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범영루와 백운교, 청운교 대웅전에 가기 위해서는 백운교와 청운교를 건너 중문인 자하문을 지나야 한다. 지금은 상징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좌경루 옆을 통해 들어간다.
범영루와 백운교, 청운교대웅전에 가기 위해서는 백운교와 청운교를 건너 중문인 자하문을 지나야 한다. 지금은 상징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좌경루 옆을 통해 들어간다. ⓒ 문운주
  
4일 오후, 월성에서 토함산 불국사로 향했다. 불국사는 528년(신라 법흥왕 15)  법흥왕의 어머니 영제부인의 발원으로 창건하여 751년(경덕왕 10) 김대건에 의해 크게 개수되면서 탑과 석교 등이 만들어졌다고 한다. 경주의 천년 고찰이다. 어떻게 변했을까.  

일주문으로 들어선다. 다른 사찰에 비해 규모가 크고 화려하다. 일주는 기둥이 한 줄로 되어 있는 데서 유래한다. 사찰에 들어가기 전 세속의 번뇌를 씻고 진리의 세계를 향해 일심으로 들어오라는 의미다. 그 진리의 세계가 궁금해진다.

반야연지를 건너면 천왕문, 천상계에서 가장 낮은 곳인 사천왕천에 살면서 사천왕천의 동서남북을 관장한다. 천상의 수문장으로 동쪽은 지국천왕, 남쪽은 증장천왕, 서쪽을 광목천왕, 북쪽은 다북천왕이 지키고 있다. 
 
범영루 750년경 김대성이 불국사를 중창할 때 건립. 1593년 임진왜란으로 불에 탄 것을 1612년과 1688년에 각각 중건. 현재의 건물은 1973년 불국사 복원 때 정면 1칸, 측면 2칸, 3층의 옛 모습 그대로 중건했다. 범영루는 범종각으로 범종각의 이름이다. 범영은 범종의 소리를 그림자에 비유하여 범종의 소리가 온 누리에 번져서 넘치는 것을 표현
범영루750년경 김대성이 불국사를 중창할 때 건립. 1593년 임진왜란으로 불에 탄 것을 1612년과 1688년에 각각 중건. 현재의 건물은 1973년 불국사 복원 때 정면 1칸, 측면 2칸, 3층의 옛 모습 그대로 중건했다. 범영루는 범종각으로 범종각의 이름이다. 범영은 범종의 소리를 그림자에 비유하여 범종의 소리가 온 누리에 번져서 넘치는 것을 표현 ⓒ 문운주
 
천왕문을 지나 반야교를 건너면 범영루에 이른다. 그런데 눈이 휘둥그레졌다. 대웅전을 가로막고 있는 거대한 전각 덕이다. 돌계단, 석가탑, 다보탑 등이 내가 기억하고 있는 불국사 전경이다. 안양문, 자하문, 좌경루 등은 1973년 복원된 이후 처음이다. 놀라움이 클 수밖에.
 
불국사 주요 건물 배치도 각각의 전각에 담장, 회랑으로 설치 돌립적인 구역을 설정했다
불국사 주요 건물 배치도각각의 전각에 담장, 회랑으로 설치 돌립적인 구역을 설정했다 ⓒ 문운주
 
불국사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전각의 구조와 배치를 알아야 할 것 같다. 부처가 관장하는 대웅전을 중심으로 한 현실세계, 극락전이 있는 사후세계인 극락세계, 비로전이 있는 부처님의 세계다. 회랑을 이용해 각각의 건물을 독립적인 공간으로 구분했다. 

자하문은 대웅전으로 통하는 중문이다. 청운교와 백운교를 건너서 간다. 자하문은 부처님의 몸에서 비추는 자금광이 안개처럼 서린 문이라는 뜻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 다포계의 공포를 짜 올린 팔각지붕을 하고 있다. 건축 양식은 조선 후기에 속한다. 계단 윗부문이 청운교고 아랫부문이 백운교다. 
 
안양문 751년 김대성이 불국사를 중창할 때 세워진 이 문은 1593년 임진왜란 때 타 버린 것을 1626년과 1737년에 중건했다. 현재 안양문은 정면3칸, 측면2칸으로 겹처마에 맞배지붕이다
안양문751년 김대성이 불국사를 중창할 때 세워진 이 문은 1593년 임진왜란 때 타 버린 것을 1626년과 1737년에 중건했다. 현재 안양문은 정면3칸, 측면2칸으로 겹처마에 맞배지붕이다 ⓒ 문운주
 
가로로 배치된 전각의 왼쪽에 안양문이 있다. 극락전으로 통하는 중문이다. 연화교와 칠보교를 지나간다.  아미타불과 보살들은 연화와 칠보로 만들어진 다리를 건너 관문인 안양문을 거쳐 극락세계를 오간다고 한다.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겹처마에 맞배지붕이다. 강릉 객사문과 도갑사 해탈문을 참고해 새로 지은 건물이다.

대웅전으로 가기 위해서는 좌경루 옆 계단을 이용해야 한다. 밑에서 올려다볼 때 안양문, 범영루, 자하문, 좌경루로 길게 회랑으로 막혀 있다. 부처님을 마주해서 들어서서는 안 되는 무언의 규칙 같은 것이 있는 것 같다. 자하문이나 안양문은 상징적으로 설치해 놓은 것이고.

