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24 한국예술캘리그라피협회전' 개막식 기념으로 만든 멋글씨 멋그림
 '2024 한국예술캘리그라피협회전' 개막식 기념으로 만든 멋글씨 멋그림
ⓒ 박재은

관련사진보기


인사동 마루아트센터 야외무대에서 '2024 한국예술캘리그라피협회전' 한글새움 멋글씨 전시 개막식이 1일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번 전시는 세종대왕의 철학이 담긴 한글의 아름다움을 조명하고자 기획됐으며, 총 158명의 작가가 참여해 172개의 작품을 선보였다.  
'2024 한국예술캘리그라피협회전' 포스터 3종
 '2024 한국예술캘리그라피협회전' 포스터 3종
ⓒ 한국예술캘리그라피협회 제공

관련사진보기


전시는 예술캘리관, 캘리스토리텔링관, 한글새움관 등 세 가지 테마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테마관에서는 한글의 다양한 예술적 표현과 그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작품들이 전시됐다. 개막식 특별행사에는 한글 박사 김슬옹의 특별 초청과 더불어 훈민정음 서문에 대한 최초 답문 낭독, 가야금 연주가 진행됐다.  
훈민정음 서문 현대말 108자 번역(김슬옹, 왼쪽)과 이에 대한 답문 108자(이유 작가, 왼쪽)
 훈민정음 서문 현대말 108자 번역(김슬옹, 왼쪽)과 이에 대한 답문 108자(이유 작가, 왼쪽)
ⓒ 한국예술캘리그라피협회

관련사진보기

사회를 맡은 이유 한글새움 대표는 "한글새움은 '한글이 새로 움튼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며 "이번 전시와 개막식을 통해 한글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재조명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세종대왕 창제 훈민정음 서문 답문 최초 낭독 행사 열려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한 것은 1443년 음력 12월이었지만, 이를 체계화해 세상에 알린 것은 1446년 음력 9월이었다. 당시 세종대왕은 한문으로 된 책 <훈민정음> 해례본을 통해 훈민정음 서문을 발표했다. 한문본 훈민정음 서문은 그 당시 훈민정음(언문)으로 번역되었는데 그것이 <훈민정음 언해본>이다. 언해본 서문은 108자 훈민정음으로 번역됐다.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에서 누구나 배우는 '나랏말싸미…'가 그것이다. 108자로 번역한 것은 한자 모르는 백성들의 문자 '번뇌'를 잊으라는 기원을 담고 있다고 한다. 15세기 108자 번역은 훈민정음 해례본 복간본(2015, 2023) 학술 책임자인 김슬옹 박사가 처음으로 현대말 108자로 번역했고 김슬옹 박사가 이날 직접 낭독했다.

이번 개막식에서 김슬옹 한글 박사의 서문 낭독에 이어서 전시 작가들이 힘을 모아 훈민정음 반포 577년만에 세종대왕께 드리는 108자 답문을 만들었고 이를 혜화여고 김유진 양이 낭독하여 세종대왕의 철학과 한글의 가치를 다시 한 번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전시는 단순한 글자 이상의 의미를 지닌 한글의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고, 한글의 아름다움을 예술로 승화시키는 기회를 제공했다. 한글과 예술이 만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 이번 '2024 한국예술캘리그라피협회전'은 오는 3일까지 인사동 마루아트센터에서 계속된다.  
 
관람객들로 북적이는 개막식 당일 한국예술캘리그라피협회전 전시장의 모습
 관람객들로 북적이는 개막식 당일 한국예술캘리그라피협회전 전시장의 모습
ⓒ 박재은

관련사진보기


오늘 한국예술캘리그라피협회전 개막식 특별행사는 관람객들에게 한글의 아름다움과 예술적 가치를 전달하며 큰 감동을 선사했다. 앞으로도 한글의 아름다움을 예술로 표현하는 다양한 시도가 계속되기를 기대해본다.

태그:#한국예술캘리그라피협회전, #한글, #캘리그라피, #마루아트센터, #한글새움
댓글10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0,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