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는 유입 인구가 많은 도시다. 110만 특례시를 이끈 동력 역시 유입 인구다. 대도시로 성장은 각종 기반 시설 확충이라는 장점과 이어지지만, 연장선 끝으로 가면 시민 불편뿐 아니라 사회 문제가 있다.
유입 속도는 더뎌졌다. 그럼에도 여전히 용인은 유입 호재가 많은 도시다. 부동산시장 분석업체인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올해 1~5월 서울 거주자가 사들인 아파트가 가장 많은 곳은 경기도 고양시인 것으로 나타났다.
용인시 역시 상위권에 자리한 것으로 조사돼 인구 유입에 다른 대책뿐 아니라 각종 교통 대책이 뒷받침돼야 할 것이라는 진단이 나온다. 이번 통계자료는 한국부동산원 아파트 거래를 분석한 것으로 1~5월간 고양시는 총 630건, 용인시도 465건에 이른다.
인구가 지역에 미치는 영향은
인구 유입이 지역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하다. 그중에서도 교통 분야와 집값 상승은 직접 영향을 받는다. 우선 교통 분야에는 긍정성만큼 부정도도 꽤 높다.
용인시 사회조사를 보면 2023년 기준으로 서울에서 용인으로 통근하는 인구는 전체 인구 대비 18.1%에 이른다. 경기도 전체 21.4%에 비해 낮으며 2019년보다도 1% 이상 줄어들었다.
이는 서울까지 오가는 데 그만큼 어렵기 때문이라는 의견도 있다. 같은 자료를 보면 용인에서 서울까지 통근하는데 걸리는 평균 시간은 2023년 기준 74분이다. 경기도 평균 67.3분보다 더 걸릴 뿐 아니라 2019년 72.2분과 비교해보면 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나마 이마저도 처인구 등 교통 취약지역 형편까지 감안하면 사정은 더 어려워진다. 이렇다 보니 용인시를 비롯한 행정기관은 물론 정치권까지 서울과 용인을 잇는 교통편 확충은 숙제로 남아 있다.
이런 가운데 서울 등 인근지역에서 용인으로 유입되는 인구가 늘어난다는 것은 그만큼 통근자도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중교통을 비롯한 출퇴근 시 차량정체가 심화도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도 충분히 예상 가능한 대목이다.
집값 상승, 누가 웃을까
한국부동산원이 밝힌 자료를 보면, 올해 5월까지 수도권 전체 주택값은 0.44%가량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용인시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용인시 전체 평균을 따지만 0.52%가량 하락했다.
하지만 용인시 처인구는 상황이 다르다. 지난해 전국에서 가장 땅값 오름세가 가팔랐던 기세가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반도체 호재가 이끄는 처인구 땅값은 전국 평균 3배를 웃돈다는 것이 국토교통부 분석이다. 용인시 집값을 올리는 호재는 처인구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반도체 효과에 기흥구 플랫폼 시티 사업과 더불어 수지구 아파트 시세 상승세는 이미 '기저효과'가 됐다. 이 조합을 맞추면 용인시 집값은 큰 폭의 하락보다는 소폭 오름이나 현 상태 유지가 될 것이라는 판단이 더 현실적으로 보인다.
문제는 주택가 상승에 따른 '부동산시장 특수'를 용인시민 나아가 용인시 공동체에 고스란히 흡수될 수 있냐다.
사회조사를 보면 2023년 기준으로 주택 임차 및 구매에 따른 부채 비율은 전체 부채의 77.5%다. 2019년 74.9%에서 2년 사이 2%p 이상 늘었다. 경기도 평균 72.4%와 비교해서도 5%p 차이가 난다.
여기에 더해 가구 생활비를 살펴보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식료품비 27.2%에 이어 주거비는 26.1%로 버금가는 수치를 보인다. 전체 생활비 중 주거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9년과 비교해 3% 이상 크게 올랐다.
용인시는 처인구를 중심으로 아파트 분양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도체 개발사업에 따른 각종 교통 기반 시설 역시 확충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따라 용인시민 일상에 긍정 요인이 얼마나 아로새겨질지는 행정과 정치 방식에도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추정된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용인시민신문에도 실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