아사달과 아사녀의 설화 깃든 탑
            
석가탑 통일 신라 경덕왕 10년(751)때 조성된 것으로 추측. 목조 건축을 본 따서 위·아래층 기단의 모서리마다 돌을 깎아 기둥 모양을 만들어 놓았다. 탑신에도 그러한 기둥을 새겼으며, 지붕 돌의 모서리들은 모두 치켜 올려져 있어서 탑 전체에 경쾌하게 날아오르는 듯한 느낌을 들게한다.
석가탑통일 신라 경덕왕 10년(751)때 조성된 것으로 추측. 목조 건축을 본 따서 위·아래층 기단의 모서리마다 돌을 깎아 기둥 모양을 만들어 놓았다. 탑신에도 그러한 기둥을 새겼으며, 지붕 돌의 모서리들은 모두 치켜 올려져 있어서 탑 전체에 경쾌하게 날아오르는 듯한 느낌을 들게한다. ⓒ 문운주
           
다보탑 건립된 시기는  통일 신라 경덕왕 10년(751) 추측. 4 각, 8 각, 원을 한 탑에서 짜임새 있게 구성한 점, 각 부분의 길이·너비·두께를 일정하게 통일 시킨 점 등은 8세기 통일 신라 미술의 정수다.
다보탑건립된 시기는 통일 신라 경덕왕 10년(751) 추측. 4 각, 8 각, 원을 한 탑에서 짜임새 있게 구성한 점, 각 부분의 길이·너비·두께를 일정하게 통일 시킨 점 등은 8세기 통일 신라 미술의 정수다. ⓒ 문운주
 
석가탑을 창건할 때 김대성은 당시 가장 뛰어난 석공이라 알려진 백제의 후손 아사달을 불렀다. 아사달이 탑에 온 정성을 기울이는 동안 한 해 두 해가 흘렀다. 남편 일이 하루빨리 성취되어 기쁘게 만날 날만을 고대하며 그리움을 달래던 아사녀는 기다리다 못해 불국사로 찾아왔다.

(...중략...)

 "여기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자그마한 못이 있소. 지성으로 빈다면 탑 공사가 끝나는 대로 탑의 그림자가 못에 비칠 것이오. 그러면 남편도 볼 수 있을 것이오." 한 스님의 말을 듣고, 아사녀는 온종일 못을 들여다보며 탑의 그림자가 비치기를 기다렸다. 그러나 무심한 수면에는 탑의 그림자가 떠오를 줄 몰랐다. 상심한 아사녀는 고향으로 되돌아갈 기력조차 잃고 남편의 이름을 부르며 못에 몸을 던지고 말았다.

(아사달이) 아내를 그리워하며 못 주변을 방황하고 있는데, 아내의 모습이 홀연히 앞산의 바윗돌에 겹쳐지는 것이 아닌가. 웃는 듯하다가 사라지고 또 그 웃는 모습은 인자한 부처님의 모습이 되기도 하였다. 아사달은 그 바위에 아내의 모습을 새기기 시작했다. 조각을 마친 아사달은 고향으로 돌아갔다고 하나 뒷일은 전해진 바 없다. 후대의 사람들은 이 못을 '영지'라 부르고 끝내 그림자를 비추지 않은 석가탑을 '무영탑'이라 하였다.

다보탑과 석가탑은 높이가 10.29m, 10.75m로 비슷하다. 석가탑을 보면 2단의 기단 위헤 세운 3층탑이라는 것을 알 수 있지만 다보탑은 그 층수를 헤아리기 힘들 정도다. 4각, 8각, 원을 한 탑에서 짜임새있게 구성했다. 각 부분의 길이·너비·두께가 일정하다고 한다.

석가탑은 목조건축을 본따서 위·아래층 기단의 모서리마다 돌을 깎아 기둥 모양을 만들어 놓았다. 탑신에도 그러한 기둥을 새겼으며, 지붕돌의 모서리들은 모두 치켜올려져 있어, 탑 전체에 경쾌하게 날아오르는 듯한 느낌이 들게 했다. 아사달과 아사녀의 설화가 깃든 탑이다. 

불국사는 신라인의 숨결이 살아 있는 역사문화 유적이다. 한국 최고의 석조 유물이다. 크기가 다른 돌을 깎아서 맞추는 데도 전통 건축기법인 '그렝이 기법'(주춧돌 위에 기둥을 초석의 윗면 모양대로 깎아 세우는 기법)을 사용했다. 
      
대웅전 681년 4월 8일 낙성)되었으며1436년-1470년 . 1564년에 중건. 창건당시 기단과 석등 등의 석조물이 보존되어 있으며, 창건 당시의 유구 위에 영조 41년(1765)에 중창된 건물로 중창기록과 단청에 대한 기록이 함께 보존되어 있는 매우 중요한 건축물
대웅전681년 4월 8일 낙성)되었으며1436년-1470년 . 1564년에 중건. 창건당시 기단과 석등 등의 석조물이 보존되어 있으며, 창건 당시의 유구 위에 영조 41년(1765)에 중창된 건물로 중창기록과 단청에 대한 기록이 함께 보존되어 있는 매우 중요한 건축물 ⓒ 문운주
  
불국사 전경 관음전에서 본 다보탑 등 불국사 전경
불국사 전경관음전에서 본 다보탑 등 불국사 전경 ⓒ 문운주
   
불국사 연등 무설전 마당의 연등.
불국사 연등무설전 마당의 연등. ⓒ 문운주
 
 

덧붙이는 글 | 1. 불국사의 국보는 다보탑, 석가탑, 청운교 백운교, 안양교 칠보교, 금동비로자나 불좌상, 금동아미타 여래좌상 등 6점이나 됩니다.
2. 다보탑, 석가탑에 관한 내용은 경주 문화관광 홈페이지 자료 데이터를 참고해 작성했습니다.


주요 지리정보

#불국사#다보탑#석가탑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아이들의 초롱초롱한 눈망울을 보며 삶의 의욕을 찾습니다. 산과 환경에 대하여도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미래에 대한 희망의 끈을 놓고 싶지 않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