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연돈볼카츠 사건이 여론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사건은 우리나라 프랜차이즈 산업계에서는 오랜 관행적 일탈로, 이와 유사한 사건은 과거에도 종종 보도되었습니다. 그런데도 여론이 집중된 이유는 연돈볼카츠 본사 경영자가 백종원이라는 스타이기 때문일 겁니다. 일상에서 자주 마주하는 겉모습과 달리 온갖 잡음이 끊이지 않는 우리나라 프랜차이즈 산업의 문제점을 두 번에 걸쳐 독자들에게 전달합니다.[기자말] |
백종원씨가 경영자로 있는 '더본코리아'의 여러 브랜드 중 하나인 '연돈볼카츠' 사건이 점입가경으로 치닫고 있다(관련기사:
"백종원만 보고 시작한 연돈볼카츠... 내가 안일했다" https://omn.kr/293q2).
이 사건은 더본코리아 본사가 연돈볼카츠 가맹점을 모집하는 과정에서 매출과 수익률을 과장했고 그로 인해 가맹한 점주들이 큰 피해를 보고 있다는 주장에서 시작됐다. 이후 더본코리아의 반박과 점주들 재반박이 연일 기사가 되며 여론의 관심이 쏠렸다.
이번 일은 프랜차이즈 업계에서는 비교적 흔하다. 이 사건을 공론화하기 전 연돈볼카츠 점주들 사이에서는 우려가 있었다고 한다. 이 정도 사건으로 백종원이라는 스타 경영자가 운영하는 대형 브랜드를 상대한다는 게 '계란으로 바위 치기' 아니냐는 염려였다.
점주들의 우려대로 '창업 설명회에서 이 정도 과장은 관행이다', '기업이 하는 말을 다 믿은 점주들이 문제다'라는, 오히려 점주를 탓하는 여론도 심심치 않게 있었다. 영 틀린 말은 아니라고 본다. 이 정도의 부조리는 우리 사회에서 정말 쉽게 마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관행이 법 위에 있지는 않다는 것이다. 법을 어겼다면 그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이 사회의 약속이다.
가령 횡단보도에 보행자가 있다면 차는 일시 정지해야 하는 게 규칙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우회전 차량 상당수는 보행자가 채 건너지 않았는데도 관행으로 지나간다. 그러다 피해자가 발생하거나 단속에 걸리면 처벌받는다. 이번 사건도 이와 다르지 않다.
이런 프랜차이즈 분쟁 기사에 빠지지 않고 달리는 댓글이 있다. '프랜차이즈가 이럴 줄 몰랐냐?', '누가 당신더러 이런 장사하라고 억지로 시켰냐?'라는 글이다. 한마디로 '프랜차이즈는 원래 점주 등골을 빼먹는 사업인데 그걸 몰랐던 당신의 무지를 탓하라'라는 것이다.
이런 '악플'의 대상은 당연히 점주일 것이다. 그런데 이 지적은 본사에 굉장히 뼈아프다. 더 나아가 우리 프랜차이즈 업계 전체가 통렬하게 반성할 대목이기도 하다. 적어도 우리나라 프랜차이즈 사업을 '상생'이 아닌 '착취' 시스템으로 (물론 일부이겠지만) 보고 있다는 방증이기 때문이다.
최고의 기업이 보여 준 후진적 태도
이번 사건에서 더본코리아 측 최초 반박은 허위·과장 정보제공 및 가격 구속과 같은 법적으로 사실관계를 따져야 할 부분이었다. 그런데 이어진 반박 기사부터 슬며시 본질에서 벗어나기 시작했다. 핵심 사실관계의 검증이 아니라 점주들에게 무능하고 불성실하다는 부정적 프레임을 씌우고자 한 의도가 보였다.
6월 19일 나온 <[단독] "가게 문 자주 닫고 배달 안해" 백종원 압박 점주들, 매출 낮은 이유였다>(머니투데이) 기사가 대표적이다. 그 내용은 이번 사건을 주도한 점주 8명의 가맹점 운영 상태를 분석해 보니 영업 일수가 다른 점주보다 상대적으로 적었다는 것이다. 결국, 불성실한 점주들이 자신의 문제를 본사 탓으로 돌렸다는 지적이었다.
"그 기사 보고 정말 불쾌했어요. 영업 일수가 왜 작았겠어요? 점주 단체를 만들고 본사에 협상을 요구하고, 우리끼리는 힘에 부쳐 다양한 브랜드들이 모여 있는 전국가맹점주협의회에 찾아가 도와 달라고 호소하고, 이거 다 우리가 한 겁니다. 작은 매출에 점주 대부분이 1인 자영업자입니다. 그러니까 문을 닫지 않으면 이런 일을 할 수가 없습니다. 우리 사정을 뻔히 아는 본사가 어떻게 이런 식으로 말하는지 너무 화가 나는 거예요."
