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부산 해군작전기지에서 미 해군 항공모함 시어도어 루즈벨트함에 승선해 비행 갑판에서 양용모 해군참모총장과 함께 미 해군 제9항모강습단장인 크리스토퍼 알렉산더 준장으로부터 항모의 주력 전투기인 F/A-18 등 함재기들과 전투기 이착륙 시 필요한 각종 장비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 윤석열 대통령, 미 항모 루스벨트함 설명 청취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부산 해군작전기지에서 미 해군 항공모함 시어도어 루즈벨트함에 승선해 비행 갑판에서 양용모 해군참모총장과 함께 미 해군 제9항모강습단장인 크리스토퍼 알렉산더 준장으로부터 항모의 주력 전투기인 F/A-18 등 함재기들과 전투기 이착륙 시 필요한 각종 장비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 대통령실

관련사진보기

 
채상병 사망사건 수사외압 의혹 당시 이종섭 국방부 장관의 통신기록에도 찍혀 있던 대통령실 전화번호가 사건 '키맨'인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과 임기훈 국가안보실 국방비서관(현 국방대 총장)의 통신기록에서도 발견됐다. 지난 7월 29일부터 8월 9일 동안 두 사람의 개인 휴대전화로 각 1차례씩 통신했다. 

<오마이뉴스>가 입수한 통화 내역에 따르면 '02-800'으로 시작하는 대통령실 번호가 지난해 8월 2일과 4일 각각 유 관리관과 임 비서관에게 전화를 걸었다. 임 비서관은 대통령실 소속이지만 해당 기간 동안 02-800으로 받은 전화는 이 전화가 유일하다. 

통화 1) 대통령실→ 유재은
2023년 8월 2일 오후 4시 59분부터 2분 39초 통화

통화 2) 대통령실→ 임기훈
2023년 8월 4일 오전 9시 47분부터 3분 30초 통화


대통령실, 수사기록 이첩·회수한 날 유재은에 전화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이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채상병 특검(순직 해병 수사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안) 입법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의원들의 질의를 경청하고 있다.(사진 왼쪽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이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채상병 특검(순직 해병 수사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안) 입법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의원들의 질의를 경청하고 있다.(사진 왼쪽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유 관리관이 대통령실로부터 전화를 받은 8월 2일은 해병대 수사단(단장 박정훈 대령)이 경북경찰청에 채상병 사건 수사기록을 이첩했으나(오전 10시 30분~오전 11시 50분), 국방부 검찰단이 도로 회수한(오후 7시 20분) 날이다.

유 관리관은 이날 이시원 공직기강비서관(오후 2시 57분),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오후 3시 36분)과 통화했고, 다시 이 비서관과 오후 4시 45분께 문자를 나눴다. '02-800'으로 시작하는 대통령실 전화는 그로부터 14분 뒤인 오후 4시 59분에 왔다.

159초간의 통화를 마친 유 관리관은 이후 다시 이 비서관(오후 5시 55분)과 통화했고, 국방부 검찰단은 오후 7시 20분 경북경찰청에서 수사기록을 회수해 갔다.  

임 비서관이 대통령실로부터 전화를 받은 8월 4일은 국방부 검찰단이 박 대령을 집단항명수괴 혐의로 입건하고 수사에 착수한 날이자 해병대를 압수수색한 날이다. 

임 비서관은 이날 통화 이후인 오후 3시 8분부터 오후 6시 10분까지 당시 박진희 국방부 군사보좌관과 네 차례(총 1분 57초) 통화하기도 했다. 

'02-800'으로 시작하는 대통령실 번호는 이종섭 장관의 통신기록에도 등장한다. 이 번호는 'VIP 격노설'이 불거진 지난해 7월 31일 오전 11시 54분 이 장관에게 전화를 걸어 2분 48초간 통화했다. 

다만 이 장관에게 건 번호와 유 관리관·임 비서관에게 건 번호의 뒷자리는 달랐다. 

태그:#02800, #대통령실, #유재은, #임기훈, #채상병
댓글4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