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충북 괴산의 야산, 사랑의 현장에서 발견된 연리지.
충북 괴산의 야산, 사랑의 현장에서 발견된 연리지. ⓒ 이성인
"그대 비록 후배라 함께 공부 안했으나, 연리지 나무처럼 한집안 형제같네" "초목 중엔 연리지가 의좋기로 소문나니, 꽃 마음은 한가지나 꽃 답기는 다르도다, 부부없다면 짝이 어찌될 것이며, 형제 또한 없다면 기러기가 어이 줄 서가리"

이 시는 고려 중기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 고율시(古律詩)이다. 이규보는 연리지를 우정과 혈육의 정으로 묘사했다.

우리나라는 연리지의 출현을 희귀하고 경사스러운 길조로 여겨 역사책에 기록해 왔다.

삼국사기에 보면 신라 내물왕 7년(362) 4월 시조 묘의 나무가 연리된 사실과 고구려 양원왕 때 "서울에 가지가 맞 붙은 배나무 연리목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또 고려 광종 24년(973) "2월 임인일에 서울 덕서리에서 연리목이 났다"는 기록과 성종 6년(987)에도 "충주에서 연리목이 났다"는 기록이 있다.

최근에도 연리지의 출현이 있었다.

이번 충북 괴산군 청천면 송면리에서 사랑의 모습을 보인 연리지에 앞서 지난 1995년경 충북 괴산군 청천면 용추폭포 위에서 지상 2m의 줄기가 붙어 한나무로 되어 있는 수령 100년 미만의 연리목이 발견되어 화제가 된 적이 있었다.

가장 최근에는 2002년 7월 경북 청도군 운문면 지촌리라는 운문호 옆의 작은 마을에서 연리지가 발견되었다. 수령 40~50년쯤인 소나무 연리지는 지상 약 2.6m높이의 굵은 가지가 아래쪽 나무와 연결되어 있어 보도된 적이 있다.

충남 예산의 공주산업대학 본관 앞 히말라야시다는 같은 나무의 가지가 연결된 것이라 사실상 연리지라고 보기는 어렵다. 전북 고창군 해리면 동호해수욕장의 커다란 곰솔은 뿌리목 부분이 연결되어 있고 경북 영주시 순흥면사무소 마당에는 소나무가 줄기가 서로 꼬아져 붙어 있다.

원래 연리지는 같은 종(種)이라야 붙는다. 다른나무가 붙는 것은 엄밀히 서로 완전히 붙은 것이 아니라 붙은 것처럼 보일 뿐이다.

줄기가 이어지면 연리목(連理木)이라고 하며 나뭇가지가 서로 이어지면 연리지(連理枝)라고 한다.

연리목에 비해 연리지는 희귀하다. 가지가 맞닿으면 바람에 의해 서로부벼지는 상태이기 때문에 정지되는 시간이 적어 더욱 그렇다. 이렇게 부벼지다가 산불이 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땅속의 뿌리는 흔히 붙어 있는 경우가 많다. 베어진 나무 등걸이 죽지 않고 오랫동안 살아 가는 것은 뿌리가 붙어 있기 때문.

연리가 되는 과정에 대해 '좋은 생각' 1월호는 아래와 같이 게재했다.

"맞닿은 두 나무의 줄기나 가지는 각각 해마다 새로운 나이테를 만들어 지름이 점점 굵어진다. 나이를 먹어 가면서 서로가 심하게 눌리므로 먼저 껍질이 압력을 견디지 못하여 찢어진다. 나무를 키워 주던 여러 가지 세포들이 직접 맨살을 그대로 맞부딪친 셈이다. 먼저 굵기 자람을 담당하는 '부름켜’가 서로 연결하여도 거부반응이 없을지를 알아본다. 별다른 문제가 없다는 메시지를 주고 받고 합쳐도 좋다는 뜻이 맞으면, 서로의 세포는 운명적인 만남을 완성하는 이어지기를 시작한다. 짧아도 몇 년에 걸쳐서 서로를 확인하고 또 확인하면서 두 나무는 완전한 한 나무로 만들어 간다. 오랫동안의 연리 과정이 끝나면 두 나무는 양분과 수분을 서로 주고 받으며, 한쪽나무를 잘라 버려도 다른 쪽의 도움을 받아 살아 갈 수 있다. 이렇게 두 나무가 합쳐져 한 나무가 되는 과정은, 인간사회의 남녀가 만나 부부가 되는 과정과 너무나 닮았다. 그래서 옛 사람들은 부부간의 금실을 상징하고 아름다운 남녀의 사랑을 노래 할 때 연리는 빠지지 않은 단골손님이었다."

연리목은 의도적으로 만들 수도 있다. 적합한 나무는 자귀나무와 엄나무가 좋다. 저귀나무는 낮에는 작은 잎들이 서로 마주보고 있다가 밤이 되면 서로 붙어 밤을 지새는 부부금실을 상징하고 엄나무는 듬성듬성 가시가 있는 한 가지를 문설주 위에 걸쳐 놓으면 악귀를 몰아낸다는 속설이 있다.

일단 4-5년생 묘목 두그루를 50㎝ 정도의 띄워 심고 뿌리가 내릴 때를 기다린다. 잘 살았는지 판단되면 붙일 자리의 나무 껍질을 적당히 벗기고 비닐끈으로 묶으면 시간이 지나서 한나무가 된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