 매일 써

아버지를 대신했던 할아버지는 초등학교도 들어가지 않은 어린 차정호씨에게 추구, 사자소학을 쓰게 하며 가르치셨다. "할아버지한테 배워서인지 지금도 시간나면 한문을 쓰고 싶어요." 달력을 버리지 않고 뒷장에 반야심경 281자를 1300번 넘게 썼다는 차정호씨. 그는 글을 써 내려가며 멀리서 공부하는 자식들을 생각했다.

"자식은 모르지만 부모는 자식한테 그런 애정이 있어요. 공부하는 그 고통을 내가 나눠보자 해서 하루 한 번씩 썼어요. 오늘 못쓰면 내일 두 번 썼어요." 비록 시골에서 농사를 짓고 있었던 그였지만 학업에 증진하는 자녀에게 그 뜻을 전하기 위함이었다고.

"나는 우리 아들한테 그랬어. 너거는 나를 어려서부터 아버지, 아버지 부르는데 나는 그 석자를 아버지 돌아가시고 한 번도 못 불렀다. 할머니 할아버지 돌아가시고 모시고 나서야 아버지를 불러본다고."

아버지에 대한 기억은 없지만 아버지 발자취를 반이라도 따라가려고 바르게 살아온 차정호씨. 위령탑이 세워져 꽃을 놓고 절을 할 수 있게 되어 더는 바랄게 없다.

* 이 기사는 증언자의 구술을 그대로 살리고자 방언을 사용하였습니다. 구술 내용 중 날짜, 나이, 숫자 등에는 구술자의 기억의 외곡이 있을 수 있으며 전체 내용 또한 증언자의 기억을 바탕으로 기록됐습니다.

유족

■ 이름 : 차정호
■ 희생자와의 관계 : 희생자의 아들
■ 생년월일 : 1950년 9월1일 / 만 73세
■ 성별 : 남
■ 주소 : 함양군 백전면 서백길28
■ 직업 / 경력 : 농업

희생자

■ 이름 : 차태석
■ 생년월일 : 1914년 2월9일
■ 사망일시 : 1950년 음력6월12일
■ 성별 : 남
■ 결혼여부 : 기혼
■ 주소 : 경남 함양군 백전면 서백길28
■ 직업 / 경력 : 농업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함양뉴스에도 실렸습니다.


#함양민간인희생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른언론 젊은신문 함양의 대표지역신문 주간함양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