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석환 교육부차관이 19일 오후 에듀테크 신년하례회에 참석해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윤근혁
오석환 교육부차관이 19일 오후 에듀테크 신년하례회에 참석해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윤근혁 ⓒ 교육언론창

교육부의 거침없는 '사교육업체 결합 AI에듀테크 정책'에 대해 교육학자들이 별다른 입장을 표명하지 않고 있는 가운데, 한 교육학자가 '교육부인가, 에듀테크 기업부인가'란 취지로 교육부의 정체성을 캐물었다.

"AI디지털 교육만 있고, 교육의 목적과 가치가 없어"

20일 발제문을 확인한 결과, 박미자 성공회대 연구교수(교육학 박사)는 지난 17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연 전국참교육실천대회 교육정책마당 발제 '인공지능시대 교육의 방향과 과제'에서 이 같이 교육부의 에듀테크 정책을 직접 겨냥했다.

박 교수는 "교육부는 AI교육기반조성으로 미래교육과 개별 맞춤형교육도 지역격차 해소도 AI디지털교육이 해결할 수 있다는 듯이 도배하고 있다. AI디지털 교육만 있고, 교육의 목적과 가치, 방향이 없다"면서 "학교현장의 에듀테크 활용 활성화, 공교육과 결합한 에듀테크 산업육성, 국가차원의 에듀테크지원 체계 구축까지 교육부인지 에듀테크 기업(부)인지에 대한 정체성이 의심되는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박 교수는 "교육부(장관)는 지속적으로 AI디지털 교과서가 도입되면 지식은 디지털교과서를 통해 학습할 수 있고, 수업은 강의가 아닌 토론과 프로젝트형식으로 바뀔 것이라는 입장을 표명해왔다"면서 "이런 관점은 교육과정에서 영향을 주는 인간관계와 정서적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부족에서 나오는 입장"이라고 꼬집었다. "학생의 학습은 학생과 교사와의 만남, 학생과 학생간의 만남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정서적 교감과 안정적 관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이를 간과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박 교수는 "현 정부의 AI디지털교육은 (토론은커녕) 문제풀이식 서열화를 부추길 수 있다"면서 "입시경쟁과 학교서열화와 일제고사로 인한 시험 불안감이 일상적인 AI디지털교육과 결합할 때, 어린 학생들에게 끼치는 역작용을 예상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고 우려했다.

OECD의 EDU2030과 UNESCO 2050에서는 미래교육을 위한 핵심과제로 학생행위주체성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박 교수는 "학생행위주체성이란 개인을 위한 자발성이 아니라, 공동체와 함께 긍정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이라면서 'AI디지털교육은 학생행위주체성 강화에도 역행한다'는 취지로 발언했다.

현장 교사도 "어린이 발달에 악영향"

이날 토론자로 나선 윤선영 서울교대 파견교사도 "정부는 교육의 본질에는 별 관심이 없어 보인다. 인공지능, 디지털 등과 같은 교육의 수단에만 관심이 있어 보인다"면서 "인공지능을 대대적으로 도입시켜 사람의 역할을 대체하려 한다면 교육은 더욱 위기에 빠지게 될 것이다. 소통, 만남, 관계 등의 경험이 이미 충분하지 못한 어린이들이 더 많은 고립과 단절을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윤 교사는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들어온 AI 디지털교육 강조 내용에 대해서도 "어린이 발달에 악영향을 미쳐 발달 지연 현상을 확산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라고 내다봤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교육전문언론 교육언론[창](www.educhang.co.kr)에서 제공한 것입니다.

#AI교과서#박미자#교육언론창윤근혁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언론다운 언론, 교육다운 교육 교육언론 독립선언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