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용의 해를 맞이하여 방방곡곡에 있는 용과 관련된 지명을 소개하고자 한다. 용에 관련된 땅 이름과 용의 모습을 연결하는 인문 여행기이다.[기자말]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용머리는? 우락부락한 눈, 길게 뻗은 수염, 큰 입에 물고 있는 여의주 등 대부분 비슷한 모습이다. 꼬리 모습은 통상적으로 몸 끝 꼬리 부분이 몸통에 비해 가늘어진다. 끝부분은 지느러미 형태에서 털이 몇 묶음으로 갈라지는데, 갈래 숫자는 일정하지 않다. 

오래된 범어사 목어는 몸체가 용의 형태이고 꼬리는 다섯 갈래이다. 2014년에 동해안 구룡포에 만든 '용의 승천-새 빛 구룡포'는 아홉 마리 용 중에 여덟 마리는 꼬리를 땅에 감추고 있고, 한 마리 용은 여섯 갈래의 꼬리가 있다. 

일출 명소가 된 청주 대청호에 1997년 세워진 조형물은 뾰족한 꼬리가 허공에서 꿈틀거리는 모습으로 작가가 지은 제목은 '난 화가 났어요'이다. 인터넷에서는 '용꼬리 일출'로 알려져 있다. 용의 모습은 시대에 따라 변하고 상상의 동물이기에 사람들이 추상적인 조형물을 용 꼬리라 생각한 것 같다.

특이하게 잉어의 지느러미 꼬리로 묘사하여 다리에 만든 용 꼬리는 전남 고흥에서 만나 볼 수 있다. 먼저 고흥을 소개하면, 흥양현인 고흥읍에는 현감이 정무를 보던 존심당과 출입문인 아문이 있다. 구한말 총리대신 김홍집이 34살 때 현감으로 이곳 존심당에서 근무하였다. 

존심당 앞에는 바다로 통하는 개천에 두 개의 홍문(무지개다리)에 용이 있다. 옥하리 홍교에 있는 용머리는 다리 밑에서 바닥을 내려다본다. 함께 여행하던 후배에게 용 얘기를 했더니, 다짜고짜 다리 밑으로 내려간다. 용감한 후배 덕분에 용 사진을 건졌다. 다리 밑에 사진 찍을 수 있는 장소를 만들면 금상첨화이겠다. 

바로 옆에 있는 서문리 홍교 다리 한쪽에는 용머리가 있고, 반대쪽에는 용 꼬리가 있다. 용머리는 우리가 알고 있는 모습과 대동소이하고, 꼬리는 잉어 꼬리의 지느러미 모습을 하고 있다. 용의 아홉 아들이 아홉 가지 형태를 하고 있다는 구룡자(九龍子)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용생구자불성룡(龍生九子不成龍)이라고 하여 용은 되지 못했지만 인간과 친근한 모습으로 우리 삶 속에 살아 있다. 
 
동해안 구룡포 ‘용의 승천-새 빛 구룡포’의 용 꼬리는 지느러미가 여섯 갈래로 되어 있고, 고흥 서문리 홍교 용 꼬리는 잉어 지느러미처럼 생겼다.
▲ 용 꼬리 동해안 구룡포 ‘용의 승천-새 빛 구룡포’의 용 꼬리는 지느러미가 여섯 갈래로 되어 있고, 고흥 서문리 홍교 용 꼬리는 잉어 지느러미처럼 생겼다.
ⓒ 이병록

관련사진보기


공복, 공하 혹은 범공으로 불리는 이 용은, 물을 좋아하고 물에서 들어오는 악귀를 막는 기능을 한다고 하여 다리 장식으로 쓰인다. 팔애(叭涯)라고도 불리는 것은 물가에서 입을 벌린 모습이라는 뜻인데, 여기 용머리는 입을 다물고 있다. 물을 좋아하는 용은 잉어를 의미하기도 한다. 오래된 잉어가 용이 된다거나, 용왕의 자식인 잉어를 놓아줘서 복을 받는 얘기들이 여러 형태로 전해지고 있다. 

잉어가 용이 된다고 믿은 사람들은 잉어 같은 용을 어룡(魚龍)이라 불렀다. 어룡은 절에서 목어라는 형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출세를 뜻하는 등용문은 원래 중국 황하의 거친 물줄기를 거슬러 오르는 잉어의 모습에서 유래했다. 잉어가 뛰어오르는 지점에 용문(龍門)을 통과하면 용으로 변한다는 '어변성룡(魚變成龍)'의 이야기다. 

성공을 상징하는 등용문과 정반대로 경쟁에서 패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말도 있다. 점액(點額)은 용문에 오르다가 떨어져 이마에 상처를 입은 물고기를 뜻한다. 성공이 있으면 실패도 있는 법이니, 점액은 등용문과 같은 뜻이다. 

이 밖에도 고흥은 해안에 미르마르길이 있는데, 미르는 '물'의 옛말로써 우리말에 길 이름을 붙이니 더 정겹다. 바닷가 절벽에 용이 승천한 모습과 용의 조형물, 용바위 전설 등이 남아있는 아름다운 이 길은 걸어볼 만하다. 해파랑길만 따라 걷지 말고, 용 꼬리를 볼 것을 권한다.

대한민국 곳곳에 용과 관련된 마을, 동굴, 산이 많다. 이 중 대표적인 몇 곳을 골라서 용을 주제와 소재로 삼아 여행기를 쓴다. 다음 편은 동해에 있는 용으로 내용은 '용호상박과 용두사미' '용은 몇 마리가 살고, 몇 마리가 승천할까?'이 될 것이고, 서해 용난굴 이야기를 쓰고자 한다. 고흥 용암마을의 영남 용바위 전설은 다음 편에서 다룬다. 

태그:#용의해, #용꼬리, #용의승천새빛구룡포, #고흥서문리, #구룡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예비역 해군 제독 정치학 박사 덕파통일안보연구소장 전)서울시안보정책자문위원 전)합동참모본부발전연구위원 저서<관군에서 의병으로>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