그동안 인터뷰에 조곤조곤 답변하던 연돈볼카츠 점주 A 씨는 해당 기사의 내용에는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그는 본사의 이런 반박이 황당함을 넘어 '사악'하다고 표현했다.
이 기사 내용 중 프랜차이즈 음식점 월평균 영업일 28.5일(농림축산식품부의 2023년 외식업경영실태조사)이란 통계가 유독 눈에 띄였다. 연돈 점주들의 불성실을 지적하고자 인용한 자료였지만, 그와는 다른 실태를 보여 줬기 때문이다. 이 통계는 '워라벨'을 논하는 이 시대에 가맹점주들의 한 달 평균 휴무일이 겨우 '1.5일'이라는 지옥 같은 현실을 보여줬다. 따라서 이 자료는 오히려 연돈볼카츠 가맹점들의 행동이 복에 겨운 투정이 아님을 방증한다.
단 한 발짝의 전진도 없었다
"누가 내 사정을 알아서 챙겨주나요? 목마른 자가 우물 판다고 가게 손해를 감수하며 쫓아다닌 거죠. 저도 다른 점주들처럼 누가 알아서 하겠지 하는 마음으로 못 본 척하고 싶었어요. 그리고 우리 같은 하루살이 점주가 수백, 수천억짜리 본사와 싸우는 게 얼마나 무서운 일인지 그렇게 감이 안 오나요? 돈이 '만능 열쇠'인 요즘 세상에서요. 그 끝이 고통뿐이란 걸 알면서도 맞섰습니다. 왜일까요? 우리가 그 공포에도 맞선 건, 우리는 존중받아 마땅한 지적이며 독립적인 인간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누군가 던져주는 먹이에 감지덕지하는 개, 돼지가 아니잖아요. 이런 유명 프랜차이즈 기업들이, 점주에 대한 가치관이 이렇게나 저열하다는 사실이 참 씁쓸한 거죠."
이 기사에 일갈을 한 김경무씨는 연돈볼카츠 사장이 아니다. 그는 8년 전 또 다른 프랜차이즈 분쟁의 당사자였고, 공정거래위원회는 물론 대법원에서도 '본사의 행위는 불공정했다'라는 심판을 받아낸 주인공이다. 그의 투쟁은 자그마치 5년이나 걸렸고 그가 떠안은 결과는 강제 폐점과 파산이었다(관련기사:
5년 후에 나온 피자에땅 갑질 승소... 기쁘지 않습니다 https://omn.kr/1vxwc).
"그때 우리 본사도 연돈볼카츠와 같은 내용의 보도자료를 배포했죠. 내게 보낸 내용증명도 그러했고요. 영업시간 미준수, 본사 규정 위반 등등을 거론하며 이에 따라 강제 폐점시킨다는 통보였죠. 우리가 왜 영업시간을 못 지켰을지 본사가 몰랐을까요? 점주들은 한 푼이라도 더 벌려고, 그래야 임대료도 내고 조금이라도 생활비를 챙길 수 있으니, 영업시간을 연장하고 심지어 경쟁이 덜한 새벽 시간에 자신의 잠을 줄이는 고통을 선택합니다. 그런데도 우리가 게으르고 무능하답니다.
당시 제 매출은 평균 이상이었습니다. 단체 주문이 주력이었고요. 단체 주문으로 피자 200판 주문받으면 어떻게 되는 줄 압니까? 밤새 만들어야 합니다. 오십 줄의 아내와 내가 철야로 피자를 만들어 놓고 동이 트면 피자를 굽기 시작해 배달을 보냅니다. 그렇게 전쟁터가 된 매장을 정리하면 혼이 다 빠집니다. 그래도 마음은 즐거웠습니다. 돈 버는 줄 알고요. 한 달 뒤 정산 후 적자라는 기막힌 사실을 알고 즐거움이 분노로 바뀌기 전까지는요. 우리 피자가 '1+1, 연중 할인'이었거든요. 자, 우리가 게으른가요? 그리고 무능은 이런 말도 안 되는 원가를 설계한 본사 아닌가요?"
인터뷰를 끝내기 전 그는 한가지 말을 더 보탰다.
"이번 사건으로 가장 실망스러웠던 건, 우리나라 최고 프랜차이즈 기업에서 이런 구태가 발생했다는 것, 결국은 프랜차이즈 업계가 작은 개선도 이뤄내지도 못했다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