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인 기후위기 가속화 상황 속에 주말 서울과 부산에서 기후정의를 외치는 행진이 펼쳐진다. 추진위를 꾸린 여러 단체는 "서울은 세종로, 부산은 송상현 광장에 모여 위기를 넘을 힘을 모아내자"라고 호소했다.
부산지역의 100여 개 단체는 19일 부산시청 광장을 찾아 "9월 23일 부산에서도 기후정의행진을 진행한다"라고 선포했다. 심각해지는 이상기후 문제를 짚은 이들은 "이런 상황에도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정책은 퇴보하고 있고, 기후위기의 주범인 기업들은 제대로 책임 지지 않고 있다"라고 꼬집었다.
이날 광장에 모인 단체는 이보다 앞서 수차례 회의를 열어 부산·경남 차원의 기후행진을 위한 추진위를 꾸렸다. 지난주 탈핵부산연대 차원의 기자회견에 이어 다시 한번 9·23 지역행진 공식 일정과 의미를 발표했다. (관련 기사:
"핵발전은 기후위기 대안 아냐" https://omn.kr/25lvn)
서로 의견을 모아 마련한 10대 요구안은 기후위기 과제 해결에 초점을 맞췄다. 이들은 '기후재난에서 안전하게 살 권리 보장', '고리 2·3·4호기 수명연장 중단',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35% 이상 확대', '탈석탄동맹 가입', '공공교통 확대와 기후기금 조성', '가덕신공항 등 각종 난개발 중단' 등을 나란히 외쳤다.
참석자들은 저마다 발언을 통해 왜 기후정의행진이 필요한지를 역설했다. 민은주 부산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폭우나 강풍, 해일 등을 누구도 이를 제대로 예측하지 못하고 있는 게 작금의 상황"이라며 "기후위기가 발생하면 노후원전은 더 심각한 위험이 될 수밖에 없다"라고 우려했다.
최근 북아프리카 리비아 홍수, 충북 오송역 참사 등을 언급한 강호열 기후위기부산행동 대표는 "기후 문제로 수많은 사건이 발생하고 있다. 여기서 멈추지 않으면 바로 잡기가 어렵다"라고 '지금 바로 대응'을 강조했다. 앞서 1차 파업을 끝낸 이동헌 철도노조 부산본부 조직국장은 철도민영화 저지와 공공교통 확대가 기후위기를 막을 대안 중 하나라고 목소리를 보탰다.
기후위기 체제에 맞서는 기후정의행진은 이번이 벌써 세 번째다. 2019년 9월 5천여 명이 집결해 첫 시작을 알렸고, 코로나19 확산 시기인 2020년과 2021년에는 중단됐다가 지난해 3만여 명 규모로 두 번째 행사가 개최됐다.
올해도 같은 시기인 9월 23일 서울시청 광장 인근인 세종대로에서 용산 대통령 집무실 방면으로 행진에 들어간다. 지역별로는 부산과 경남이 '기후정의행진_in' 등 자체 행진 행사를 준비했다. 이는 본행사에 참가하지 못하더라도 각자의 자리에서 기후정의를 외치겠다는 뜻이다.
지난주부터 시민 참여 오픈마이크, 1인시위, SNS 인증샷 등을 기획한 추진위는 이번 주에도 릴레이 선언을 이어간다. 추진위의 남영란 활동가는 "기후위기 대응은 몇몇의 노력으로만 가능한 게 아니다. 우리 모두의 힘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