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두 번째 함박눈이다. 솜사탕 같은 눈덩이가 바람에 살살 날리며 하늘에서 떨어졌다. 어릴 적 탐구생활에서 눈의 결정을 관찰했던 것이 아직도 기억난다.
손바닥에 떨어진 눈의 결정은 모두 달랐고 금방 사라졌다. 대신 털장갑 위에 떨어진 눈의 결정은 오랫동안 볼 수 있었다. 이제는 맨눈으로 눈의 결정이 잘 보이지 않아 슬프지만, 아이들 눈에는 필자가 그랬던 것처럼 신기한 듯하다.
아주 추운 날보다 약간 푹한 날에 눈이 내린다. 대륙성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을 받는 추운 날보다 저기압의 영향을 받을 때 눈이 내리기 때문이다.
공기 중 물의 온도가 내려가면서 얼고 서로 얽히면서 주위 온도가 올라 따뜻해진다. 구름이 대기층을 덮어 따뜻하게 해주기도 한다. 여러 이유로 눈이 오는 날은 실제로 따뜻하다.
눈이 오면 가장 먼저 하는 놀이는 눈썰매다. 눈이 많이 쌓이지 않아도 비닐포대와 약간의 경사만 있으면 정말 재미있게 놀 수 있다. 필자 고향 집으로 들어오는 길은 경사가 있었다.
새 도로를 내면서 지면을 높여 옛날 집은 모두 도로보다 낮아졌다. 그 덕에 매년 경사로에는 우리집만의 눈썰매장이 생겼다. 사람이 다니는 길을 놀이터로 만들었으니 몇 번쯤 꾸중을 들었을 만도 한데 즐거운 기억만 남아있다.
새삼 돌아가신 할아버지, 할머니께 감사한 마음이 든다. 처마에 반짝이는 고드름을 따먹던 기억, 뽀도독 뽀도독 새 눈밭을 걸어다닌 기억, 눈싸움하고 다 젖은 몸을 따뜻한 아랫목에서 녹이던 기억이 너무나 소중하다.
강원도 산간지방이 고향인 아이들 아빠는 어릴 적 겨우내 꿩과 산토끼를 주우러 다녔다고 한다. 왜 잡는다고 하지 않고 주웠다고 하느냐는 질문에 독을 넣은 찔레 열매를 뿌려 놓으면 한참 후에 여기저기에 꿩이 죽어있어서 가져오기만 하면 된다는 것이다.
먹을 것이 없어서 헤매다 겨우 찾은 열매가 독이라니. 산짐승에게는 안됐지만 산골에서 겨울을 지내는 아이에게는 좋은 놀이이자 뿌듯함이었을 것이다.
남편은 시골에서 추운 줄 모르고 하루 종일 밖에 있다가 손등이 얼기 일쑤였는데, 그때는 꿩의 뇌를 밤새 손등 위에 올려놓았다고 한다. 그러면 다음날 부어있던 손등이 말끔하게 가라앉았다는 한국전쟁 때나 있었을 법한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남편은 민간요법이라 했는데, 검색해보니 <본초강목>에서 꿩의 뇌를 동상에 바른다고 기록하고 있어 깜짝 놀랐다. 꿩의 똥은 말라리아를 치료하는 데 쓰인다고 하니 꿩도 쓸모가 참 많다.
치악산 전설에도 나오는 꿩은 원주의 새이기도 하다. 하지만 용인의 시조이기도 하고, 울릉도를 제외한 우리나라 전체에 분포하는 오래된 텃새다. 옛날부터 우리와 아주 가까운 야생동물이다.
또 다른 겨울 놀이는 수확 후 논에 볏짚을 높이 쌓아 놓으면 친구들과 볏짚을 파서 안쪽에 집을 만드는 것이었다. 그 안이 정말 따뜻했는데 옹기종기 모여 앉아 조심조심 떠들면 그저 즐거웠다.
눈이 많이 오면 이글루를 만들어 그 안에 들어가서 쪼그리고 앉아있었다. 하루 종일 또는 며칠에 걸쳐 이글루를 만들면 힘들었지만, 우리만의 아지트를 만들었다는 뿌듯함과 신기함으로 겨울이 즐거웠다.
놀이하는 인간, '호모 루덴스'. 사람은 놀면서 산다. 가장 잘 놀 수 있는 곳은 바로 자연이다. 오랜 시간 사람은 자연에서 자연으로 먹고 자고 입고 놀았다. 아이들은 자주 갈 수 있는 동네 뒷산, 앞산이 필요하다.
집안에서 무엇을 해도 흥미를 잘 느끼지 못하는 아이들, 게임에만 매달리는 아이들에게 부모 세대가 놀았던 이야기를 해주고, 숲과 들, 강에서 얼마나 신나게 놀 수 있는지 경험해보면 좋겠다.
눈이 더 많이 오는 1월엔 뒷산에서 동네 아이들과 또 눈썰매를 탈 것이다. 그리고 따뜻한 컵라면도 먹어야지. 즐거운 것은 어른도 마찬가지다.
홍은정(협동조합 숲과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용인시민신문에도 실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