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완도군의 군목(郡木)은 동백나무다. 그럼 군화(郡花)는? 역시 동백꽃이다. 동백나무가 섬 어디에나 지천으로 널려있으니 당연히 군목은 동백나무요 군화는 동백꽃이다.
지금은 사라졌지만 완도에도 예전에는 천연기념물 동백나무 숲이 있었다. 완도읍 죽청리 동백나무 숲 (2970㎡)이 그 주인공이다. 1962년 12월에 천연기념물 45호로 지정됐으나 이 아름다운 숲은 인간들의 파괴로 그 기능을 상실해 1965년 천연기념물에서 해제됐다.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된 유리건판 사진을 보면 아마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동백나무들이 자라고 있던 숲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우리나라 최대의 동백군락지 두 곳을 소개하고자 한다. 한 곳은 삼두마을 동백나무 자연림이고 또 한 곳은 완도수목원의 동백나무원이다.
군외면 삼두마을은 50여 년 전 삼장안(三莊案)과 두읍(斗邑)마을이라는 두 마을이 합쳐지면서 삼장안 마을이 두읍마을에 흡수됐다.
이때 상왕봉을 중심으로 한 도보교통(徒步交通)의 요충지 삼장안 마을(1960년대까지 후반까지 완도 체도의 도로망과 교통은 아주 보잘 것 없었다고 한다. 그때는 모두가 걸어서 다니던 시기였는데 삼장안 마을에는 각 마을을 연결하는 물맹이재, 보름아골재, 마당재, 한두재, 시날재, 쇄내미재, 노구재, 목밭재 등 상왕봉을 넘는 여러 군데의 재(峙)가 있었다고 한다.) 자체가 없어지고 삼두(三斗)마을이 탄생됐다.
이곳 삼두마을 산 1-1 241ha와 1-4번지 일대 82ha에 우리나라 최대의 동백나무 군락지(群落地)가 형성돼 있다. 전체면적은 323ha로 산 1-1번지는 삼두마을의 진산인 봉두산(394m, 鳳頭山)의 일원으로 다양한 나무들이 혼합림(混合林)을 이뤘는데 이중 동백숲은 70%가 하층림(下層林)으로 구성돼 있어 미래의 산림자원인 반면, 산 1-4번지는 옛 삼장안 마을의 일부분으로 숲의 95% 이상이 자생동백(自生冬柏)으로 만 이루어진 단순림(單純林)이다.
자생동백 단순림의 경우 수고는 5m 이내이나 수관(樹冠)은 매우 좋은 편이고, 흉고직경은 15cm내외다. 이는 그동안 간벌이 없이 자생으로 숲이 유지되다 보니 나무들이 밀식돼 수간(樹幹)이 약한 편이다.
두 곳 다 식생은 옅은 편으로 대부분 나무들의 수령은 50년 내외다. 1970년대 후반, 당시에는 동백나무가 마을의 앞뒤 산에 지천으로 널려있었기 때문에 선택의 여지가 없이 주민 모두가 동백나무를 땔감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오늘날 자생동백 단순림은 31ha를 집중 관리공간으로 정해 완도수목원에서 관리를 하고 있다.
여기에는 동백나무와 꽃을 관찰하는 관찰로와 숲을 돌아보는 순환로를 개설해 관광객이면 누구나 숲을 돌아보고 힐링할 수 있다.
또한 봉두산 자락의 하층림은 26ha를 동백순림으로 집중 육성할 계획인데 상층부 성목(成木)과 잡목(雜木)을 점진적으로 제거해 천이(遷移)가 이루어지도록 할 계획이다.
완도수목원 내 동백나무원은 수목원이 개발되기 전 주민들이 목축을 하거나 붉가시 숫을 구웠던 마을의 중심이었다. 지금도 동백나무원에는 옛 집터들과 골목길의 흔적이 그대로 남아있어 당시에 살았던 사람들의 채취를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
동백나무원은 1991년에 조성됐는데 기존의 동백나무 숲과 주민들이 다녔던 길을 그대로 살린 체 세계 각국의 동백나무 114종 276본을 들여와 식재했다. 면적은 약 1.17ha로 이곳의 동백나무 역시 식생이 옅은데 일부 나무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나무들이 흉고직경 20cm를 넘지 못한다.
이곳에 오면 세계의 모든 동백나무들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데 중국과 일본 동백나무의 원종(原種)은 물론 인근의 동백전시원도 둘러볼 수 있다.
다음은 박진수(76, 군외면 삼두리, 사진)씨의 증언이다.
"우리마을 저그 뒷산이 봉두산(鳳頭山)이요. 상왕봉의 지맥이 흘러내려 바다로 향하는 봉황(鳳凰)의 머리인디 우리가 애릴때는 봉두산이 전부다 동백이었어요.
그때는 6.25 뒤라 땔감이 아주 귀해요, 요 앞산이 진동산이고 저그는 대리산이요 마을을 중심으로 온 천지가 동백나무가 덮여 있었어요. 그래서 귀한 줄 모르고 전부다 비어다가 정개(부엌)서 불 땠어요. 나무가 강하니까 불이 겁나게 모다요, 애기부터 어른까지 동백나무를 비로 댕긴디 어떤 나무는 밑둥이 하도 큰 게 어른들도 못 보듬아요, 그래서 도치로 장작을 패대끼 나무를 했어요.
아까도 애기 했지만 우리 동네는 동백나무 천지고 개인 산에는 어런들이 못 보듬을 동백나무가 수두룩 했어, 그란디 도시의 조경 업자들이 와서 보고 동내 가게에서 술 한잔 삼스로 포라고 하거든 그랑께 그냥 헐값에 다 폴아부렇어. 또 근원(根源)이 존 놈은 분재한다고 이 집서 한나, 저 집서 한나 캐다가 분재 맹그러 불고, 동내산의 동백나무는 전부다 도치로 패서 불 때 불고 그란디 세월이 흐른께 다시 저라고 동백나무가 자란 것을 본께 참말로 자연이 위대하요."
누가 씨를 뿌리지 않았지만 수백헥타르의 산에서 자연은 다시 살아나고 있다. 인간의 손이 닿지 않는다면 위대한 자연은 스스로 일어설 수 있다.
기약 없는 세월이 흐르겠지만 1965년 인간의 무지로 천연기념물에서 해제돼 지금은 유리원판의 박제로 남아있는 죽청리의 동백나무 숲이 다시 살아나기를 염원하며 펜을 놓는다.
유영인 다도해해양문화연구원 원장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완도신문에도 실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